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영 ()

기명도 / 이도영
기명도 / 이도영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고색찬연」 · 「나려기완」 · 「석굴암 관음상」 등을 그린 서화가. 시사만화가 · 삽화가 · 교육자.
이칭
이칭
이도영(李鞱穎), 관재(貫齋), 면소(芇巢), 벽허자(碧虛子), 중일(仲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4년(고종 21) 3월 7일
사망 연도
1933년 9월 21일
본관
연안(延安)
출생지
서울
내용 요약

이도영은 일제강점기 「고색찬연」·「나려기완」·「석굴암 관음상」 등을 그린 서화가이자 시사만화가·삽화가·교육자이다. 1898년 전환국에 입학하여 분석학을 배웠다. 1901년 안중식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이후 다양한 단체의 계몽운동가들과 교유하면서 시사만화, 교과서의 삽화, 신소설 삽화 등을 그렸다. 산수·인물·영모·기명절지 등 전통 회화에서도 다양한 화목의 작품을 남겼다. 이도영은 서화가로서의 지평을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근대적인 미술교육과 전람회 제도를 도입하고 운영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한 미술가이다.

정의
일제강점기 「고색찬연」 · 「나려기완」 · 「석굴암 관음상」 등을 그린 서화가. 시사만화가 · 삽화가 · 교육자.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일(仲一), 호는 관재(貫齋) · 면소(芇巢) · 벽허자(碧虛子)이며 이도영(李鞱穎)이라고도 불린다. 안중식에게서 주1를 배웠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4년 서울 연건동에서 출생하였다. 1898년 10월 전환국(典圜局)에 입학하여 분석학을 배웠고, 1901년 11월 전환국 과정을 마친 뒤 안중식의 문하에 들어가 그림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1905년 11월 국민교육회의 편찬업무를 맡은 것을 시작으로, 1906년 대한자강회 간사원과 보성관 편집사무원, 1907년 대한협회 교육부원과 공업전습소 기수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이도영은 다양한 단체 활동을 통해 계몽운동가들과 교유하면서 시사만화, 교과서의 삽화, 신소설 삽화 등 인쇄 및 출판과 관련된 미술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1906년 국민교육회에서 발행한 『초등소학(初等小學)』을 비롯하여, 보성관의 『초등소학(初等小學)』, 『몽학필독(蒙學必讀)』 등의 교과서 삽화를 제작하였다. 1909년 6월 『대한민보(大韓民報)』가 창간되자 1910년 8월 폐간 때까지 1면의 시사만화를 그렸다. 1908년 유원표의 소설 『몽견제갈량(夢見諸葛亮)』을 시작으로 이해조『홍도화(紅桃花)』(1908), 최병헌『성산명경(聖山明鏡)』(1909), 쥘 베른(Jules Verne, 1828~1905)의 『십오소호걸(十五小豪傑)』(1912) 등의 신소설 · 번안소설에 삽화와 표지화를 그렸다.

또 1906년부터 휘문의숙과 보성중학교 도화교사로 10년 이상 교직생활을 하였고 1915년에는 근대적인 미술교과서인 『연필화임본(鉛筆畵臨本)』과 『모필화임본(毛筆畵臨本)』을 저술하였다. 1911년 3월 서화미술회가 설립되자 안중식, 조석진, 김응원, 정대유 등과 함께 교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18년 6월 서화협회(書畵協會)가 창설될 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23년에는 고희동과 함께 서화협회 부설 서화학원의 개설을 추진하여 후진을 양성하였다.

1921년에는 서화협회 재정비의 일환으로 서화협회 전람회 개설, 『서화협회보』 발간을 주도하였고, 1923년과 1928년에는 간사장을 역임하면서 서화협회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1922년 5월 조선미술전람회(朝鮮美術展覽會)가 창설되자 1회부터 6회까지 동양화부 심사원을 역임하였다. 1929년 고금서화전람회(古今書畵展覽會), 1930년 고서화진장품전람회(古書畵珍藏品展覽會), 1931년 조선명화전람회(朝鮮名畵展覽會) 등 고서화전람회의 운영에 관여하였다.

그러나 이 무렵부터 병을 얻어 곤궁한 생활을 하였고 결국 같은 해 9월 21일 원남동 자택에서 5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이도영은 산수 · 인물 · 주2 · 주3 등 다양한 화목(畵目)에 걸쳐서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화조화와 기명절지화에서 당대의 호평을 받았고 예서행서에도 뛰어났다. 안중식의 화풍을 이어받아 온건하면서도 유려한 필력을 발휘하였으며, 「고색찬연(古色燦然)」(1922), 「나려기완(羅麗器玩)」(1930), 「석굴수서(石窟授書)」(1922), 「석굴암 관음상」(1929) 등 조선의 기물과 역사를 주제로 한 그림을 제작하여 화단의 주목을 받았다.

이도영은 전통회화 뿐만 시사만평과 미술교과서 제작, 소설삽화 등 인쇄 · 출판과 관련된 미술활동에도 참여하여 서화가로서의 지평을 확장하였고, 서양의 역사화와 정물화, 도안화, 만평 등 새로운 장르를 수용하였다. 또, 서화미술회, 서화협회 전람회, 조선명화전람회 등 근대적인 미술교육 제도와 전람회 제도의 도입과 운영에 있어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한 미술가로 평가된다.

상훈과 추모

1934년 11월 16일 서화협회 주최로 1주기 추도회가 열렸으며, 이듬해 10월 16일에는 휘문고에서 열린 제11회 서화협회전에서 2주기 추모 모임과 유작전이 열렸다.

참고문헌

「관재 이도영의 미술활동과 회화세계」(김예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3)
「신문에 항일·구국 시사만화를 그린 이도영」(이구열, 『미술세계』231, 2004)
「관재 이도영의 생애와 인쇄미술」(현영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이도영 연보」(최석태, 『한국근대미술사학』1,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994)
주석
주1

글씨와 그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새나 짐승을 그린 그림. 우리말샘

주3

여러 가지 그릇과 꽃가지, 과일 따위를 섞어서 그린 그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예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