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융사상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통일신라 이래, 불교의 모든 사상을 분리시키지 않고 더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엮는 교리 통합론을 가리키는 불교 교리.
이칭
이칭
원융설
내용 요약

원융사상(圓融思想)은 우리나라 고승들에 의하여 전개된 불교 교리 통합론이다. 시대별로 다른 주장을 펼쳤던 인도의 불교는 중국에 이르러 하나의 교리를 두고 종파 간에 이론과 실천 수행의 차이가 극에 달하는 종파 불교의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불교는 불교의 다양한 전통을 원만하게 포섭하려는 원융사상의 전통을 형성하였다. 이 원융사상은 우리나라 불교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우리나라 불교를 원융불교라고까지 지칭하는 기반이 되었다.

키워드
목차
정의
통일신라 이래, 불교의 모든 사상을 분리시키지 않고 더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엮는 교리 통합론을 가리키는 불교 교리.
내용

인도의 불교를 시대 순으로 분류하면, 원시 주1 · 부파 주2 · 대승불교의 시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인도의 불교는 하나의 교리를 두고 시대별 · 종파별로 각각 다른 주장을 펼쳐 불교를 공부하는 후대 사람들은 큰 혼란에 빠졌다. 또한 중국의 불교를 종파 불교라고 규정짓듯이, 중국에 이르러 불교는 하나의 교리에 대한 각 종파 나름의 주장에 따라 종파들 간에 이론과 실천 수행의 차이가 극에 달하였다.

이러한 종파 불교의 가르침은 우리나라에도 처음에는 그대로 전래되었다. 그러나 삼국통일기를 전후하여 우리나라의 고승들은 보다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을 통하여 종파로 나뉜 이론들을 하나로 모으는 작업에 몰두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고승들에 의하여 전개된 새로운 교리 통합론을 일반적으로 원융사상(圓融思想)이라고 한다. 이 원융사상은 이후 우리나라 불교의 대표적인 흐름이 되어 우리나라 불교를 원융불교라고까지 부르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원융사상을 주창한 대표적인 고승은 원효(元曉)이다. 원효는 여러 저술을 통해 공(空)주3, 진(眞)과 속(俗), 이(理)와 사(事), 주4주5, 아(我)와 법(法) 등 인도 및 중국 불교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상대적인 것들이 실제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밝혔다. 원효는 이들이 모두 '일(一)이면서 다(多)요 다면서 일의 관계를 취하고 있다'는 원융사상을 주6하였다.

원효는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에서 '부처의 일언일구가 모두 주7이며, 모든 중생이 마침내 일불승의 수레를 타고 불도를 성취함'을 강조하였다. 『열반종요(涅槃宗要)』에서는 '일체 중생에게 불성이 있으므로 마침내 모두 성불한다'는 것을 주장하여 일부 중생의 성불을 거부한 중국 불교가 지닌 모순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에서는 '상(相)과 상 아닌 것이 원융하여 둘이 없다'는 절대 원융사상을 전개하였다.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에서는 ' 정토주8가 본래 한 마음이요, 생사와 열반이 두 가지가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이와 같이 원효는 모든 저술을 원융사상을 기초로 전개하고 있다. 특히 그의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은 당시 중국 및 우리나라 불교계에서 논란이 일었던 열 가지 논쟁을 원융사상으로 종식한 매우 가치 있는 저술이다.

원효와 같은 시대의 고승인 의상(義湘)『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를 통하여 원융사상을 천명하였다. 그는 책의 첫머리에 ‘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이라 하여 화엄사상은 총체적으로 볼 때 원융하여 두 가지 모습이 없음을 밝혔다. 이어 의상은 '하나가 곧 일체요 일체가 곧 하나이며, 한 티끌과 시방세계, 한 생각과 무량한 세월, 주9주10, 생사와 열반이 둘이 아니라'는 원융사상을 철저히 규명하였다.

원효와 의상의 이후로도 원융사상은 계속 이어져 우리나라 고승들의 저서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 균여(均如)의 『화엄원통기(華嚴圓通記)』와 지눌(知訥)『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보우(普愚)의 「화엄삼매가(華嚴三昧歌)」 등에도 원융사상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 지눌의 경우에는 주11주12를 주창하던 당시 선(禪) 사상계를 원융으로 합치려는 의지가 엿보인다. 또한 조선시대의 고승인 서산대사는 『선가귀감(禪家龜鑑)』에서 선과 교를 하나의 이치로 보는 원융회통사상(圓融會通思想)을 주창하고 있다. 따라서 원융사상은 한국 불교의 1,600여 년을 관통해 온 중심 사상이다.

참고문헌

원전

원효, 『화엄경종요(華嚴經宗要)』
원효, 『열반종요(涅槃宗要)』
원효,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원효,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의상,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단행본

한기두, 『한국선사상연구』(일지사, 1991)

논문

강기선, 「화엄주석서에 담긴 六相圓融義에 대한 고찰」(『동아시아불교문화』 33, 2018)
김진현, 「삼제원융에 관한 연구」(『불교학연구』 37, 2003)
정병조, 「한국불교의 역사인식」(『동국사학』 17, 1994)
지혜경, 「동아시아 불교의 통합 담론 전개에서 원효의 역할‒지의의 원융사상과 원효의 화쟁사상의 연속성과 불연속성-」(『한국불교학』 82, 2017)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석가모니 때부터 각 부파(部派)로 갈라지기 전까지의 불교. 우리말샘

주2

석가모니 입적 뒤 백 년부터 수백 년 사이에 원시 불교가 분열을 거듭하여 20여 개의 교단으로 갈라진 시대의 불교. 독자적인 교의(敎義)를 전개하여 뒤에 유식 사상(唯識思想)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내용은 소승 불교와 같다. 우리말샘

주3

십이 연기의 하나. 유정(有情)으로서의 존재를 이른다.

주4

수행을 통한 개인의 해탈을 가르치는 교법. 석가모니가 죽은 지 약 100년 뒤부터 시작하여 수백 년간 지속된 교법으로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이 있다. 소극적이고 개인적인 열반만을 중시한 나머지, 자유스럽고 생명력이 넘치는 참된 인간성의 구현을 소홀히 하는 데에 반발하여 대승이 일어났다. 우리말샘

주5

중생을 제도하여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그 교리, 이상, 목적이 모두 크고 깊으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능력도 큰 그릇이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소승을 비판하면서 일어난 유파로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가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6

진리나 사실, 입장 따위를 드러내어 밝힘. 우리말샘

주7

모든 중생이 부처와 함께 성불한다는 석가모니의 교법. 일체(一切) 것이 모두 부처가 된다는 법문이다. 우리말샘

주8

더러운 땅이라는 뜻으로, ‘이승’을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9

보리심을 처음으로 일으킴. 천태종에서는 십주(十住)의 첫 단계이며, 화엄종에서는 십신(十信)의 마지막 단계이다. 우리말샘

주10

올바른 깨달음. 일체의 참된 모습을 깨달은 더할 나위 없는 지혜이다. 우리말샘

주11

갑자기 깨달음. 우리말샘

주12

차례와 위계를 거쳐 수행하고 득도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보람(충북대학교 교수, 화엄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