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백희 ()

목차
관련 정보
연극
작품
서역악(西域樂)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민간의 잡희(雜戱)의 총칭.
목차
정의
서역악(西域樂)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민간의 잡희(雜戱)의 총칭.
내용

서역악(西域樂)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민간의 잡희(雜戱)의 총칭. 산악잡희 또는 각저희(角抵戱)라고도 한다. 산악이란 정식으로 격식을 갖춘 무악(舞樂)인 아악(雅樂) 또는 정악(正樂)에 대칭되는 말이다.

각저(角抵 · 觳抵)는 좁은 뜻으로는 씨름이나, 넓은 뜻으로는 산악백희를 가리킨다. 따라서 각저희는 연극사에서 볼 때는 산악백희의 뜻으로 사용되는 것이 통례이다. 중국의 한(漢)나라 때 서역과의 교통이 열리고 문물이 수입되면서 서역의 환술(幻術)이 전래되었고, 그 영향으로 산악백희가 시작되어 당나라 때 융성하였다.

그 내용에 대한 기록은 ≪사기≫ 대완전(大宛傳)이나 ≪전한서 前漢書≫ 서역전(西域傳)에 나타나는데, 여헌(黎軒, 알렉산드리아)의 현인(眩人)과 환인(幻人) 같은 기술곡예인(奇術曲藝人)을 한조(漢朝)에 바쳤다고 하였다.

‘대완전’에서는 이들의 놀이를 ‘각저기희(觳抵奇戱)’라고 했는데, 왕국유(王國維)는 이 각저희의 내용을 후한(後漢) 때 사람 장형(張衡)의 시 <서경부 西京賦>를 인용하여 설명하였다.

그 내용은 오획강정(烏獲扛鼎:역기의 일종) · 도로심장(都盧尋橦:솟대타기) · 환검(丸劒)던지기 · 주색(走索:줄타기) · 탄도(呑刀:칼 삼키기) · 토화(吐火) 등의 기기(奇伎)와 곡예이고, 아울러 호랑이 · 곰 · 표범 · 용 등 각종 동물로 분장한 가면희(假面戱)와 그 밖에 가무와 동해황공(東海黃公)의 고사(故事)를 줄거리로 한 놀이까지 있었다. ≪구당서 舊唐書≫ 악지(樂志)에는 “무릇 산악잡희에는 환술이 많은데 모두 서역에서 나온 것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중국의 산악백희가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전해진 것은 2세기 전반으로, 부여국에 전하였다가 다시 고구려에 전하여져 잡희로서 성행하였다. 중국의 사서(史書) 기록이나, 일본에 전하는 고마가쿠(高麗樂)와 고구려 고분벽화 등을 볼 때, 4세기 이전부터 고구려에 잡희가 성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잡희가 오기(五伎)로서 신라 향악(鄕樂)에 집대성되었다. 그러므로 신라시대의 가무백희(歌舞百戱)라는 것은 이 산악백희와 대동소이한 것이다. 고려시대는 신라의 가무백희의 전통을 계승하여 연등회나 팔관회 때 연행하였다.

즉, 고려시대는 가례(嘉禮)인 연등회와 팔관회에서 채붕(綵棚:오색 비단장막을 친 다락모양의 장식무대)을 설치하고 가무백희를 연행하였으며, 또한 흉례(凶禮)에 속하는 나례(儺禮)에서도 채붕 없이 가무백희가 연희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산대잡극(山臺雜劇) · 나례잡희로 이어졌는데, ≪문종실록≫에는 이들을 ‘규식지희(規式之戱:시각적인 몸짓 위주의 연희)’와 ‘소학지희(笑謔之戱:청각적인 재담 · 익살 위주의 연희)’와 ‘음악’으로 나누고 있다.

이들의 내용을 보면 규식지희에는 서인(西人) · 주질(注叱) · 농령(弄鈴) · 근두(斤頭) 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서호희(西胡戱) · 줄타기, 농환계(弄丸系)의 죽방울 받기 같은 것, 근두박질(筋斗撲跌:땅재주)로 추측된다.

소학지희에는 수척(水尺:배우)의 중광대[僧廣大] 등이 있는데, 중광대는 민속극의 파계승놀이마당과 같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악공(樂工)들의 음악이 있다.

연극사적으로 보면 이 여러 측면이 발전하여 산대도감계통극(山臺都監系統劇)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산악백희는 20세기 초까지도 초계 밤마리의 대광대패에 의해 탈춤과 함께 연희되었으며, 현존하는 민속극과 남사당패의 풍물(농악) · 버나(대접돌리기) · 살판(땅재주) · 어름(줄타기) · 덧뵈기(탈놀이) · 덜미(꼭두각시놀음)와 같은 데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산악백희는 서역의 영향으로 중국 한나라 때 비롯되어 당나라에 계승되고, 한반도와 일본에까지 전파되어 산대잡극 · 나례잡희와 사루가쿠(猿樂)의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한국가면극(韓國假面劇)』(이두현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의 가면극(假面劇)』(이두현, 일지사, 1979)
「산대희(山臺戱)에 취(就)하여」(양재연, 『중앙대학교 30주년기념 논문집』, 1955)
「신라오기고(新羅五伎攷)」(이두현, 『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문집』9, 1959)
「시용향악보가사(時用鄕樂譜歌詞)의 배경적연구(背景的硏究)」(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산대도감극성립(山臺都監劇成立)의 제문제」(최정여, 『계명대학 한국학논집』1, 1973)
『宋元戱曲攷』(王國維, 藝文印書館, 1912)
집필자
이두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