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락교회 ()

개신교
단체
서울특별시 중구 저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단체
설립 시기
1945년 12월 2일
설립자
한경직(韓景職)
설립지
서울 중구 저동
상위 단체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재지
서울 중구 수표로 33
전신
베다니전도교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영락교회는 서울특별시 중구 저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의 교회이다. 1945년 12월 2일 한경직 목사에 의해 베다니전도교회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이 교회는 북한 서북지방 피난민을 수용하며 빠르게 성장하였다. 월남 피난민 교회의 성격이 강해 신탁통치 반대와 반공운동에 앞장섰으며 피난민 구제와 교육 및 사회복지에도 힘써 왔다. 1995년 창립 50주 년을 맞이하여 북한 선교에 중점을 두면서도 사회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 저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변천 및 현황

영락교회는 1945년 12월 2일 한경직(韓景職) 목사에 의해 설립되었다. 신의주 제2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하던 한경직은 8·15광복과 함께 월남하여 조선신학교(한국신학대학 전신)의 교회사(敎會史) 교수로 취임하여 교편을 잡으면서 저동에 위치한 이 신학교 재단에 속한 건물을 빌려 처음에 베다니전도교회라는 이름으로 교회를 세웠다.

북한 서북지방의 피난민 교인들이 몰려들면서 얼마 지나지 않아 이 교회는 서울 최대의 교회가 되었고 1950년 6월에 교인 3,0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예배당을 건축하는 한편, 교회당 주위의 빈터에 천막을 쳐 집이 없는 피난민들에게 거처를 마련해 주기도 했다. 월남 피난민들 사이의 연고 관계와 구제 활동, 한경직 목사의 유능한 목회가 이 교회를 큰 교회로 발전시키는 주요 원동력이 되었다.

이 교회는 신탁통치 반대운동, 반공 운동에 앞장섰으며, 피난민 구제와 전도 사업, 개척 교회 설립, 농아(聾啞) 전도, 해외 선교사 파송, 교육 사업 및 사회복지 사업에도 힘써 왔다. 역대 담임 목사(擔任牧師)로는 한경직(韓景職), 강신명(姜信明, 19471955), 박조준(朴朝駿, 19731985), 김윤국(金潤國, 19861987), 임영수(林永樹, 19881997), 이철신(李哲信, 19982018), 김운성(金雲聖, 2018)이 있다.

1995년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21세기 선교와 남북통일에 대비한 북한 선교에 중점을 두는 한편, 대사회적 선교 활동과 기독교 교육을 위한 사업들을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50주년 기념관 건립, 영락기도원 개축, 노인 요양 시설 · 장애인 수용 시설 건립, 교회 학교 교재의 개편, 장로교신학대학의 채플(chapel) 건립 등을 추진하였고, 50주년 기념관 · 노인 요양 시설 · 중증 장애 아동 수용 시설(애니아의 집)을 지역 사회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2013년 기준 2만여 명의 교인이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사회사업 기관으로는 영락사회복지재단을 두고 있으며 그 산하에 아동 복지 영역에 영락보린원 · 영락지역아동복지센터, 노인복지 영역에 영락경로원 · 영락소규모요양원 · 영락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 은빛사랑채 영락노인주간보호센터 · 영락노인전문요양원 · 헤븐리재가노인복지센터, 모자 복지(母子福祉) 영역에 영락모자원, 장애인 복지 영역에 영락애니아의집 · 영락주간보호센터 · 구립용산장애인복지관, 영유아 보육 영역에 합실어린이집 · 영락어린이집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영락유치원, 영락중학교, 영락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대광초등학교, 대광중학교, 대광고등학교, 보성여자중학교, 보성여자고등학교 등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설립자 한경직은 한국 에큐메니컬운동과 장로교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인물로 꼽히며, 1992년에 종교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템플턴상을 수상하였다.

영락교회는 월남민들에 의해 가장 먼저 대형교회로 성장한 교회로 구제와 복지, 교육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월남민들이 주도한 교회로서 해방 정국에서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시기의 기독교 반공주의를 잘 보여 주는 사례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최종고, 『영락교회부흥사』 (한국문학사, 1974)
『영락교회50년사』 (영락교회, 1998)

논문

양봉철, 「제주4·3과 서북기독교」 (『4.3과역사』 9·10, 제주4.3연구소, 2010)

인터넷 자료

영락교회(http://www.youngnak.net/)
집필자
손승호(한국기독교역사문화재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