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야시선 ()

조야시선
조야시선
한문학
문헌
1916년에서 1919년 사이에 이기가 조야(朝野)의 시인 233명의 시 1,130수를 수록한 시선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16년에서 1919년 사이에 이기가 조야(朝野)의 시인 233명의 시 1,130수를 수록한 시선집.
편찬/발간 경위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활동한 조야의 시인 233인의 시 1,130수를 모아 엮었다. 권두에는 1922년에 정만조(鄭萬朝)가 쓴 서문이 있다. 오세창(吳世昌)이 교열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1916∼1919년 사이에 이루어진 듯하다.

서지적 사항

규장각에 후사본 4권 2책이 소장되어 전한다. 곤(坤)책 뒤표지 이면에 있는 첨지(添紙)의 내용으로 보면 규장각 소장 필사본은 이준기(李駿基) 구장의 사본을 1940년 3월에 베껴내고 현양섭(玄陽燮)이 교정을 본 것이다. 작품을 시체별로 분류하지 아니하고 연대순 · 작자별로 수록하였다. 작자에 대한 간단한 해설을 붙인 체재로 되어 있다.

내용

『조야시선』은 홍세태(洪世泰)『해동유주(海東遺珠)』, 고시언(高時彦)『소대풍요(昭代風謠)』, 옥계시사(玉溪詩社)의 『풍요속선(風謠續選)』, 직하시사(稷下詩社)『풍요삼선(風謠三選)』, 장지연(張志淵)『대동시선(大東詩選)』으로 이어지는 계열에 속한다.

본래 이기는 장지연 · 장홍식(張鴻植)과 함께 『풍요사선(風謠四選)』의 편찬에 착수하였으나 완료하지 못하였다. 그 대신에 장지연의 『대동시선』이 나온 바 있다. 『대동시선』은 『전당시(全唐詩)』와 『명시종(明詩綜)』의 예를 따라 『동문선(東文選)』 · 『청구풍아(靑丘風雅)』 · 『기아(箕雅)』 등 기왕의 시선집을 통시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조야시선』은 편찬자 이기와 동시대 인물들의 시만을 선집한 것이다. 『조야시선』에 수록된 대부분의 시인들은 옥계시사 · 서원시사(西園詩社) · 비연시사(斐然詩社) · 직하시사 · 육교시사(六橋詩社)로 이어지는 이른바 위항문단(委巷文壇)에 속하는 이들이 많다. 또, 강화학파 시인인 이충익(李忠翊), 불우하였던 남인 시인 이학규(李學逵), 정약용(丁若鏞)의 외손인 윤정기(尹廷埼), 한말의 대가인 강위(姜瑋) · 황현(黃玹) · 김택영(金澤榮)의 시도 다수 선록하고 있다.

정만조는 『조야시선』 서문에서 “근대시인으로 마땅히 전하여져야 하되 전하여질 수 없는 사람들의 시를 널리 수집하였다.”라고 하였다. 이기의 선시관(選詩觀)이 지극히 공변된다고 칭하였다.

참고문헌

『조선후기문화운동사(朝鮮後期文化運動史)』(정옥자, 일조각, 1988)
「조야시선해제(朝野詩選解題)」(남지대, 『한국한시선집』, 아세아문화사, 1982)
「시사(詩社)를 통해서 본 조선말기(朝鮮末期) 중인층(中人層)」(정옥자,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