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원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제도
대한제국시대에 국내외의 도서 · 신문 · 잡지 등을 보관 · 관리하는 업무를 관장하던 궁내부 산하의 관서.
제도/관청
설치 시기
1903년(광무 7)
상급 기관
궁내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문원은 대한제국시대에 국내외의 도서 · 신문 · 잡지 등을 보관 · 관리하는 업무를 관장하던 궁내부 산하의 관서이다. 갑오개혁 때 왕권을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한 궁내부는 대한제국시대에 오히려 강화된 황제권의 실현기구로 변모하였다. 궁내부가 대폭 확대되는 과정에서 1903년 1월에 박문원이 설립되었다. 1904년 1월, 예식원(禮式院) 박문과(博文課)로 축소 · 개편되었다.

목차
정의
대한제국시대에 국내외의 도서 · 신문 · 잡지 등을 보관 · 관리하는 업무를 관장하던 궁내부 산하의 관서.
내용

1903년(광무 7) 1월 23일, 궁내부에 박문원을 설치하고 국내외 고금(古今)의 유명한 서적, 신문, 잡지, 월보(月報), 연보(年報) 등을 보관, 관리하는 업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관원으로 원장 1인은 칙임관(勅任官), 부장(副長) 1인은 칙임관 혹은 주임관(奏任官)으로 임명하였다. 찬의(贊議) 2인은 칙임관 대우, 감서(監書) 2인은 주임관, 기사(記事) 2인은 판임관(判任官)으로 임명하였다.

1903년 2월 3일, 프랑스어학교 교사 마르텔(E. Martel)을 박문원 찬의에 임명한 것을 보면, 박문원은 해외서적 및 자료 수집에도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르텔은 1904년 1월 21일, 러일전쟁 발발 직전에 대한제국이 중국의 산둥반도 지푸에서 「전시중립선언」을 발표하는데 관여한 사람이다.

관제의 변동 사항을 보면, 1903년 10월 19일에 부장 1인과 찬의 3인을 증원하였고, 감서는 참서(叅書)로 명칭이 바뀌었다. 11월 26일에는 기사가 주사(主事)로 명칭이 바뀌었고, 참서와 주사는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04년 1월 11일에 불필요한 관청의 통폐합 조처를 건의한 궁내부대신 서리 성기운(成岐運)의 상소에 따라 궁내부 수륜원(水輪院), 평식원(平式院), 관리서(管理署)와 함께 박문원도 폐지되었다. 다만 박문원의 기능은 궁내부 산하 예식원(禮式院)에 박문과(博文課) 설치로 계승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종실록』
『구한국관보』
『궁내부관제』
『포달목록(布達目錄)』

단행본

서영희, 『대한제국정치사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논문

서영희, 「1894~1904년의 정치체제 변동과 궁내부」(『한국사론』 23,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0)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