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가평리 주거지 ( )

선사문화
유적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집터 관련 유물산포지. 생활유적.
이칭
이칭
가평리 철기시대유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집터 관련 유물산포지. 생활유적.
개설

1983년 강릉대학박물관에 의해 원삼국시대 주거지 2기가 발굴조사되었으며, 또 그 바로 옆 동쪽과, 이곳에서 남쪽으로 약 150m 떨어진 곳에서 1994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 의해 신석기시대 주거지 2기와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의 주거지 3기가 발굴조사되었다. 유적은 양양 남대천 하류의 남쪽 해변 사구지대에 위치한다. 주변으로는 서남쪽에 낮은 구릉의 산이 분포하고 동쪽으로는 유적에서 약 200m 거리에 동해바다가 펼쳐져 있다. 서북쪽으로 약 1㎞ 거리에 오산리 유적이 있다.

내용

1983년 조사된 원삼국시대 유구는 주거지 2기이다. 1호 주거지는 평면 철(凸)자형으로 길이 750㎝, 너비 710㎝의 방형에, 남쪽 가운데에 출입구가 돌출되었다. 바닥에는 두께 8∼17㎝의 진흙다짐을 했으며, 동북모서리에 노지(爐址)가 있다. 노지는 부뚜막과 시설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길이 20∼30㎝, 두께 5㎝ 정도의 벽돌모양의 돌이 10여 개 흩어져 있다. 동남모서리에는 저장혈이 있다. 유물은 평저형 소형 무문토기 · 발형토기 · 원저호 · 방추차 · 숫돌 · 철편 등이 출토되었다. 2호 주거지는 평면 철(凸)자형으로 길이 460㎝, 너비 430㎝의 방형에 남쪽 가운데에 출입구가 돌출되었다. 바닥에는 15㎝ 두께의 진흙다짐을 했으며, 불에 탄 기둥과 갈대 등이 다량으로 확인되었다. 동북모서리에 노지가 있는데, 부뚜막 같은 시설로 판단된다. 유물은 다량의 무문토기편과 파수부호 · 적갈색 타날문토기편 · 철편 등이 출토되었다. 이 두 주거지의 조성 시기는 서기 1세기 전반대로 추정된다.

19941996년 조사된 신석기시대 유구는 주거지 2기, 야외노지 3기이다. 1호 주거지는 평면 말각방형으로 길이 850㎝, 너비 800㎝, 깊이 40㎝의 대형이며, 장축방향은 북서-남동향이다. 동남편에 2m이상 돌출부가 있는데, 출입구로 추정된다. 바닥은 약 10㎝ 두께로 진흙다짐을 하였고 가운데에 노지가 있다. 가장자리에는 불에 탄 나무와 갈대가 확인되었으며, 주거지 내․외에서 주혈들이 확인되었다. 유물은 압인문 · 어골문 · 점렬문의 빗살무늬토기편과 화살촉 · 갈돌 · 갈판 · 석부 · 어망추 · 탄화된 씨앗 등이 출토되었다. 2호 주거지는 벽선이나 바닥 윤곽선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바닥 깊이는 약 35㎝이다. 내부 가운데에 노지가 있으며, 그 외곽 네 곳에 주혈이 있다. 노지는 2030㎝ 크기의 할석들을 장방형으로 배치하였고 내부는 수혈식으로 만들었다. 유구 주변에서 빗살무늬토기편 · 돌도끼 · 어망추 등이 출토되었다.

야외노지의 경우, 1 · 2호는 지름 120㎝, 100㎝ 크기의 평면 원형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었다. 할석들이 무질서하게 놓여 있으며 내부에서 목탄과 탄화된 도토리가 출토되었다. 3호는 지름 약 100㎝의 평면 원형으로 할석과 천석이 불규칙하게 놓여 있다. 내부에는 목탄이 있으며, 주변에서 빗살무늬토기편과 무문양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주거지와 야외노지의 조성 시기는 서기전 3000~2000년경으로 추정된다.

19941996년 조사된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유구는 주거지 3기이다. 1호는 결실되어 바닥면만 일부 남아있는데, 잔존크기는 남북 340㎝, 동서 240㎝ 정도이다. 바닥에는 약 10㎝의 진흙을 깔았다. 2호는 장축방향은 북서-남동향이며, 평면 여(呂)자형으로 전체 크기는 장축 10.5m, 단축 5.5m이다. 북쪽 큰 방은 장축 620㎝, 단축 550㎝, 깊이 5065㎝의 크기이다. 남쪽 작은 방은 장축 340㎝, 단축 210㎝의 크기이다. 두 방 모두 바닥에 진흙을 깔았으며, 서로 연결하는 통로는 길이 약 170㎝, 너비 약 140㎝, 깊이 1030㎝의 크기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경사져 있고, 바닥에 진흙을 얕게 깔았다. 큰방 가운데에 화덕이 있으며, 주거지 내 · 외부에서 주혈이 조사되었다. 또 내부에서 불에 탄 판자와 나무 및 갈대, 보리와 콩들이 조사되었다. 유물은 적갈색 경질무문토기 · 흑색마연토기 · 타날문토기와 철겸 · 철도자 · 철촉 등이 출토되었다. 3호 주거지는 대부분 파괴되어 형태를 알 수 없으며, 잔존크기는 장축 380㎝, 단축 340㎝이다. 바닥에는 진흙다짐을 하였으며, 가운데에 노지가 있다. 내부에서 불에 탄 판자와 나무가 노출되었다. 유물은 적갈색 경질무문토기․관옥이 출토되었다. 이 주거지의 조성 시기는 서기전 2세기~서기 2세기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강원도 중부지역의 신석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의 주거문화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고고학적 자료이다. 특히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주거지에서 다량의 탄화곡물(콩, 보리)이 확인되어 당시의 농경문화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문화유적분포지도: 양양군』(강원문화재연구소, 2003)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양양 가평리』(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양양군의 역사와 문화유적』(강릉대학교 박물관, 1994)
『양양군가평리주거지발굴조사보고』Ⅰ(강릉대학박물관,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