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운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문신 조석원의 시(詩) · 서(書) · 소지(所志) · 시책문(諡冊文) 등을 수록한 시문집.
문헌/고서
저자
조석원(曺錫元)
편저자
조석원(曺錫元)
권책수
3책
판본
필사본
표제
소운거사유고(紹雲居士遺稿)
소장처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소운유고』는 조선 후기 문신 조석원의 시(詩)·서(書)·소지(所志)·시책문(諡冊文) 등을 수록한 시문집이다. 불분권(不分卷) 3책의 필사본으로, 제1책만이 전하고 있다. 을미사변 관련 기록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 을미사변이 발발하게 된 배경과 사건의 전말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키워드
정의
조선 후기, 문신 조석원의 시(詩) · 서(書) · 소지(所志) · 시책문(諡冊文)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조석원의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현로(玄老), 호는 소운(紹雲)이다. 1850년(철종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조 참판 · 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서지사항

『소운유고』는 불분권(不分卷) 3책의 필사본이다.

표지에 제1집은 ‘종정편(從政篇)’, 제2집은 ‘동유편(東遊篇)’이라고 적혀 있으며 제3집은 먹으로 지워져 제목이 분명하지 않다.

현재 제1책만이 전하고 있으며, 별다른 체제 없이 필사되어 있다. 권말에는 「잡영수절(雜詠數絶)」이라는 시제(詩題)만 필사되어 낙장이 있는 듯하며 작품 중간에 다른 사람의 글도 삽입되어 있어 책의 초고적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 및 내용

서(書) 16편, 설(說) 1편, 소지(所志) 1편, 시 183수, 시책문(諡冊文) 1편, 유비(遺碑) 1편, 기(記) 1편, 부(賦) 1편, 발문(發文) 1편, 상주(上奏) 1편, 정사(呈辭)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의 「엄질탁지대신서리이정환왈(嚴質度支大臣署理李鼎煥曰)」은 당시 탁지부 대신으로 있던 이정환이 사욕으로 공무를 그르친 데 대해 규탄하는 내용이다. 「치소촌외상서(致小村外相書)」는 윤효정(尹孝定, 1858~1939)이 일본의 외상(外相) 고무라[小村]에게 보낸 서한으로,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 사건의 주범자인 우범선(禹範善)이두황(李斗璜)을 춘추필법(春秋筆法)에 따라 죄를 다스리되 일본 정부는 이들을 비호하지 말고 대한제국 정부에 인도해 줄 것을 요구한 내용이다. 「치아옥내상서(致兒玉內相書)」는 윤효정이 일본의 내상 고다마[兒玉]에게 보낸 서한으로, 을미사변의 주범 우범선을 살해하는 데 실패한 사실을 말하고 치안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자신에게 퇴거령을 내린 처사가 부당함을 항의한 내용이다. 「조동원군서(趙東元君書)」는 윤효정이 조동원에게 보낸 서한으로, 을미사변의 주범 우범선을 살해한 배경을 설명하고 그를 죽이고 일본 경찰에 자수한 고영근(高永根)의 구명 운동에 협조해 줄 것을 요청한 내용이다.

발문의 「녹황성신문제재수문동이상천가팔도유생제회발문(錄皇城新聞提載水門洞李相天家八道儒生齊會發文)」은 『황성신문』에 실린 발의문이다. 고영근의 구명 운동을 전개할 것과 명성황후의 능에 이 사실을 고유하자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상주의 「작일록상주저안우권태(昨日錄上奏諸按于權台)」는 권씨 성을 가진 대신에게 보낸 글로, 6개의 항목에 걸쳐 고영근 구명 운동의 전개 취지를 밝혔다.

의의 및 평가

을미사변 관련 기록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 을미사변이 발발하게 된 배경과 사건의 전말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원전

『소운거사유고(紹雲居士遺稿)』(국민대학교 도서관 소장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