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준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후손으로, 영녕공에 봉해진 뒤 왕자로 가장하여 몽고에 볼모로 갔으나, 몽고 황제의 신임을 얻어 안무고려군민총관을 역임한 종실.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23년(고종 10)
사망 연도
1283년(충렬왕 9)
본관
개성(開城)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영녕공|안무고려군민총관
관련 사건
몽고의 고려 침공
정의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후손으로, 영녕공에 봉해진 뒤 왕자로 가장하여 몽고에 볼모로 갔으나, 몽고 황제의 신임을 얻어 안무고려군민총관을 역임한 종실.
개설

본관은 개성(開城). 현종의 후손으로 청화후(淸化侯) 왕경(王璟)의 아들이며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의 아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영녕공(永寧公)에 봉해진 뒤 1241년(고종 28) 왕명에 따라 왕자라 칭해졌다. 고관 자제 18인을 거느리고 주1가 되어 몽고에 갔는데, 주2 최린(崔璘), 장군 김보정(金寶鼎), 좌사간 김겸(金謙)과 함께였다. 그 뒤 왕의 친아들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성격이 원만해 오히려 몽고 황제에게 신임을 받았다.

1253년 몽고의 고려 침공계획을 눈치채고, 몽고사신이 고려에 오면 이나 태자 또는 안경공 왕창이 직접 맞아 호의를 베풀어 침해를 모면하라는 계책을 알려주었다. 그러나 최항(崔沆)이 듣지 않아 결국 몽고군이 쳐들어오게 되었다. 그 해 몽고의 야굴대왕(也窟大王)을 따라와 충주를 포위, 공격하였다. 이듬해에는 차라대(車羅大) · 홍복원(洪福源) 등과 함께 보현원에 진을 치고 머물렀다.

1255년에 다시 몽고 주3의 명에 따라 차라대를 따라 고려에 쳐들어와 약 1년간 각지를 어지럽히고 개경을 위협했다. 이후 안무고려군민총관(安撫高麗軍民摠管)이 되어 2,000여 호를 하사받아 심주(瀋州)를 다스렸다. 1270년(원종 11) 임연(林衍)의 반란 때는 파병요청에 따라 원나라 세조의 명으로 강화상(康和尙) · 홍다구(洪茶丘) 등과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또 고려에 들어왔다.

인질로 원나라 동경(東京: 遼陽)에 우거(寓居)했을 때 총관(摠管) 홍복원이 불평이 많자 몽고황족 출신인 영녕공의 처가 황제에게 고해 홍복원을 죽였다. 이 일로 인해 홍복원의 아들인 홍다구와는 사이가 나빴는데, 뒷날 홍다구의 참소로 여러 차례 곤경을 겪었다.

원나라에 살면서 특히 충렬왕 때에는 왕이 원나라에 들어갈 때마다 왕옹(王雍)사공(司空) 왕희(王熙) 등 두 아들을 데리고 와 말을 바치고 왕을 알현하였다. 용모가 단아했고, 특히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했으며, 책을 많이 읽어 지략이 뛰어나고 대의에 통했다고 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원사(元史)』
주석
주1

고려 후기에, 볼모로 원나라에 가서 숙위를 하던 왕족이나 귀족의 자제.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추밀원에 속한 종이품 벼슬. 헌종 1년(1095)에 중추원사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3

‘몽케 칸’의 묘호. 우리말샘

집필자
박옥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