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로 ‘篳(觱)篥(필률)’이라고 쓴다. 피리는 원래 서역(西域)의 악기로서, 이미 삼국시대부터 고구려·백제 등에서 사용되었다.
수나라의 9부기(部伎)에 쓰인 피리에는 대필률(大篳篥)·소필률·수필률(竪篳篥)·도피필률(桃皮篳篥)·쌍필률(雙篳篥) 등이 있었는데, 고구려 음악에는 이 중에서 대필률·소필률·도피필률이 사용되었고, 백제악에도 도피필률이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전하지 않아 그 자세한 모양은 알 수 없다.
『고려사』악지 당악조에 의하면 9공의 피리가 있고, 속악조에는 7공의 피리가 있다. 당악에 쓰이는 9공의 피리는 이미 문종 30년(1076)에 둔 대악관현방(大樂管絃房)에 필률업사(篳篥業師)가 끼어 있고, 예종 9년(1114)에 송나라에서 들여온 신악기(新樂器) 속에도 필률의 이름이 보인다.
이는 모두 당악에 편성되는 이른바 당필률(唐篳篥)일 것이고, 속악에 쓰인 7공의 피리는 구멍 수효는 8공이 아니나 향필률(鄕篳篥)임에 틀림없다. 현재 우리 나라에 전하는 피리 가운데는 당피리·향피리 및 세(細)피리의 세가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