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연집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 학자 김창흡의 시 · 서 · 제문 · 일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문헌/고서
간행 시기
1732년(영조 8)
저자
김창흡(金昌翕)
편저자
김창흡(金昌翕)
권책수
원집(原集) 36권 18책, 습유(拾遺) 32권 16책
권수제
삼연집(三淵集)
판본
활자본, 목판본, 필사본
표제
삼연집(三淵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장서각 등
내용 요약

『삼연집』은 조선 후기 학자 김창흡의 시·서·제문·일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이다. 본집은 원집 36권 18책, 습유 32권 1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의 문인이었던 유척기가 경상도관찰사 등을 지내면서 마련한 재원으로 1732년에 활자로 간행하였다. 저자가 21세부터 70세에 이르기까지 지은 많은 시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중 많은 수의 시들은 저자의 학문과 사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의
조선 후기 학자 김창흡의 시 · 서 · 제문 · 일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사항

본집은 원집(原集) 36권 18책, 주4 32권 1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 활자본(金屬活字本) · 목판본(木版本) · 필사본(筆寫本) 등으로 이본(異本)이 다양하다. 원집의 초간본(初刊本)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습유는 모두 필사본으로 전해지는데, 저자 김창흡(金昌翕)의 후손 김귀년(金貴年)이 소장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삼연집』은 1732년(영조 8)에 운각 주10로 처음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삼연집』에 수록된 「연보(年譜)에 의하면, 저자 김창흡의 제자었던 유척기가 경상도관찰사 등을 지내면서 마련한 재원으로 1732년에 활자로 간행하였다고 되어 있다. 이후 주14 김달순(金達淳)이 원집에 빠진 시문을 모으고 연보 2권을 덧붙여 편집했고, 이를 종5대손 김수근(金洙根)이 1854년에 간행하였다. 1976년 후손들이 이 문헌을 모두 영인(影印)하고, 주17 · 주18주19주54를 덧붙여 출판한 바 있다.

구성과 내용

원집의 권1∼16에는 시, 권17∼22에 서(書), 권23에 서(序), 권24에 기(記), 권25에 주20, 권26에 잡저(雜著), 권27∼28에 주21, 권29에 주55 · 주22, 권30에 묘표(墓表), 권31 · 32에 제문, 권33에 잡록(雜錄) · 주23, 권34에 일록, 권35에 일록 · 만록(漫錄), 권36에 만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16에 수록된 시는 1673년(현종 14) 21세에 지은 작품에서부터 1722년 70세에 지은 절필시(絶筆詩)[「絶筆{壬寅}」]까지 연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저자가 살았던 강원도 철원의 삼부연(三釜淵), 한강 상류의 주25 등에서 지은 시가 많으며, 금강산과 강원도 일대 등을 다니면서 지은 시도 많이 실려 있다. 또한 당대 문인들과 주27 시도 다수 수록되어 있어, 노론(老論)을 대표하는 가문이었지만 소론(少論)이나 중인(中人)들과도 활발하게 교류했던 저자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습유의 권1∼11에는 시, 권12에는 주56, 권13∼22에는 서, 권23에는 서 · 기, 권24에는 제발 · 설(說) · 잡저, 권25에는 묘지명 · 묘표 · 행장(行狀) · 제문, 권26에는 제문 · 주28 · 잡록 · 일록, 권27 · 28에는 일기(日記), 권29에는 만록, 권30에는 「태극문답(太極問答)」, 권31에는 주29, 권32에는 부록(附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끝에는 연보가 상 · 하권으로 나누어져 실려 있다.

권34~35의 일록은 김창흡의 학문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자료를 보면 그는 둘째 형인 김창협(金昌協)과 함께 이황(李滉)이이(李珥)의 학설을 비판적으로 절충(折衷)하는 태도를 보인다. 또 당시 학계의 주된 논쟁의 쟁점이 되었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 관하여, 김창협이 호론(湖論)을 지지한 것과는 달리, 김창흡은 주33으로 기우는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태극문답」에서는 태극이 주57임을 말하고, 주52『중용』의 「천명지위성장(天命之謂性章)」에 대해 주(註)를 단 것에 따라 사람의 성품[人性]이 같고 다름[同異]를 논하고 있다. 이 글에서 그는 사람의 품격[人品]을 성인(聖人)과 대현(大賢) · 군자(君子) · 선인(善人) · 속인(俗人) · 소인(小人) 등 6등급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어록 등에는 성리학(性理學)의 여러 문제들에 대한 그의 폭넓은 관심이 깊이 있게 이야기하고 있다. 유 · 불 · 도에 대해 논하면서, “대체로 유(儒)에 대한 말은 주자가 가장 자세하게 했고, 우리나라에서는 율곡이 가장 자세히 했다. 주자는 젊어서부터 그 도를 존중하고 그 사람을 스승으로 삼았다. 도 또한 그 말에 대하여 충분히 연구하여 나온 것이다. 나도 이 경계에 대하여 자못 소견(所見)이 있다.”라고 하여 그의 학문적인 근원을 밝혔다.

잡저에서는 당시 이현익(李顯益)이 동물의 주58을 주장한 것에 대해, “범과 늑대는 그 새끼를 사랑하지만 다른 동물에 대해서는 잔인하고 포악하며, 벌과 개미는 임금과 신하[君臣]의 관계가 있지만 효는 듣지 못하였다. 주48충(忠)은 진실로 말살할 수 없지만 원초(原初)에 준 전(全)은 어찌 이에서 그칠 것인가.”라고 하여, 인 · 물성(人物性) 주59을 주장하여 반대하였다. 또, 그 주60의 주장에 동조하여 논리를 개진하였다.

의의와 평가

정조가 『일득록(日得錄)』에서, 김창흡의 문장이 우리나라의 문체를 아주 크게 변화시켰다고 언급하였을 정도로, 김창흡의 문장은 당대 사회에 널리 퍼졌다. 김창흡의 시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아 당대의 으뜸으로 일컬어진다. 그의 시에 대해 정조는 “맑고 메말랐다[淸而枯].”라고 평하기도 하였다. 그가 평양의 부벽루에 올라 지은 시가 유명한데, 다음과 같다. “설악산에 숨어 사는 나그네가/관서에서 다시 멋대로 노닌다네/몸을 따르는 것은 맑은 달빛이요/밤을 택한 것은 높은 누각이기 때문/칼춤을 추자 물고기가 조용한데/술잔이 돌자 은하수가 흐른다/닭 우는 새벽 돌아보고 일어나/고운 배에 흥을 머물러 둔다네.”

『삼연집』은 조선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오는 시기에 있어 학술상 · 문학상 여러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참고가 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종묵, 『우리 한시를 읽다』(돌베개, 2009)

논문

김남기, 「三淵 金昌翕의 詩文學 硏究」(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최유진, 「三淵 金昌翕의 哲學的 詩世界 硏究」(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 삼연집 해제(https://db.itkc.or.kr/)
주석
주4

빠진 것을 보충함. 우리말샘

주5

금속 활자로 짜서 만든 인쇄용 판. 또는 그 판으로 찍어 낸 책. 일정한 글자본에 의해 주형을 만들어 주조하였기 때문에 글자 모양이 같고 정연하다. 우리말샘

주6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7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우리말샘

주8

여러 차례 간행된 책에서 맨 처음 간행된 책. 우리말샘

주10

조선 현종 9년(1668)에 역대 실록을 인쇄하기 위하여 만든 구리 활자. 우리말샘

주11

사람이 한평생 동안 지낸 일을 연월순(年月順)으로 간략하게 적은 기록. 흔히 개인의 연대기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4

증손자의 아들. 또는 손자의 손자. 우리말샘

주16

인쇄물의 원본을 사진으로 복사하여 인쇄하다. 우리말샘

주17

죽은 사람의 초상화. 우리말샘

주18

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겨 놓은 글씨. 우리말샘

주19

역사에 관한 평론. 우리말샘

주20

제사(題辭)와 발문(跋文)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1

묘지에 기록한 글. 우리말샘

주22

묘갈에 새긴 글. 우리말샘

주23

날마다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우리말샘

주25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던 섬. 한강과 중랑천의 합류 지점에 있던 섬으로, 1970년대에 인근 지역이 개발되면서 사라졌다. 우리말샘

주27

남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따서 시를 짓다. 우리말샘

주28

고하는 글. 또는 임금이 신하에게 고유(告諭)하는 글. 우리말샘

주29

위인들이 한 말을 간추려 모은 기록. 우리말샘

주33

조선 후기에, 기호학파(畿湖學派) 가운데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을 주장한 학파. 금수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오상(五常)의 성(性)을 구비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간을 중심으로 이에 동조하는 김창흡, 이재, 어유봉 등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우리말샘

주38

지혜와 덕이 매우 뛰어나 길이 우러러 본받을 만한 사람. 우리말샘

주39

매우 어질고 지혜로운 사람. 우리말샘

주40

행실이 점잖고 어질며 덕과 학식이 높은 사람. 우리말샘

주41

선량한 사람. 우리말샘

주42

일반의 평범한 사람. 우리말샘

주43

도량이 좁고 간사한 사람. 우리말샘

주48

불쌍히 여기는 마음. 우리말샘

주50

일이나 현상이 비롯하는 맨 처음. 우리말샘

주52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1130~1200). 자는 원회(元晦)ㆍ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ㆍ회옹(晦翁)ㆍ운곡산인(雲谷山人)ㆍ둔옹(遯翁). 도학(道學)과 이학(理學)을 합친 이른바 송학(宋學)을 집대성하였다. ‘주자’라고 높여 이르며, 학문을 주자학이라고 한다. 주요 저서에 ≪시전≫, ≪사서집주(四書集註)≫, ≪근사록≫, ≪자치통감강목≫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53

글이나 말의 어떤 부분에 대하여 그 뜻을 자세히 풀어 주거나 보충 설명을 더하여 주는 글이나 말. 우리말샘

주54

한 집안의 역사.

주55

신도비에 기록한 글.

주56

고려·조선 시대에, 문과(文科) 과거에서 시험을 보던 문체로 지은 시.

주57

세계의 모든 사물 현상이 하나의 정신적인 이(理)로 이루어져 있으며, 곧 이의 작용에 의하여 모든 사물이 이루어지고 발전하는데, 이 정신적인 요소가 일차적임.

주58

도덕성을 부분적으로 가지고 있음.

주59

인의예지신의 오상은 함께 습득됨.

주60

본성이 착함.

관련 미디어 (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