사교춤 (춤)

목차
관련 정보
무용
개념
사교나 오락을 목적으로 무도회에서 남녀 한 쌍이 추는 춤. 사교댄스.
이칭
이칭
사교댄스
내용 요약

사교춤은 사교나 오락을 목적으로 무도회에서 남녀 한 쌍이 추는 춤이다. 조선에 파견된 서양의 외교관·선교사·사업가 등의 무도회를 통해 도입되었다. 한국인으로 처음 사교춤을 춘 이는 이하영이다. 사교춤은 1920년대 초반에 일반에게 확산되었다. 균형 잡힌 동작에 신체적 접촉이 거의 없는 춤으로 서양의 선진문화로 받아들여졌다. 1920년대 후반부터 사교춤은 퇴폐적인 춤으로 변질되기 시작했다.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에도 사교춤은 음성적으로 추어졌다. 현재 사교춤 대신 댄스 스포츠라는 용어가 쓰이면서 예술 스포츠로 자리 잡게 되었다.

목차
정의
사교나 오락을 목적으로 무도회에서 남녀 한 쌍이 추는 춤. 사교댄스.
연원 및 변천

개화기부터 조선에 파견되었던 서양의 외교관이나 선교사, 사업가 등이 참여한 무도회를 통해 사교춤이 도입되었다. 서양에서 들어온 사교춤은 소셜 댄스(Social Dance)로서, 유럽의 귀족이나 왕족인 상류층들이 사교를 위해 궁중무도회나 개인 무도회에서 추었던 춤으로 예의범절이 분명한 춤이었다. 20세기에 들어 소셜 댄스가 다양해지자, 1924년 영국왕실무도협회가 댄스파티에서 추는 왈츠(waltz), 탱고(tango), 주1, 폭스트로트(fox-trot), 비엔나 왈츠(Vienna Waltz)를 볼룸 댄스(ballroom dance)라는 말로 공식화했다.

한국인으로 처음 사교춤을 춘 이는 이하영(李夏榮)이었다. 그는 1890년에 미국공사로 재직하던 시절에 보스톤 왈츠(Boston Waltz)를 배웠고,이후 귀국하여 손탁호텔에서 사교춤을 추었다고 한다. 한국에서 사교춤이 일반에 확산된 시기는 1920년대 초반이었다. 1921년 블라디보스톡청년학생음악단의 전국 순회공연 이후 무도의 열풍이 전국적으로 불었고, 학교, 교회 등의 행사에서 사교춤과 서양민속춤이 추어졌었다.

이 춤들이 서양의 선진문화로 받아들여져 학생, 회사원들이 먼저 추기 시작했다. 경성을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하고 유흥문화가 확대되자 카페, 선술집 등이 생기고 자유연애가 퍼지는 풍조에서 사교춤을 가르치는 학원도 생겼다. 사교춤 선생으로 경성에서 유명했던 윤은석(尹恩錫, 일명 윤풍)은 하얼빈에서 열린 사교댄스경연대회에 입상하였으며, 조선권번기생들을 대상으로 사교댄스를 가르치기도 했다.

하지만 1920년대 후반부터 사교춤이 변질되기 시작했다. 서양의 상류층이 추었던 사교춤은 균형 잡힌 동작으로 신체적 접촉이 거의 없으며 우아하고 은근하게 추는 춤이었으나, 이 무렵부터 남녀가 부둥켜안고 추는 퇴폐적 춤으로 변질되었던 것이다. 1929년 3월에 ‘소시얼 구락부’라는 이름으로 일본인이 경성에 사교춤을 추는 댄스홀의 허가를 청원했지만, 총독부는이를 불허했다.

1937년 1월 월간잡지 『삼천리』에 「서울에 땐스홀을 허(許)하라」라는 글이 실렸는데, 이는 계속 사교춤이 추어지고 있었지만, 사교춤의 공간이 공식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글 내용 중에 “댄스를 한갓 유한계급의 오락이요 또한 사회를 주2시키는 세기말적 악취미라고 보십니까?”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사교춤, 사교댄스가 남녀의 방탕한 오락물로 취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말까지는 사교춤의 공간이 공식화되지 않았고, 주로 까페에서 추어졌다.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에도 사교춤은 음성적으로 추어졌다. 정비석의 소설 『자유부인』이 1954년 『매일신문』에 연재되면서 사교춤에 관한 논쟁이 일어났고, ‘박인수 사건’을 계기로 사교춤과 댄스홀이 불륜과 퇴폐라는 부정적 인상을 심어주어, 사교춤하면 춤바람이란 상식을 도식화시켰다. 1960년대 초반에는 왈츠, 차차(chacha), 삼바(samba), 트로트(trot), 탱고(tango), 지터벅(jitterbug, 일명 지루박), 폴카(polka), 맘보(mambo), 블루스(blues)가 추어졌다.

한편 사교춤을 공식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지면서 최초의 사교춤 경기인 제1회 전국무도선수권대회가 1957년 장충체육관에서 열렸다. 1969년에는 대한무도예술협회가 문화공보부에 사회단체로 등록되었고, 1970년에 문교부의 허가를 받아 사단법인 한국무도교육협회가 설립되었다. 이렇게 사교춤의 부흥을 꾀하는 중에 1990년을 전후로 국제무도평의회(ICAD)가 볼룸 댄스 대신 ‘댄스 스포츠’라는 명칭 사용을 권장하여 우리나라도 이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의의와 평가

커플댄스인 사교춤은 즐거움을 주는 레크리에이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현재 사교춤이란 용어가 사용되기는 하나 이는 퇴폐적 인상이 남아있으며, 댄스 스포츠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건전하고 예술성 있는 오락이자 스포츠로 자리 잡게 되었다.

참고문헌

「서양민속춤과 사교춤의 도입과 번성」(유미희, 『춤·지성』2, 2005)
「한국 사교춤의 변형발전에 관한 연구」(박진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주석
주1

사교춤의 하나. 4분의4 박자의 경쾌하고 빠른 스텝의 춤이다. 우리말샘

주2

썩어 문드러짐. 우리말샘

집필자
김영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