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열상 ()

목차
관련 정보
송시열 상
송시열 상
회화
유물
문화재
조선 중기 대표적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宋時烈)을 그린 조선시대 초상화.
내용 요약

「송시열상」은 조선 중기 대표적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을 그린 조선 시대 초상화이다. 주자학의 대학자였던 송시열의 서원 제향을 위해 그의 초상화가 다수 제작되었다. 이 초상은 그정조의 어제 화찬이 있는 「송시열 초상」을 바탕으로 그려진 이모본 중 하나이다. 「송시열상」은 74세 이후 송시열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심의에 복건을 쓰고 공수 자세를 한 좌안칠분상이다. 깊게 팬 얼굴 주름, 구부정한 자세, 덥수룩한 수염, 강한 눈썹, 어두운 얼굴색이 표현되었다. 「송시열상」은 이모본 중 인물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대표작 중 하나이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 대표적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宋時烈)을 그린 조선시대 초상화.
개설

2003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종이 바탕에 채색. 세로 81.7㎝, 가로 57.6㎝. 조선 중기 주1의 대학자이자 주2주3였던 송시열의 초상화들 중 하나이다. 송시열의 제향을 위해 전국 23개의 서원이 설립됨에 따라 그곳에 봉안하기 위한 송시열 초상화가 다수 제작되었다.

내용

송시열의 초상은 심의복건을 쓰고 주4 자세를 한 좌안칠분상이다. 깊게 팬 얼굴 주름은 그의 파란만장한 정치 일생을 잘 보여주는 듯하며, 구부정한 자세에도 불구하고 다소 과장된 체구는 조선 후기 학문과 사상을 지배한 거유(巨儒)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덥수룩하게 늘어진 그의 흰 수염은 그의 강한 눈썹 및 어두운 얼굴색과 대조를 이룬다. 얼굴은 엷게 채색한 후 갈색 세선으로 주름을 그렸고, 옷의 주름은 간결하게 선으로 표현함으로써 인물의 얼굴에 전체적 초점을 두었다.

이 초상은 송시열의 자경문(自警文)과 1778년 정조의 어제 화찬이 있는 「송시열 초상」(국보, 1987년 지정)을 바탕으로 그려진 이모본(移模本)이다. 초상화 위에 화찬이 없어 정확한 제작시기를 밝히기 어렵지만, 화풍으로 보아 1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김창협권상하의 찬문이 있는 김창업 필 「우암선생칠십사세진(尤庵宋先生七十四歲眞)」과 비교할 때, 이 초상화는 74세 이후 송시열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송시열은 주자학의 대가이자 노론의 영수였다. 자는 영보(英甫), 호 우암(尤庵), 시호는 문정(文正),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율곡 이이사계 김장생의 학문을 계승하여 평생 주자학 연구에 몰두하였는데, 그의 학문과 사상은 조선 후기의 강력한 지배 이념이 되었다.

그는 병자호란으로 화친이 이루어지자 낙향하였다. 곧 효종의 대군시절 스승이었던 인연으로 효종에게 발탁되어 북벌의 핵심 인물로 부상하였으나 효종의 주5로 무산되었다. 효종의 장례 때 대왕대비의 복상(服喪) 문제가 송시열의 주장대로 1년으로 결정되었으나, 그 후에도 논란은 지속되었다. 현종도 그를 신임하여 이조판서에 이어 좌참찬으로 임명하였지만 효종의 장례와 장지(葬地)에 대한 논란으로 사임하고 화양동에서 은거하였다.

1666년 8월에 화양동으로 거주지를 옮긴 송시열은 이후 1688년까지 강학을 하며 제자를 양성하였다. 이후 우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현종이 돌아가고 숙종 대에 이르러 귀양살이를 하였다가 영중추부사로 다시 등용되었다. 1689년 희빈 장씨의 아들을 원자로 정하는 문제로 인한 기사환국으로 제주로 유배되었고 이후 사사되었다.

그러나 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복권되었고, 1744년에는 문묘에 배향되어 학문적 권위와 정치적 정당성을 확고히 공인받게 되었다. 송시열은 주6을 비롯하여 전국 23개 서원에 제향 될 만큼 사후에도 조선 후기 정치, 사회, 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의의와 평가

이 초상화는 송시열 사후 그를 받들고 추모하는 이들에 의해 전국 각지에 서원 · 영당 등이 건립됨에 따라 그곳에 봉안하기 위해 1778년에 제작된 「송시열 초상」을 원본으로 이모하여 제작한 것이다. 송시열 초상화의 이모본 중 인물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대표작 중 하나이다.

참고문헌

『서울의 문화재』2(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2011)
『초상화 연구: 초상화와 초상화론』(조선미, 문예, 2007)
주석
주1

‘성리학’을 달리 이르는 말. 주자가 집대성한 데에서 이처럼 이른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사색당파의 하나. 남인(南人)에 대한 처벌 문제로 서인(西人)에서 갈려 나온 당파이다. 숙종 9년(1683)에 송시열, 김익훈 등의 강경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말샘

주3

여러 사람 가운데 우두머리. 우리말샘

주4

절을 하거나 웃어른을 모실 때, 두 손을 앞으로 모아 포개어 잡음. 또는 그런 자세.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놓고, 여자는 오른손을 왼손 위에 놓는다. 흉사(凶事)가 있을 때에는 반대로 한다. 우리말샘

주5

임금이 세상을 떠남. 우리말샘

주6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있던 서원. 숙종 22년(1696)에 송시열을 제사 지내기 위해 세웠다. 그해 9월 사액을 받았으며, 숙종 42년(1716)에 숙종의 친필로 현판의 글씨를 써서 달았다. 사원의 폐해로 인해 철종 9년(1858)에 폐쇄되었다가 고종 7년(1870)에 서원 철폐령으로 헐리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은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