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봉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적
북한 함경북도 종성군 남산면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반월형석도 · 어망추 · 무문토기 등이 출토된 유물산포지.
목차
정의
북한 함경북도 종성군 남산면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반월형석도 · 어망추 · 무문토기 등이 출토된 유물산포지.
개설

유적은 두만강 중류계곡인 상삼봉(上三峰)에서 하삼봉에 이르는 10리 정도 범위에 있다. 삼봉부락의 남쪽 끝에서부터 두만강을 따라 A·B·C·D의 4개 지점에서 유물이 출토되는데, 모두 강안 단구에 위치한 유물포함층이다.

내용

이 일대는 일제시대부터 알려져 많은 유물이 채집되었다. 철도공사 중 한 구덩이에서 자작나무껍질로 만든 그릇·반월형석도·달도끼〔環狀石斧〕·타제석촉·원반형석기·단도마연토기(丹塗磨硏土器) 외에도 많은 석기류가 나왔다. 그 뒤 북한학자들이 1948·1950·1954·1957년 등 4차례에 걸쳐 조사했지만, 본격적인 발굴 없이 지표채집에 그쳤다.

4지점 중 1948년부터 1954년에 조사한 A·C·D지점에서는 무문토기·바닥이 납작한 빗살무늬토기·채색토기·흑색토기와 타제석촉·마제석촉·타제석창·마제석창·연석(碾石)·연석봉·돌괭이·반월형석도·타제석부·마제석부·숫돌·어망추·방추차·송곳·골촉·흑요석기편·석제장식품·거푸집·달도끼 등이 출토되었다.

1957년에 조사된 B지점은 두만강에서 약 200m쯤 떨어진 단구에서부터 산기슭에까지 퍼져 있다. 이곳에서는 무문토기가 대부분으로 발(鉢)·시루·두(豆)·나무그루터기손잡이 등이 출토되었고, 석기로는 석부(石斧)·숫돌·연석·석촉·창끝·반월형석도·호미·타제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또 전지역 공통으로 청석(靑石) 혹은 점판암제의 마제·타제석기가 많이 보인다. 1948년에 D지점에서 출토된 거푸집은 양면에 2개씩의 반구형(半球形) 유물을 주조할 수 있게 새겨져 있어, 구슬모양의 장식품을 주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 유적의 연대는 출토유물로 보면, C·D지점이 시대가 앞선 신석기시대 말기, A·B지점은 무문토기시대 초기부터 말기(300년경)까지 걸쳐 있어 시대 폭이 크다. 또한 문화적으로도 빗살무늬토기·무문토기·채색토기·흑색토기 등 다양한 문화가 복합된 양상을 보여 대체로 연해주와 만주·시베리아를 잇는 중국 동북지방과 같은 문화영역에 속한다.

유물은 괭이·반월형석도·연석·시루 등 농경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어망추도 대량으로 출토되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시대 폭은 있으나 사냥·고기잡이의 단계에서 농경이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청동주조까지 보이는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대형 어망추가 출토되는 것은 대규모의 포망어로(布網漁撈)가 실시되었을 가능성도 보여준다.

참고문헌

「함경북도 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황기덕, 『문화유산』1957년 1·2호, 과학원출판사)
「두만강유역과 동해안일대의 유적조사」(황기덕, 『문화유산』 1957년 6호, 과학원출판사)
집필자
이강승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