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곤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대사헌, 이조판서, 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희강(希剛)
학고(鶴皐), 우만(寓灣)
이칭
금헌(琴軒), 금재(琴齋)
시호
정도(貞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4년(성종 5)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벽진(碧珍: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
주요 관직
홍문관교리|사헌부장령|평안도병마절도사|이조참판|전라도관찰사|대사헌|이조판서|우찬성
관련 사건
갑자사화|중종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대사헌, 이조판서, 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희강(希剛), 호는 학고(鶴皐) · 금헌(琴軒) · 금재(琴齋) · 우만(寓灣). 이신지(李愼之)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흥해군사(知興海郡事) 이호겸(李好謙)이다. 아버지는 참군(參軍) 이승언(李承彦)이며, 어머니는 이조참판 이래(李徠)의 딸이다.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92년(성종 23) 유자광(柳子光)에 의해 유장(儒將)의 적격자로 천거된 적이 있으며, 1495년(연산군 1)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1502년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04년 교리로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이듬 해 거제도에 유배되었다. 이때 연산군이 무예와 용맹이 있는 이장곤이 변을 일으킬까 두려워해 서울에 잡아올려 처형하려 하자, 이를 눈치채고 함흥으로 달아나 양수척(楊水尺)의 무리에 발을 붙이고 숨어 살았다.

이 해 중종반정으로 자유의 몸이 된 뒤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1508년(중종 3) 박원종(朴元宗)의 추천으로 다시 기용되어 홍문관부교리 · 교리 · 사헌부장령을 거쳐 이듬 해 동부승지가 되었다. 이어 평안도병마절도사가 되었고, 1512년 중국 산동성에서 도적이 크게 일어나자 그 화가 우리나라에 미칠 것을 걱정해, 비변사에 이를 보고하는 동시에 성곽을 수축하고 양곡을 비축해 대비하도록 건의하였다.

또, 이 해 7월에 야인 2,000여 명이 창성에 침입하자 군사를 거느리고 맞서 싸워 격파하였다. 이듬 해 이조참판이 되고, 1514년에 예조참판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515년 대사헌이 되고, 이듬 해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북쪽 변경의 일을 잘 안다 하여 곧 함경도관찰사로 교체되었다.

1518년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고, 이듬 해 우찬성으로 원자보양관(元子輔養官)이 되고 병조판서를 겸임하였다. 이 때 심정(沈貞) · 홍경주(洪景舟) 등에게 속아 기묘사화를 일으키는 데 가담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목적이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한 신진 사류들의 숙청임을 알고 이들의 처형을 반대하였다. 이 때문에 심정 등의 미움을 사서 결국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그 뒤 경기도 여강(驪江)경상도 창녕에서 은거하였다.

학문과 무예를 겸비해 일찍부터 중종의 신임을 받아 승진이 빨랐으며, 관직을 삭탈당한 뒤에도 귀양을 보내자는 대간의 요구가 관철되지 못하였다. 중종은 이장곤의 재질을 아깝게 여겨 군직(軍職)을 주어 유사시에 쓰려고 했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실현하지 못하였다. 창녕의 연암서원(燕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금헌집(琴軒集)』이 있다. 시호는 정도(貞度)이다.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순암문집(順菴文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운석유고(雲石遺稿)』
『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
『대동기문(大東奇聞)』
『해동잡록(海東雜錄)』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