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휴당문집』은 조선시대 학자 안공의 시문집이다. 2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 1922년 10대손 하진(廈鎭)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철(李中轍)·조긍섭(曺兢燮)의 서문, 권말에 장석영(張錫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권1에 시 31수, 서(書) 6편, 논(論) 1편, 설(說) 2편, 변(辨) 1편, 밀주오현행적(密州五賢行蹟) 5편, 서(序) 2편, 발(跋) · 묘지명 · 묘표 각 1편, 제문(祭文) 2편, 권2에 부록으로 행장(行狀) · 묘갈명 · 묘지명 각 1편, 시 5수, 기(記)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31수의 시에서는 그의 일상과 교유를 확인할 수 있다.
서(書) 가운데 「서여헌장선생(書旅軒張先生)」은 장현광(張顯光)에게 상례(喪禮) · 우제(虞祭) · 강복(降服) · 담제(禫祭) · 복식 등에 대해 질문한 것이다. 「답김자중지익(答金子重之釴)」과 「답혹인문목(答或人問目)」은 역리(易理) · 역수(曆數) · 십이벽괘(十二辟卦) 등에 대한 질문에 답한 것으로, 저자의 학문의 깊이를 알 수 있게 한다.
논(論) 1편은 「성탕방걸유유참덕론(成湯放桀猶有慙德論)」인데, 탕임금이 걸임금을 쫓은 것이 공익적 차원에서 봤을 때는 마땅할지 몰라도, 그래도 탕임금은 부끄러워했다는 내용의 글이다.
설 가운데 「이단기유심설(異端起儒心說)」에서는 이단이 국민 생활에 끼치는 피해는 막대한 것이라 할 수 있지만, 과거만 아는 선비의 피해는 더 크다고 지적, 명리에만 급급해 선비의 본분을 망각한 자들을 통박하였다.
「상복제변(喪服制辨)」에서는 사람이 예를 지키려고 하는 것은 명분 때문이라고 지적, 이 명분이 귀천의 구분을 만드는 것이므로 예는 도리에 어긋나게 할 수 없다고 하였다. 임금이 신하의 복을, 스승이 제자의 복을 입지 못함은 귀천의 구분 때문이며, 그들은 심상(心喪)을 입는 것이라 설명하였다.
이밖에 밀양의 명현 이신(李申) · 변계량(卞季良) · 김종직(金宗直) · 박한주(朴漢柱) · 신계성(申季誠)의 행적을 기록한 「밀주오현행적(密州五賢行蹟)」과 마을의 법을 고친 이유를 밝힌 「향헌수정서(鄕憲修正序)」가 있다.
부록에는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행장,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묘갈명, 안정복(安鼎福)의 묘지명, 「오휴당중건기(五休堂重建記)」, 조카 안익한(安翔漢)의 「오휴당시(五休堂詩)」와 이에 차운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