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복 ()

의생활
물품
고려 전기에서 조선 말기까지 국왕이 제례(祭禮) 때 착용한 관복.
이칭
이칭
곤복
내용 요약

면복은 고려 전기에서 조선 말기까지 국왕이 제례 때 착용한 관복이다. 관복을 착용할 때 면류관을 쓰고 곤복을 입고 규를 든다. 면류관은 왕·세자·세손 등 신분에 따라 면판의 너비나 들어뜨리는 장식의 숫자가 각각 다르다. 곤복은 곤룡포라고도 한다. 곤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의·상·중단·폐슬·혁대·대대·패옥 등이다. 곤복을 특징 짓는 것은 일월성신이나 산과 용, 화충 등의 문양에 있다. 규는 홀과 같은 것으로 조선 시대 국왕의 규는 9촌 청옥규였다. 면복은 국왕이나 왕세자가 종묘·사직에 제사 지낼 때 입던 대례 제복이었다.

정의
고려 전기에서 조선 말기까지 국왕이 제례(祭禮) 때 착용한 관복.
면류관

면류관은 제관(祭冠)으로 원래 중국 고대의 관모인 작변(爵弁)을 조형(祖型)으로 하여 발달한 것이다. 작변에 있던 수(收)가 없어진 대신 여러가지 수식이 가해졌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주2 앞뒤에 달린 수류(垂旒)로서 『예기』 옥조에 나오는 전후수연(前後邃延)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중국 역조(歷朝)에서도 유에 사용된 옥의 색과 수에는 변동이 있었다. 이 면류는 수연(邃延), 즉 유가 뒤보다 앞이 1촌 정도 길어 전면후앙(前冕後仰)의 뜻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은 송나라 대관(大觀) 연대에 관신(冠身)의 높이를 앞보다 뒤를 1촌 정도 높임으로써 고정되었다. 면의 좌우, 즉 귓가에는 주광(黈纊)을 늘어뜨렸다. 후세에 와서는 이를 주광충이(黈纊充耳) · 청광충이(靑纊充耳)라 하여 면(綿) 대신 옥주(玉珠)를 사용하였다.

또 면의 좌우 귓가에는 진(瑱)도 늘어뜨렸다. 진은 색이(塞耳) 또는 충이(充耳)라고도 하는데, 이는 그 위치가 귀 곁에 있기 때문이다. 광(纊)도 그 위치가 진과 같았으므로 후세에는 충이라 칭하고 오히려 진을 옥진이라 하였다.

명나라 때에는 현담(玄紞)에 광을 늘어뜨리고 이어서 옥진을 달았다. 이밖에 굉(紘)과 담(紞)이 있는데 굉은 한줄의 조(組) 양끝을 관신(冠身)의 무(武)에 달아 턱 밑에서 매고는 가슴 앞에 드리우게 된 것이다.

당나라의 염입본(閻立本)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제왕도(帝王圖)」에는 이의 모습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마치 긴 끈을 원으로 만들어 평천판 표면 중심부에서 좌우로 걸치고 양어깨와 앞가슴을 지나 하복부까지 길게 늘어뜨린 형태로 되어 있다.

부속물로서는 계(筓)가 있었는데 이것은 잠도(簪導)라고도 하며 관신의 무 위쪽에서 좌우로 꽂게 되어 있다. 이것은 면류관을 두발에 안착시키는 구실을 하였다. 이러한 면류관은 중국에서도 역조(歷朝)를 통하여 그 원형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크기에는 여러 변천이 있었다.

우리나라의 면류관을 살펴보면, 국왕의 것은 면판의 너비 8촌, 길이 1척6촌으로 앞은 둥글고 뒤는 네모졌으며 겉은 현색 증(繒)으로 덮고 안은 훈색(纁色) 증으로 쌌다. 앞뒤에는 9촌 길이의 9류가 있어 각 유마다 주 · 백 · 창 · 황 · 흑의 순으로 5채옥 9과를 늘어뜨렸다.

관신은 앞높이 8촌5푼, 뒤높이 9촌5푼으로 금식하였으며 금잠(金簪)을 꽂았다. 양옆에는 현색 담이 있어 청광충이와 이어서 백옥진을 늘어뜨렸다. 자색 조(組) 두줄은 양쪽 무에 부속시켜 이를 턱 밑에서 매고 나머지를 늘어뜨렸다.

주색 조 한줄은 주3 왼쪽에 얽고 턱 밑을 돌려 오른쪽 위로 올려서 계에 부착시켜 곱쳐매었으며 나머지는 늘어뜨려 수식으로 삼았다.

왕세자 면류관도 이와 동제이나 유만 8류로서 주 · 백 · 창의 순으로 3채옥 8과를 늘어뜨렸다. 왕세손의 면류관은 7류로서 주 · 백 · 창의 순으로 3채옥 7과를 늘어뜨렸다. 대한제국 황제의 면류관은, 관신은 원광(圓匡)의 오사모(烏紗帽)이고 면판은 길이 2척4촌, 너비 2척2촌이었으며 현표주리(玄表朱裏)에 전원후방(前圓後方)하였다.

앞뒤에는 각각 황 · 적 · 청 · 백 · 흑 · 홍 · 녹의 7채옥주를 꿴 12류가 있었으며, 관신과 면판은 옥형(玉珩)으로써 연결 유지시켰다. 이밖에 옥잠도를 꽂았으며, 주영이 있었고 현담에 옥주를 가지고 청광(靑纊)과 충이(充耳:瑱)를 늘어뜨렸다. 황태자의 면류관은 대한제국 이전의 왕 면류관과 같은 것이었으며, 친왕의 면류관은 왕세자의 것과 같았다.

곤복

곤룡포라고도 한다. 곤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의(衣) · 상(裳) · 중단(中單) · 폐슬(蔽膝) · 혁대(革帶) · 대대(大帶) · 패옥(佩玉) · 수(綬) · 말(襪) · 석(舃)이었다. 여기에 규(圭)를 들고 있었는데 곤복을 특징지어주는 것은 그 장문(章紋)이라 할 수 있다.

그 시원은 황제(黃帝)가 처음으로 면복을 제정할 때 휘적(翬翟)과 초목을 5색으로 염색하여 장문으로 삼았다는 데 두기도 한다.

그러나 이를 고고학적으로 고찰해보면 당시의 중국은 신석기시대로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시기였으며 출토된 유물에서도 이에 속하는 도문(圖紋)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므로 선민시대의 토테미즘에서 생긴 도문이 차츰 장식화되면서 고정된 문양으로 발전되었고, 주나라 말엽 전국시대 때 면복에 사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기록에 의하면 12장복을 정식으로 착용한 것은 후한의 명제가 그 복제를 정한 때부터였다. 『서경』 익직편(益稷篇), 『주례』 변사(弁師), 『예기』 옥조(玉藻) 등의 고전에 붙인 장황한 주소(注疏)들은 주소자 자신의 시대에 입던 복식의 연구자료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장문에 담겨진 뜻은 다음과 같다.

① 일(日) · 월(月) : 일과 월은 본래 원형의 해와 초생달을 상징한 것이라 하는데 한대(漢代) 이후에는 모두 원륜(圓輪)으로 나타내고 양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일 가운데 주4, 월 가운데 주5를 부가하였다.

『삼재도회(三才圖會)』에는 원륜 가까이에 있는 성신의 수로써 일 · 월을 구별하였다. 즉 삼성이 있는 것은 일, 칠성이 있는 것은 월이다. 이 일월도상은 조명무사(照明無私)를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② 성신(星辰) : 이것도 조명무사를 나타낸 것이라고 하는데, 『삼례도(三禮圖)』 · 『삼재도회』에서는 왼쪽에 북두칠성, 오른쪽에 직녀성을 표시하고 있다.

북두칠성을 선택한 것은 옛 중국인들은 이를 천문을 관측하는 기기로 삼아 칠정(七政)를 관찰하였기 때문이다. 직녀성을 선택한 것은 사람들이 항상 바라보고 있는 별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③ 산(山) · 용(龍) : 고대인들은 산과 물을 신성시하여 높은 산을 신악(神岳), 큰 물을 성수(聖水)로 삼아 숭상하였다. 그러므로 산을 그리는 데는 산짐승인 장(獐)을 함께 하고 물을 그리는 데는 물에 산다는 용을 함께 하였다. 그런데 점차 산만 표시하고 장은 표시하지 않았고 물은 용으로만 표시하였다.

산은 진정(鎭定)을 표시한 것이라고도 하고, 구름을 토하여 비와 이슬을 만들어 만물에 혜택을 준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고도 한다. 용은 신기변화(神奇變化)를 표시하고 적응을 잘 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④ 화충(華蟲) : 『주례』 고공기(考工記) 화회조(畫繪條)에 의하면 본시 조(鳥) · 수(獸) · 사(蛇)가 합쳐서 된 것으로 오채가 빛나는 동물을 생각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깃이 다채롭고 아름다운 꿩을 택하게 된 것이라고 본다. 화충은 문채(紋采)의 화미함을 표시한 것이라고 한다.

⑤ 종이(宗彛) : 종묘의 이기(彛器), 즉 이준(彛樽)을 일컫는 것이다. 종묘의 이기에는 계이(鷄彛) · 조이(鳥彛) · 가이(斝彛) · 황이(黃彛) · 호이(虎彛) · 유이(蜼彛)의 6이가 있었는데 순제(舜帝)가 사용하였다는 가장 오래된 호이 · 유이를 택하여 하나의 이기에 동재시켰다.

『삼재도회』에 기록된 것을 보면, 호(虎)는 우리의 눈에 익은 그대로이고 유(蜼)는 협비(挾鼻)에 꼬리가 긴 미후류(獼猴類)로 그려져 있다. 종이는 효(孝)를 표시한 것이라고도 하며 호는 맹무를, 유는 지혜를 나타낸 것이라고도 한다.

⑥ 조(藻) : 작수초상(作水艸狀)으로 일종의 당초식(唐草式)의 곡선문을 이루고 있다. 조는 문채가 있고 청결함을 표시한 것이라고 한다.

⑦ 화(火) : 한대에는 화자(火字)로 한다고 하였는데 『삼례도』나 『삼재도회』에서는 자연연소의 형상인 불꽃을 나타내고 있다. 화는 조요(照耀)와 광휘(光輝)를 표시한 것이라고 한다.

⑧ 분미(粉米) : 한나라 때의 공안국(孔安國)은 분과 미를 별개로 하여 2장으로 만들었고 정현(鄭玄)은 분과 미를 합쳐서 1장으로 삼았다.

정현의 설에 의거하였던 분미문은 여러 예도(禮圖)에서 볼 때 원형에다 추미(緅米)의 형상을 하고 있다. 분미는 이것이 내포하고 있는 뜻 그대로 양민(養民)을 표시한 것이라고 한다.

⑨ 보(黼) · 불(黻) : 한나라 이래로 보문은 백인흑신(白刃黑身)의 부(斧)의 실상(實像)으로 삼고 있으며 불문은 흑과 청이 상대한 문으로 삼고 있다.

보문을 부형으로 구상하게 된 데에는 원시적 삼각회선의 뇌문(雷紋)인 보문에 부(斧)와 같은 예각이 있었으므로, 이에서 부문으로서 보문을 대신하게 되었다고 본다. 뇌문이 표시하는 우뢰의 뇌성벽력은 그 위세가 사람을 진공하게 한다.

그러므로 부의 나무를 내리치는 소리를 이에 비기고, 우뢰가 지닌 결단의 힘과 뜻을 부에 붙여 보문을 가지고 능단(能斷)을 나타내었다.

불문은 두 기(己)를 상배시켜 {{#067}}문으로 표시하는데, 이는 와상회선의 뇌문 가운데에서 하나의 와문(渦紋)을 단독적으로 채택하여 방형 회선문을 이룬 데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불문은 신민(臣民)의 배악향선(背惡向善) 또는 군신(君臣)의 이합(離合)에 의리가 있어야 함을 나타낸 것이라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의(衣)

의의 유래를 보면 『역경』 계사(繫辭)에 황제(黃帝) · 요(堯) · 순(舜)이 의상을 드리우니 천하가 다스려졌다고 하였다.

남헌 장씨(南軒張氏)는 이에 부연하기를 “견(絹)으로 의를 만드는데 그 색은 현(玄)으로, 이는 도리(道理)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은 백성으로 하여금 군신 · 부자 · 존비 · 귀천을 알게 하여 그 분에 안주하게 함이다.”라고 하였다.

우리나라 국왕의 의는 청과 흑에 약간의 적색이 섞인 현색 증으로 지었으며 용 · 산 · 화 · 화충 · 종이의 5장문을 그 위에 그렸다. 왕세자의 의는 화 · 화충 · 종이의 3장문을 그렸고 왕세손의 의는 조만을 그렸다.

대한제국 황제의 의는 현의(玄衣)로, 어깨에 지름 5촌의 일 · 월을, 뒤에 성신과 산을, 양소매에 용과 화충을 직성하였다. 황태자의 의는 용 · 산 · 화 · 화충 · 종이를 직성하였고, 친왕의 의는 화 · 화충 · 종이를 직성하였다.

상(裳)

무릎 앞에서 뒤까지를 치고 가리우는 의(衣)이다. 황제 때부터 있던 것으로 남헌 장씨는 “벽폭으로 상을 만든다. 그 색은 훈(纁)으로 사리(事理)를 나타낸다. ”라고 하였다.

우리나라 국왕의 상은 3염(染)하여 나온 훈색 증으로 지은 전 3폭, 후 4폭의 것이었다. 폭마다 삭폭(削幅)이라 하여 양가장자리 1촌을 꿰맸고, 허리 사이에는 많은 벽적(襞積)이 있었다.

옆 준(純:綠)인 벽(綼)과 아래 준인 석(緆)의 넓이는 각 1촌 반으로 표리를 합하여 3촌으로 하고, 그 위에 조 · 분미 · 보 · 불의 4장을 수놓았다. 왕세자의 상도 이와 같았으며, 왕세손의 것은 보 · 불 1장씩을 앞의 상 좌우 폭에 그렸다.

대한제국 황제의 상은 화 · 종이 · 조를 2행, 분미 · 보 · 불을 2행으로 하여 수놓았으며 전 3폭 후 4폭이 연속하여 휘장과 같았다. 황태자의 상은 그전 국왕의 것과 같았으며 친왕의 상도 이와 같았다.

단의(單衣)주6로 된 중의(中衣)라고 할 수 있다. 단의는 홑으로 된 것으로 위와 아래를 직선적으로 통재(通裁)한 것이다.

전재(剪裁)하여 양절(兩截)한 후 다시 이어대어 보기에는 직선적인 것 같아도 의와 상의 형태가 구분되어 보이게 한 심의(深衣)와는 다르다. 이 단의는 본래 내의와 외의의 겸용이었으나, 외의로 입게 되어서는 포(袍)로서 조복(朝服) · 제복(祭服)이 되었다.

그리고 중의로 입게 되어서는 중단으로서 조복 · 제복의 안 옷이 되었다. 조선시대 국왕의 중단은 백색 증으로 지었다. 청령(靑領)에는 불문 11개를 그렸고 도련 · 수구에는 청선(靑襈)을 둘렀다.

왕세자의 중단에는 불문을 9개 그렸고, 왕세손의 중단에는 7개를 그렸다. 대한제국 황제의 중단은 소사(素紗)로 지었으며 12개의 불문을 그렸다. 황태자와 친왕의 것은 대한제국 이전의 국왕과 왕세자의 중단과 같았다.

폐슬(蔽膝)

무릎 앞을 가리는 장방형의 의(衣)이다. 조선시대 국왕의 폐슬은 훈색 증으로 지었다. 이것은 연식으로 위에는 비(紕), 아래는 준(純)이 있었고, 연을 봉합한 가운데에 순(紃)을 베풀었으며, 위에서 5촌 밑으로 조 · 분미 · 보 · 불을 2행으로 수놓았고, 위에 2개의 옥구(玉鉤)가 있어 혁대에 걸게 되어 있었다.

왕세자 곤복의 폐슬도 이와 같다. 왕세손의 폐슬도 이와 같은데 다만 보 · 불을 2행으로 하여 좌우에 각 1행씩 그렸다. 대한제국 황제의 폐슬은 훈색 나(羅)로 지었는데, 위에 용 하나, 아래에 화 3개를 수놓은 점만 다르고 다른 수식은 전의 국왕의 것과 같았다. 황태자 · 친왕의 폐슬은 전의 국왕의 것과 같았다.

혁대(革帶)

조선시대 면복에는 혁대가 보이지 않지만 폐슬 · 패옥 · 수 등을 사용한 것으로 미루어 이 역시도 사용되었으리라고 짐작된다.

『인조실록』에도 김상용(金尙容) 등이 “당초 면복을 사여할 때 혁대는 내리지 않았으나 이는 중국 조정의 제후왕(諸侯王)의 예(例)에 의하면 면복에는 옥대(玉帶)를 착용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라 하여 이에 따라 혁대를 갖추게 되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대한제국 황제 곤복에는 혁대의 규정이 있어, 앞에는 옥을 사용하고 뒤에는 옥을 사용하지 않고 패수(佩綬)를 매달아 이를 가렸다고 한다. 황태자의 혁대는 금구철을 장식한 것이었다. 친왕의 혁대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역시 금구철을 장식한 것으로 추측된다.

대대(大帶)

조선시대 국왕 곤복의 대대는 비색과 백색의 증을 합봉한 것으로 왕세자 · 황세손의 대대도 이와 같았다. 대한제국 황제 곤복의 대대는 소표주리(素表朱裏)로서 위에는 주연(朱緣), 아래에는 녹연(綠緣)이 있었고 금(錦)은 사용하지 않는다 하였다.

황태자의 대대도 소표주리로서 허리에 두르는 부분과 늘어뜨리는 부분에 벽(綼)이 있어 상벽은 주색, 하벽은 녹색이었으며 유약(紐約)에는 청조를 사용한다 하였다. 따라서 황제의 대대에는 중국 황제의 대대와 같이 소조를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패옥(佩玉)

조선시대 국왕 곤복의 패옥은 위에 금구(金鉤)가 있고, 민옥을 사용하여 다음에 형(衡), 가운데에 거(琚)와 우(瑀), 밑에 쌍황(雙璜)이 있다. 쌍황 사이에 충아(衝牙), 충아와 쌍황 사이에 쌍적(雙滴)이 있었으며 계조(繫組)에 약옥주(藥玉珠)를 꿴 것이었다.

왕세자 · 왕세손의 패옥도 이와 같다. 대한제국 황제 곤복의 패옥은 하나의 옥패에 옥형(玉珩 : 衡) 1, 우 1, 거 2, 충아 1, 황 2개를 사용하였다. 우 밑에는 옥화(玉花)가 있고 옥화 밑에는 2개의 옥적(玉滴)을 늘였는데 운용문을 탁식하고 묘금(描金)하였다.

옥형으로부터 밑으로 5줄의 조(組)를 매어달고 옥주를 꿰어서 걸으면 충아와 두 옥적이 황과 부딪쳐 소리를 내게 하였다.

옥패 위에는 1개의 금구가 있었고, 옥패 받침으로 훈색 바탕에 황 · 백 · 적 · 현 · 표 · 녹의 6채로 짠 소수(小綬)가 딸려 있었으며, 소수 밑에는 사망(絲網)이 달려 있었다. 황태자의 패옥은 거가 하나였으며, 소수도 훈색 바탕에 적 · 백 · 표 · 녹의 4채로 짠 것이었다. 친왕의 패옥은 전의 국왕의 패옥과 같다고 하였다.

수(綬)

조선시대 국왕 곤복의 수는 홍화금(紅花錦)으로 만들고 2개의 금환(金環)을 간시(間施)하였다고 한다. 『제복도설』 수도(綬圖)에 보면, 대수 밑에는 사망이 달려 있고 3개의 소수가 대수 위에 드리워져 있으며, 2개의 환이 간시되어 있다. 대한제국 황제 곤복의 수는 훈색 바탕에 황 · 백 · 적 · 현 · 표 · 녹의 6채를 가지고 5수로 짠 것이었다.

여기에는 같은 색의 소수 3개가 딸려 있고 3개의 옥환을 간시하고 있었다. 황태자 곤복의 수는 훈색 바탕에 적 · 백 · 표 · 녹의 4채를 가지고 330수로 짠 것이었다. 여기에도 3개의 소채수(小采綬)가 딸렸고 2개의 옥환을 간시하고 있었다. 친왕 곤복의 수는 전기 국왕의 수와 같다고 하였다.

말(襪)

조선시대 국왕 곤복의 말은 비색 단(緞)으로 거죽을 하고 비색 초(綃)로 안을 하였다. 대한제국 황제 곤복의 말은 주색 단으로 지었다 한다. 황태자와 친왕의 말도 황제와 같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석(舃)

비색 단으로 거죽을 하고 백색 증으로 안을 하였다고 한다. 『제복도설』 석도(舃圖)에서 보면 연식(緣飾)이 있고 석수(舃首)에 장식이 보이며 기대(綦帶)가 딸려 있다. 대한제국 황제의 석은 적색 단으로 만들었으며 황색 조(條)로 연식하고 현색 주7으로 매었다.

『제복도설』 석도에는 석에 운두가 없으며 기대가 없고 연식과 더불어 석수에는 큰 장식이 가식되어 있다. 황태자 곤복의 석은 적색 단으로 만들고 흑색 주8이 있으며 석수를 흑식(黑飾)하였다 하였는데 석도(舃圖)에서의 모습은 황제의 것과 같다.

규(圭)

홀과 같은 것으로서 조선시대 국왕의 는 청옥규였으며, 길이 9촌, 너비 3촌이었다. 『국조속오례의』 서례 옥규도설을 보면 백옥규를 사용하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왕세자 · 왕세손의 규는 7촌 길이의 청옥규였다.

대한제국 황제의 규는 1척2촌 길이의 백옥규로서 위를 뾰죽하게 하고 산(山) 넷을 조각하였으며 황금(黃錦)으로써 받치고 황기낭(黃綺囊)에 채웠다. 황태자의 규는 9촌5푼의 길이에 금으로 밑을 묶고 도장(鞱藏)하였다. 친왕의 규는 9촌의 길이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방심곡령(方心曲領)

원래 원유관(遠遊冠) · 강사포(絳紗袍)의 가슴 중심부에 가식하였던 것으로 면복에는 없던 것인데 조선에서는 친제시에 사용하였다. 이는 백색 나(羅)로 만들었으며 양옆에 영(纓)이 있어 좌영은 녹색, 우영은 홍색으로 하였다.

대한제국 황제 면복에는 보이지 않고 황태자 면복의 도설에만 보이고 있다. 친왕 면복에 있어서는 이의 존재를 밝히고 있는데 아마도 황제 이하는 전례대로 이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면복은 우리나라에서 국왕의 조근 및 봉사지복(奉祀之服)으로서 천지 · 종묘 · 사직 · 선농(先農)에 제사하고 정조 · 동지 · 성절(聖節) 등에 착용하던 대례 제복이었다. 왕세자가 천지 · 종묘 · 사직에 배사하고 정조 · 동지 · 조회 · 수책(受冊) · 납빈(納嬪) 등에 착용하던 것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
『외기(外記)』
『상정고금례(詳定古今禮)』
『예기(禮記)』
「삼례도(三禮圖)」
『삼재도회(三才圖會)』
『주례(周禮)』
「제복도설(祭服圖說)」
주석
주1

면류관의 주옥을 꿰어 늘어뜨린 끈을 드리움.

주2

평천판(平天板)

주3

잠(簪).

주4

까마귀

주5

두꺼빗과의 양서류. 모양은 개구리와 비슷하나 크기는 그보다 크며 몸은 어두운 갈색 또는 황갈색에 짙은 얼룩무늬가 있다. 등에는 많은 융기가 있으며 적을 만나면 흰색의 독액을 분비한다.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6

선의(襌衣)

주7

綦帶

주8

綠飾

집필자
유희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