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산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에 걸쳐 있는 산.
이칭
이칭
백암산
지명/자연지명
면적
80.70
높이
722m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양산(白羊山)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백양사를 품고 있는 산으로 내장산 국립공원지구에 속한다. 상왕봉을 비롯하여 백양 삼봉인 백학봉, 가인봉,옥녀봉이 에워싸고 그 안으로 영산강 상류 약수천이 흐른다. 백암산으로 알려진 백양산은 선사가 법문을 하자 흰 양이 내려온 백양사에서 명칭이 유래한다. 약사암 주변에는 일본 남부의 산곤약이 자라며, 열매를 구충제로 쓰이는 천연기념물 비자나무숲이 있고 굴거리나무숲도 보전되고 있다. 그 외 애기 단풍나무의 단풍이 유명하여 단풍철에 관광객이 몰린다.

정의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에 걸쳐 있는 산.
자연환경

백암산은 백양사를 품고 있어 백양산으로 불린다. 백암산 상왕봉(741.2m)을 중심으로 도집봉(731.9m)~백학봉(651m)~옥녀봉(467.3m)의 북동 능선과 사자봉(721m)~가인봉(877.4m)의 남서 능선 사이에 백양사가 자리하며, 약수천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백양계곡을 형성한다. 그 능선 안에 백양사가 자리한다.

백암산의 지질은 6천 500만 년 전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과 백양사 및 옥녀봉 일대에 분포하는 주9 주10 화산 활동에 의해 신라층군 상부를 관입한 백양사 화산암류 응회암류가 주로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 주11의 절리에 따라서 암편의 분리가 잘 되어 산정에 학바위와 같은 절벽이 있고, 아래 석굴인 영천굴이 나타난다. 백양사 화산암류보다 뒤에 분출한 화산암은 백학봉에서 상왕봉을 거쳐 입암산성과 방장산으로 연결된 노령 산줄기로 호남의 전라도를 가르는 갈재 부근에는 화강반암이 관입되어 있다.

내장산(신선봉)과 백양산(백암산)의 백학봉 능선은 섬진강을 가르는 분수계로 호남정맥으로 이어진다. 백양산에서 발원하는 약수천은 곧장 장성호로 유입되어 영산강 상류의 큰 지류이면서 장성군을 관통하는 황룡강이 된다.

변천과 현황

백양산(백암산)은 전라도를 가르는 노령 산줄기에 포함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내장산, 장성 입암산(笠巖山, 626m)과 함께 1971년에 내장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특히 가을 단풍은 비자나무, 은행나무, 아기 단풍나무가 백양사 뒤의 흰 학바위(백학봉)가 어울려져 절경을 이룬다. 이 무렵 주12을 비는 국기단에서 1603년(선조 36)과 1662년(현종 3)에 나라의 안녕과 평화를 위해 제를 올려 매년 국기제를 지낸다. 그 외 분재 품평회, 등반 대회, 단풍 아가씨 선발 등 축제가 개최된다.

백암산 지구의 역사문화자원은 백양사지구와 남창지구로 나뉘는데, 백양사지구는 전통 사찰 백양사와 불교문화재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고, 남창지구는 입암산성을 중심으로 문화재가 분포되어 있다. 백양사는 호남선의 백양사역에서 북동쪽으로 7㎞ 지점에 위치하며 조계종 18교구의 본사로 극락보전 · 대웅전 등의 지방문화유산이 있다.

영천암은 물외암, 약사암과 함께 백학봉을 배경으로 건립된 암자이다. 영천암은 세 암자 중 예로부터 영천굴(靈泉窟)이라고 불리는 가장 동쪽의 깊고 큰 석굴에 지어진 암자이다.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영천굴은 석굴로 안에서 솟아나는 신령스러운 샘과 이곳에 영천암(靈泉窟)이란 암자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내려오는 전설에 따르면 옛날에 동굴 옆 샘에서 한 사람이 먹을 만큼의 쌀이 나왔는데, 하루는 어떤 손님이 와서 더 많이 나오라고 작대기로 쑤셨더니 그 후로는 쌀이 안 나왔다고 한다. 또한 영천굴에는 홍락인(洪樂仁)과 관련된 명칭의 유래가 있다. 홍락인은 17671768년(영조 4344)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인물로서, 호남 지역에 대 유행병이 돌자 왕에게 상소를 올렸다. 이에 왕이 ‘영지(靈地)를 찾아 크게 기도를 올리도록 하라.’는 명을 내리자, 백양사 바위에 ‘국제기(國際基)’라 새기고 이 바위에서 솟는 물을 제단에 올렸으며, 이 물을 사람들에게 마시게 하니 병이 나았다고 한다. 이에 전라도감사 홍락인은 보은의 의미로 이곳에 암자를 짓고 영천암(靈泉庵)이라 하였다고 한다. 이 용천이 오래전부터 ‘병을 낫게 하는 영험한 샘물’로 여겨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천암은 백암산을 유람하는 여러 문인들이 반드시 한 번쯤 들려 가는 곳으로서, 명승지로 명성이 높았던 곳이다.

식생으로는 약사암 주변에는 일본 남부에 분포하는 산곤약이 자라며 백양사 근처에서부터 백학봉 서쪽 사면까지에 열매를 구충제로 쓰이는 천연기념물 제153호 약 5,000그루의 비자나무 숲과 제91호인 굴거리나무숲이 보호 지정되어 있다. 역시 천연기념물인 백양사 고불매주13로 1700년경부터 스님들이 이곳에서 북쪽으로 100m쯤 떨어진 옛 백양사 앞뜰에다 여러 그루의 매화나무를 심고 가꾸어 왔다고 한다. 1863년 절을 이쪽으로 옮겨 지을 때, 그때까지 살아남은 홍매와 백매 한 그루씩도 같이 옮겨 심었다. 1947년 부처님의 원래의 가르침을 기리자는 뜻으로 백양사 고불총림을 결성하면서 고불매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부르게 된 나무로 역사성과 학술적인 가치가 크다. 그 외 백양더부살이, 백양꽃, 옥녀꽃대, 뀡의바람꽃, 이나무, 단풍나무 등이 분포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내장산국립공원일대종합학술조사보고서』 (한국자연보존협회, 1974)
『전남의 명산』 (전라남도, 1999)
『장성군사』 (장성군사편찬위원회, 2001)

인터넷 자료

내장산국립공원(http://www.knps.or.kr/front)
백양사(http://www.baekyangsa.com)
주석
주1

역사가 오래된 옛 절. 우리말샘

주2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짓다.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에서 임금에게 말씀을 아뢰던 글. 우리말샘

주4

폐하여져 승려가 없는 절. 우리말샘

주5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우리말샘

주6

엷은 색깔. 우리말샘

주7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온 화산재 따위의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8

정장석, 석영, 운모 따위의 결정(結晶)으로 이루어진 화성암. 규산이 많이 든 광석으로, 흰색을 띠며 물결무늬가 있다. 도자기나 건축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9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10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11

사장석, 각섬석, 흑운모, 휘석 따위로 이루어진 화성암. 검은 회색을 띠며, 단단하고 견디는 힘이 강하여 건축이나 토목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12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우리말샘

주13

붉은 빛깔의 매화.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