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행 ()

용재집
용재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우찬성,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택지(擇之)
용재(容齋), 청학도인(靑鶴道人)
이칭
창택어수(滄澤漁水)
시호
문정(文定), 문헌(文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8년(성종 9)
사망 연도
1534년(중종 29)
본관
덕수(德水)
주요 관직
사간원헌납|홍문관응교|홍문관교리|성균관사예|대사헌|우찬성|이조판서|우의정
관련 사건
갑자사화|중종반정|기묘사화
정의
조선 전기에, 우찬성,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택지(擇之), 호는 용재(容齋) · 창택어수(滄澤漁水) · 청학도인(靑鶴道人). 지돈녕부사 이명신(李明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온양군사 이추(李抽)이고, 아버지는 홍주목사 이의무(李宜茂)이며, 어머니는 창녕 성씨(昌寧成氏)로 교리(敎理) 성희(成熺)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95년(연산군 1) 주1 문과에 급제해, 권지승문원부정자로 관직 생활을 시작해 예문관 검열 · 봉교, 성균관 전적을 역임하고,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500년 주2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홍문관 수찬를 거쳐 홍문관 교리까지 올랐다.

1504년 갑자사화 때 사간원 헌납을 거쳐 홍문관 응교로 있으면서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복위를 반대하다가 충주에 유배되고, 이어 함안으로 옮겨졌다가 1506년 초 거제도에 주3되었다. 이 해 9월에 중종반정으로 풀려나와 다시 홍문관교리로 등용되고, 이어 부응교로 승진되어 주4하였다.

1513년(중종 8) 다시 성균관 사예가 되었다가 이듬해 성균관 사성으로 승진하였다. 사섬시정(司贍寺正)을 거쳐 1515년 사간원 사간이 되고, 이어 대사간으로 승진하였다.

이 때 신진 사류인 담양부사 박상(朴祥)과 순창군수 김정(金淨) 등이 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상소하자 이에 강력히 반대하였다. 이어 주5 · 홍문관 부제학 · 성균관 대사성 · 좌승지 · 도승지를 거쳐 1517년에 대사헌이 되었다.

그러나 왕의 신임을 얻고 있는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사류로부터 배척을 받아 첨지중추부사로 좌천되자 사직하고 충청도 면천에 내려갔다. 이듬해 주6 · 주7로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 일파가 실각하자 홍문관부제학이 되고, 이듬해 공조참판에 임명됨과 동시에 대사헌과 예문관 대제학을 겸하였다. 그리고 주8주9도 겸임하였다.

1521년 주10가 된 이후 우참찬 · 좌참찬 · 우찬성으로 승진하고, 1524년 주11가 되었다. 다시 좌찬성을 거쳐 1527년 우의정에 올라 홍문관대제학 등을 겸임하였다.

1530년 『동국여지승람』의 신증(新增)을 책임맡아 끝내고 좌의정이 되었다. 이듬해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전횡을 논박하다가 오히려 그 일파의 반격으로 판중추부사로 좌천되고, 이어 1532년 평안도 함종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1537년 김안로 일파가 축출되면서 주12되었다. 문장이 뛰어났으며, 글씨와 그림에도 능하였다. 중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용재집』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定)이었으나 뒤에 문헌(文獻)으로 바뀌었다.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국조방목(國朝榜目)』
『무릉잡고(武陵雜稿)』
『용재집(容齋集)』
『백헌집(白軒集)』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기문(大東奇聞)』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 태종 1년(1401)에 처음 실시하였으며 생진과의 초시와 복시, 문과의 초시ㆍ복시ㆍ전시 5단계로 나누었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글의 음운(音韻)이나 제도 따위에 대한 의문점을 중국에 질문하여 알아 오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 중국에 사신(使臣)이 갈 때 함께 갔다. 우리말샘

주3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유능한 젊은 문신들을 뽑아 휴가를 주어 독서당에서 공부하게 하던 일. 세종 8년(1426)에 시작하여 세조 때 없앴다가 성종 24년(1493)에 다시 실시하였다.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중추원에 속한 정삼품 무관의 벼슬. 태종 때 인진사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병조에 속한 정삼품 벼슬. 정원은 1명이며, 병조 참판과 병조 판서를 보좌하면서도 병조 판서와 대등한 발언권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호조에 속한 정삼품 벼슬. 참판과 함께 판서를 보좌하였다. 우리말샘

주8

조선 시대에, 의금부에 속한 종이품 벼슬. 우리말샘

주9

조선 시대에, 세자시강원에 속한 종이품 벼슬. 우리말샘

주10

고려 시대에 둔, 전공사 및 공조(工曹)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삼품이다. 우리말샘

주11

이조의 으뜸 벼슬. 정이품의 문관 벼슬이다. 우리말샘

주12

물러났던 관직에 다시 돌아오게 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해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