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사 아미타극락회상도 ( )

목차
관련 정보
청주 보살사 아미타극락회상도
청주 보살사 아미타극락회상도
회화
작품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보살사 극락전(極樂殿)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보살사 극락전(極樂殿)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759년(영조 35)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52㎝, 가로 217㎝. 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족자형 탱화(幀畫)로, 아미타불 주위에 8대보살(八大菩薩)·10대제자·제석(帝釋)과 범천(梵天)·팔부신장(八部神將)·사천왕(四天王) 등이 둥글게 배치된 원형구도를 보여준다. 원형의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을 지닌 아미타불은 비교적 장대한 편으로서, 안정된 결가부좌(結跏趺坐)의 자세로 앉아 있다.

머리 가운데에는 중앙계주(中央髻珠)가 나지막하게 표현되었으며, 꼭대기에는 뾰족한 정상계주(頂上髻珠)가 표현되었다. 얼굴은 비교적 양감이 풍부한 편이지만, 이목구비의 표현이 도식화(圖式化)되어 불격(佛格)이 줄어들었다.

원문(圓文)이 그려진 붉은 법의(法衣)로 감싼 신체는 장대한 편으로, 몸에 비하여 결가부좌한 발이 상대적으로 작게 그려져, 웬지 비례가 맞지 않은 어색한 느낌을 준다.

여러 권속들은 아미타불의 두광과 신광을 따라 배치되었는데, 위로 올라갈수록 인물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시선이 아미타불을 향하고 있어 보는 이의 시선을 중앙의 아미타불에게로 집중시키고 있다.

채색은 적색과 녹색 등 18세기 불화의 특징적인 색채가 주조를 이루며 이밖에 백색·청색·황색 등이 다채롭게 사용되었으나, 붓자국이 드러날 정도로 거칠고 두껍게 칠하여 다소 투박한 느낌이 든다. 화기에 의하면 화원(畫員)인 광성(廣成)스님 외에 3명이 그렸다고 한다.

1991년 도난당했다.

참고문헌

『아미타불화의 연구』(유마리, 문화재청, 2013)
『한국의 미』 16-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조선조(朝鮮朝) 아미타불화(阿彌陀佛畵)의 연구(硏究)」(유마리, 『조선조 불화의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