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손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대제학,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효중(孝仲)
시호
충정(忠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02년(태종 2)
사망 연도
1487년(성종 18)
본관
동래(東萊)
주요 관직
대사성·대제학|우의정|영의정
관련 사건
단종복위운동
내용 요약

정창손은 조선전기 대제학,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402년(태종 2)에 태어나 1487년(성종 18)에 사망했다. 집현전 응교로 재임하던 시기에 한글 제정을 반대하다가 파직되었다. 세조가 즉위한 후 좌익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사위 김질을 통해 알게 된 단종 복위 모의를 고변하여 세조의 신임을 얻었고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의경세자의 덕종 추존과 소릉 복위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갑자사화 때에 연산군의 생모를 폐출하는 논의에 참여한 죄로 부관참시되었다가 중종반정 이후 신원되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대제학,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효중(孝仲). 정양생(鄭良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성부윤 정부(鄭符)이고, 아버지는 중추원사(中樞院使) 정흠지(鄭欽之)이며, 어머니는 최병례(崔丙禮)의 딸이다. 좌참찬 정갑손(鄭甲孫)의 아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23년(세종 5) 주1를 거쳐, 1426년 식년문과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이어 집현전의 저작랑과 교리를 역임하면서 『통감훈의(通鑑訓義)』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1441년 사섬서령(司贍署令)으로 전임하였다. 1443년 집현전응교가 되었는데 재직중인 이듬해 한글의 제정을 반대하다가 파직, 투옥되었다. 같은 해 풀려 나와 응교로 복직된 뒤 1445년 집의가 되었는데, 이듬해 세종이 불경(佛經)을 간행하려 하자, 왕실의 불교 숭상을 강력히 반대하다가 다시 좌천되었다.

이후 용서를 받아 직예문관에 등용되고, 같은 해 문과중시에 장원급제하여 집현전직제학을 거쳐 1448년 집현전부제학이 되었다. 그 동안 여러 번 왕실의 불교 숭상에 반대하는 소(疏)를 올렸으나 세종은 듣지 않았다. 1449년 부제학으로 춘추관편수관과 수사관(修史官)을 겸직하면서 『고려사』 · 『세종실록』 · 『치평요람(治平要覽)』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듬해 문종이 즉위하자 우부승지를 거쳐 1451년(문종 1) 대사헌이 되었는데, 조정의 관원들로부터 남달리 깨끗하며 절조를 잘 지키면서 자신의 산업(産業)을 일삼지 않는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어 제학 · 대제학 · 병조판서 등을 지내면서 『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1453년(단종 1) 이조판서가 되었는데 외척 홍원용(洪元用)과의 상피관계(相避關係)로 사헌부에서 피혐하기를 주장했으나 왕명으로 피혐되지 않았다. 1455년(세조 1) 우찬성으로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과 판이조사를 겸했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녹훈되고 봉원군(蓬原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사위 김질(金礩)성삼문(成三問) · 박팽년(朴彭年) · 이개(李塏) · 하위지(河緯地) · 유성원(柳誠源) · 유응부(兪應孚), 단종의 외숙인 권자신(權自愼) 등과 함께 단종 복위를 모의했는데, 일이 여의치 않자 질이 이 사실을 자신에게 폭로함에 이를 세조에게 고변하였다. 이 공으로 좌익공신 3등에서 1자급을 올려 2등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이 되고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가 더해졌으며 부원군(府院君)으로 진봉(進封)되었다. 이어 대사성 · 대제학을 겸직하고 우의정에 올랐다.

그는 이러한 처사로 절의를 숭상하는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 등으로부터 많은 비난도 받았다. 그러나 세조로부터는 대단한 신임을 얻어 1457년 좌의정이 되었고, 이듬해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사직을 하자 세조는 1일간 조회를 정지하고 주2를 내렸으며, 주3살이를 하고 있는 그를 주4시켜 영의정으로 삼았다.

이에 여러 번 소를 올려 이를 사양했으나 세조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1462년 세자에게 양위할 것을 말했다가 삭직되고 여산(礪山)에 주5되었으나, 곧 용서받고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에 복작(復爵)되었다. 1468년(예종 즉위년) 예종이 즉위한 뒤 남이(南怡)강순(康純)의 옥사를 잘 다스려 익대공신(翊戴功臣) 3등에 올랐다. 1469년 성종이 즉위하자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로 승품되고 원상(院相)이 되었다.

1470년 나이가 70이 되어 주6하기를 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고 궤장이 하사되었다. 1456년(세조 2)에 죽은 세조의 맏아들 의경세자(懿敬世子)를 덕종(德宗)으로 추존하는 데 적극 앞장섰다. 한편, 남효온(南孝溫)이 소를 올려 세조 즉위 초에 폐위된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소릉(昭陵) 복위를 주청하자, 소릉의 폐출에 참여한 그는 복위에 반대했는데, 후일 복위된 뒤 이 일로 지탄을 받았다.

1475년 영의정에 재임되었으며, 이듬해 왕이 왕비를 폐하려고 할 때 영의정으로 있으면서 강력하게 간하지 못하였다. 이후 여러번 사직을 청했으나 허락되지 않다가 1485년 나이 84세에 영의정으로 재임된 지 1년 만에 사직하였다. 그리고 2년 뒤인 1487년 86세로 죽자 왕은 청빈재상이라 하여 많은 물품 등을 부의로 하사하였다.

그 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에 연산군의 생모를 폐출하는 논의에 참여한 죄로 윤필상(尹弼尙) · 한치형(韓致亨) · 한명회(韓明澮) · 어세겸(魚世謙) · 심회(沈澮) · 이파(李坡) · 김승경(金升卿) · 이세좌(李世佐) · 권주(權柱) · 이극균(李克均) · 성준(成俊) 등과 함께 십이간(十二奸)으로 몰려 주7되었다. 그러나 1506년(중종 1)에 신원되고 청백리에 녹선되어 부관참시 때 철거한 석물을 다시 세우고 예로써 개장(改葬)하였다. 박학강기(博學强記)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했으며, 풍채가 준수하고 수염이 배까지 내려왔다고 한다. 성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예종실록(睿宗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국조방목(國朝榜目)』
『서가집(西佳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동잡록(海東雜錄)』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국조명신록(國朝名臣錄)』
주석
주1

생원과 진사를 뽑던 과거. 초시와 복시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2

상가(喪家)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주3

상제가 무덤 근처에서 여막(廬幕)을 짓고 살면서 무덤을 지키는 일. 우리말샘

주4

상중에는 벼슬을 하지 않는다는 관례를 깨고 벼슬을 하는 것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벼슬아치에게 어느 곳을 지정하여 머물러 있게 하던 형벌. 우리말샘

주6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 우리말샘

주7

죽은 뒤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을 극형에 처하던 일. 무덤을 파고 관을 꺼내어 시체를 베거나 목을 잘라 거리에 내걸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권연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