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초 ()

불교
인물
조선 태조 대에, 왕사로 임명된 선종 승려.
이칭
시호
묘엄존자(妙嚴尊者)
법명
자초(自超)
무학(無學), 계월헌(溪月軒), 대조계종사선교도총섭전불심인변지무애부종수교홍리보제도대선사묘엄존자(大曹溪宗師禪敎都摠攝傳佛心印辯智無碍扶宗樹敎弘利普濟都大禪師妙嚴尊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27년(충숙왕 14)
사망 연도
1405년(태종 5)
출생지
삼기군(三岐郡, 현 경상남도 거창군)
주요 저서
『무학국사어록』. 『인공음』, 『불조종파지도』, 『무학비결』
주요 관직
왕사(王師)
내용 요약

자초(自超)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선종 승려로 지공(指空)과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법맥을 이었다. 조선 건국 후 태조가 자초를 왕사로 책봉하며 존숭하였으므로 자초는 조선 초기의 중요한 불사를 주관하였다. 태조가 수도를 정하는 데 참여했다고 알려져 있다. 승탑과 탑비는 회암사지에 세워졌다.

정의
조선 태조 대에, 왕사로 임명된 선종 승려.
가계 및 인적사항

자초(自超)의 주1는 무학(無學), 주3는 계월헌(溪月軒), 시호는 묘엄존자(妙嚴尊者)이다. 자초는 주2이며 흔히 무학대사로 알려져 있다. 그는 1327년(충숙왕 14) 음력 9월 20일 경상도 삼기군(三岐郡, 현 경상남도 주4에서 태어났다. 그의 속성은 박씨이다. 아버지 박인일(朴仁一)은 숭정대부(崇政大夫), 문하시랑(門下侍郞)으로 추증되었고, 어머니는 고성 채씨(固城蔡氏)이다.

주요 활동

자초는 1344년(충혜왕 5) 18세에 출가하여 소지(小止)의 제자가 되었으며, 혜명국사(慧明國師)로부터 불법을 배우며 부도암(浮屠庵)에 머물렀다. 1346년(충목왕 2) 『능엄경』을 보다가 깨우친 바가 있었던 자초는 그때부터 진주 길상사(吉祥寺), 묘향산 금강굴(金剛窟) 등에 머물며 불도를 닦았다.

1353년(공민왕 2) 원나라 연도(燕都)로 가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을 만나 도를 인정받았고, 이듬해 법천사(法泉寺)에서 나옹 혜근(懶翁惠勤)을 만난 뒤 무령(霧靈) · 오대산 등을 거쳐 서산(西山)의 영암사(靈巖寺)로 혜근을 다시 찾아가 수도하였다. 혜근에게 깨달음을 인정받은 자초는 1356년(공민왕 5) 혜근보다 먼저 고려로 귀국하였다.

1359년(공민왕 8) 자초는 원효암에 있던 혜근을 찾아가 불자(拂子)를 받았다. 그 뒤 혜근이 주지로 있던 신광사(神光寺)로 찾아갔다가 혜근의 다른 주5들 가운데 자신을 꺼리는 사람이 있음을 보고 고달산(高達山)에 들어갔다. 1371년(공민왕 20) 혜근이 왕사(王師)로 책봉되어 송광사에 머물면서 그에게 주6을 전하였다.

1376년(우왕 2) 회암사(檜巖寺)를 크게 중창한 혜근이 자초를 수좌로 삼고자 하였으나 자초는 이를 사양하였다. 같은 해 혜근이 입적하자 자초는 전국의 명산을 돌아다니며 공양왕이 왕사로 삼고자 하였음에도 응하지 않았다고 한다.

1392년(태조 1) 조선을 건국한 후 태조가 그를 왕사로 책봉하고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전불심인 변지무애 부종수교 홍리보제 도대선사 묘엄존자(大曹溪宗師禪敎都摠攝傳佛心印辯智無碍扶宗樹敎弘利普濟都大禪師妙嚴尊者)’라는 호를 내렸다.

1393년(태조 2) 자초는 왕도(王都)를 옮기려는 태조를 따라 계룡산과 한양 등을 돌아다니며 주7를 보고, 마침내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는 데 참여하였다고 한다. 1393년 음력 9월 회암사에 세워져 있던 스승 지공과 혜근의 승탑 주8을 태조로부터 받은 자초는 혜근의 주9을 광명사(廣明寺)에 봉안하는 등 지공과 혜근을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태조가 자초를 크게 존경하여, 태조의 숭불과 불사에는 자초가 관련되어 있었다. 자초는 태조부터 태종 초의 주요 불사들을 담당하였는데. 연복사와 회암사의 불사가 대표적이다. 1393년 음력 4월 연복사탑을 낙성하면서 개최한 문수법회에 태조가 친히 거동하였는데, 이때 무학대사 자초가 주12을 강설하였다. 1393년 음력 10월 나라에서 대장경을 연복사탑에 안치하며 개최한 전장불사(轉藏佛事)에서도 자초가 강설하였다.

1397년(태조 6) 자초는 태조의 명으로 회암사 북쪽에 수탑(壽塔)을 세웠으며, 1398년 용문사(龍門寺)에 머물렀다. 1402년(태종 2) 왕명을 받아 회암사로 자리를 옮겼다가 이듬해 사퇴하고 금강산 진불암(眞佛庵)으로 들어갔다. 1405년(태종 5) 자초는 금강산에서 나이 78세, 주10 62세로 입적하였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득통 기화(得通己和)가 있다.

학문과 저술

자초는 선종 승려로 주13에 속한다. 스승인 소지선사가 수선사 10세 혜감국사 만항(慧鑑國師萬恒)의 제자로 알려져 있어 자초 역시 수선사와 관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자초는 지공의 불교를 계승했을 뿐만 아니라 혜근의 선을 이어받아 여말선초 임제선풍(臨濟禪風)을 익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1389년(공양왕 1) 자초는 『장승법수(藏乘法數)』를 중간하였고, 1395년(태조 4)에는 회암사에서 『인천안목(人天眼目)』을 간행하였다. 1396년(태조 5)에는 회암사에서 『주심부(註心賦)』를 복각하는 등 여러 불서를 간행하였는데, 자초가 간행한 불서는 그의 선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저서로는 『무학국사어록』, 『인공음(印空吟)』, 『불조종파지도(佛祖宗派之圖)』, 『무학비결(無學祕訣)』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무학국사어록』 1권 1책은 『나려예문지(羅麗藝文誌)』에 책의 이름과 함께 화산(華山) 이성의(李聖儀)가 소장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발견되지 않았다. 이 책은 회암사에 조성된 자초의 탑비를 비롯한 다른 사료에서도 확인되지 않는다. 『인공음(印空吟)』 1권도 책은 현전하지 않는다. 다만 이색(李穡)이 쓴 서문 「제계월헌인공음(題溪月軒印空吟)」을 『목은집(牧隱集)』에서 볼 수 있는데, 『인공음』은 자초의 시를 모아 편찬한 책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자초의 저술인 『불조종파지도(佛祖宗派之圖)』는 1394년 자초가 '평산처림(平山處林) - 나옹 혜근(懶翁惠勤)'으로 이어지는 선종의 정통성을 자신이 계승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1688년(숙종 14) 월저 도안(月渚道安)이 증보한 것이다. 『무학비결(無學祕訣)』은 위서 논란이 있다.

상훈과 추모

1405년(태종 5) 자초가 금강산에서 입적하자, 1407년(태종 7) 회암사에 미리 만들어 두었던 수탑(壽塔)에 그의 사리를 봉안하였다. 1410년(태종 10)에는 자초의 문도 조림(祖琳)이 지은 행장을 바탕으로 태종의 명을 받은 변계량(卞季良)이 탑비문 「조선국왕사묘엄존자탑명(朝鮮國王師妙嚴尊者塔銘)」을 지었다. 이때 탑명(塔名)을 자지홍융(慈智洪融)이라 하고 회암사에 비석을 세웠다. 비석의 글씨는 공부(孔俯)가 썼다. 회암사에 세웠던 자초의 탑비는 1821년(순조 21) 이응준(李應俊) · 이선준(李宣峻) 형제가 훼손하였으나 이듬해 왕명으로 다시 세우면서 원래의 비문을 그대로 복각하였다. 현재 회암사지에 있는 자초의 탑비는 1822년에 세운 것이다.

조선 후기에 자초는 스승인 지공, 나옹 혜근과 함께 "삼화상(三和尙)"으로 불리며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불교의식집』에는 증명삼화상(證明三和尙)으로 수록되어 있다. 임진왜란 이후 풍수도참승, 신승으로 이해되며 조선 건국을 예언한 공로자로 인식되었고, 정조 대 불교계에서는 자초를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도 이해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동문선(東文選)』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조선총독부, 1919)

단행본

황인규, 『무학대사 연구』(혜안, 1999)
허흥식, 『(高麗로 옮긴) 印度의 등불-指空禪賢-』(일조각, 1997)

논문

강호선, 『高麗末 懶翁慧勤 硏究』(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남동신, 「여말선초기 나옹 현창 운동」(『한국사연구』 139, 한국사연구회, 2007)
이익주, 「무학 자초의 정치 활동에 대한 재검토-한양 천도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서울학연구』 85,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1)
장지연, 「조선 전기 漢陽의 지세 인식과 風水 논란 및 설화」(『역사문화연구』 46,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인터넷 자료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kabc.dongguk.edu/)
주석
주1

승려의 호. 우리말샘

주2

승려가 되는 사람에게 종문(宗門)에서 지어 주는 이름. 우리말샘

주3

스승에게 법맥을 이어받을 때에 받는 법호. 우리말샘

주4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주5

이름난 학자 밑에서 배우는 제자. 우리말샘

주6

가사(袈裟)와 바리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지형이나 방위를 인간의 길흉화복과 연결시켜, 죽은 사람을 묻거나 집을 짓는 데 알맞은 장소를 구하는 이론. 우리말샘

주8

탑에 새긴 글. 우리말샘

주9

주로 얼굴을 그린 화상(畫像). 또는 얼굴을 찍은 사진. 우리말샘

주10

승려가 된 뒤로부터 치는 나이. 한여름 동안의 수행을 마치면 한 살로 친다. 우리말샘

주12

참선하는 법. 우리말샘

주13

신라 때, 선종 구산문의 하나. 문성왕 때에 범일 국사가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 굴산사를 세우고 개산(開山)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