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헌 ()

김상헌유묵
김상헌유묵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부제학, 대사헌,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숙도(叔度)
청음(淸陰), 석실산인(石室山人), 서간노인(西磵老人)
시호
문정(文正)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0년(선조 3)
사망 연도
1652년(효종 3)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이조참의|도승지|부제학|대사헌|예조판서
관련 사건
인조반정|병자호란
내용 요약

김상헌은 조선시대 부제학, 대사헌,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570년(선조 3)에 태어나 1652년(효종 3)에 사망했다. 1596년 임진왜란 중에 실시한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병자호란 때 예조판서로서 주화론을 배척하고 끝까지 주전론을 펴다가 인조가 항복하자 안동으로 은퇴했다. 명을 공격하기 위한 청의 출병 요청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청에 압송되어 6년 동안 감금되었다가 풀려났다. 효종이 북벌을 추진할 때 이념적 상징이 되기도 했다. 재임시 대동법에는 반대하고 서인계 산림의 등용을 권고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부제학, 대사헌,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 · 석실산인(石室山人: 중년 이후 楊州 石室에 退歸해 있으면서 사용) · 서간노인(西磵老人: 만년에 安東에 은거하면서 사용)이고, 서울에서 태어났다. 김번(金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군수 김생해(金生海)이고, 아버지는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김극효(金克孝)이며, 어머니는 좌의정 정유길(鄭惟吉)의 딸이다.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동생이다. 3세 때 큰아버지인 현감 김대효(金大孝)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90년(선조 23) 진사가 되고 1596년 전쟁 중에 실시한 정시 문과에 주1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에 임명되었다. 이후 부수찬(副修撰) · 좌랑 · 부교리(副校理)를 거쳐 1601년 제주도에서 발생한 길운절(吉雲節)의 역옥(逆獄)을 다스리기 위한 안무어사(安撫御史)로 파견되었다. 이듬해 왕에게 결과를 보고하고, 고산찰방(高山察訪)과 경성도호부판관(鏡城都護府判官)을 지냈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문과 중시주2로 급제, 사가독서(賜暇讀書)한 뒤 교리 · 응교(應敎) · 직제학을 거쳐, 1611년(광해군 4) 동부승지가 되었다.

그러나 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 배척에 앞장선 정인홍(鄭仁弘)을 탄핵했다가 광주부사(廣州府使)로 좌천되었다. 1613년 칠서지옥(七庶之獄)이 발생, 인목대비의 아버지인 김제남(金悌男)이 죽음을 당할 때 혼인관계(김상헌의 아들 김광찬(金光燦)이 김제남의 아들 김내(金琜)의 사위가 됨)로 인해 파직되자 집권 세력인 북인의 박해를 피해 안동시 풍산으로 이사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이조참의에 발탁되자 공신 세력의 보합위주정치(保合爲主政治)에 반대, 시비(是非)와 선악의 엄격한 구별을 주장해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가 되었다. 이어 대사간 · 이조참의 · 도승지 · 부제학을 거쳐, 1626년(인조 4) 성절 겸 사은 진주사(聖節兼謝恩陳奏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후 육조의 판서 및 예문관 · 성균관의 제학 등을 지냈다.

1632년 왕의 생부를 원종(元宗)으로 추존하려는 데 반대해 벼슬에서 물러났다. 1635년 대사헌으로 재기용되자 군비의 확보와 북방 군사 시설의 확충을 주장하였다. 이듬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예조판서로 주화론(主和論)을 배척하고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펴다가 인조가 항복하자 안동으로 은퇴하였다.

1639년 청나라가 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요구한 출병에 반대하는 소를 올렸다가 청나라에 압송되어 6년 후 풀려 귀국하였다. 1645년 특별히 좌의정에 제수되고, 주3에 들어갔다.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았으며, 김육(金堉)이 추진하던 대동법에는 반대하고 김집(金集) 등 서인계 산림(山林)의 등용을 권고하였다.

상훈과 추모

1585년(선조 8) 윤근수(尹根壽)의 문하에서 경사(經史)를 수업하고, 성혼(成渾)도학에 연원을 두었다. 이정귀(李廷龜) · 김유(金楺) · 신익성(申翊聖) · 이경여(李敬輿) · 이경석(李景奭) · 김집 등과 교유하였다. 1653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1661년(현종 2) 효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양주 석실서원(石室書院), 정주 봉명서원(鳳鳴書院), 개성 숭양서원(崧陽書院), 제주 귤림서원(橘林書院), 정평 망덕서원(望德書院), 함흥 창덕서원(彰德書院), 경성 경산서원(鏡山書院), 의주 기충사(紀忠祠), 광주 현절사(顯節祠), 상주 서산서원(西山書院), 종성 화곡서원(華谷書院), 안동 서간사(西磵祠), 예안 운계사(雲溪祠), 정평 모현사(慕賢祠)에 제향되었다.

시문과 『조천록(朝天錄)』 · 『남사록(南槎錄)』 · 『청평록(淸平錄)』 · 『설교집(雪窖集)』 · 『남한기략(南漢紀略)』 등으로 구성된 『청음집(淸陰集)』 40권이 전한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해동명신전(海東名臣傳)』
『청음전집(淸陰全集)』
『송자대전(宋子大全)』
『황명배신전(皇明陪臣傳)』(황경원)
『존주휘편(尊周彙編)』(이의준)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셋째 등급. 문과(文科)에서는 23명, 무과(武科)에서는 20명을 뽑아 정구품의 품계를 주었으며, 성균관ㆍ승문원ㆍ교서관의 임시직인 권지(權知)에 임명하였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둘째 등급. 정원은 일곱 명으로, 정팔품의 품계를 받았다.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 나이가 많은 문신을 예우(禮遇)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 1394(태조 3)년에 설치되어 1765(영조 41)년에 독립 관서가 되었고, 이때부터 임금도 참여하였다.    바로가기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만조(국민대학교, 한국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