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약단 ()

근대사
단체
1919년 서간도에서 망명 유림들이 조직한 항일독립운동단체.
이칭
이칭
향약, 향약계
단체
설립 시기
1919년
설립자
백삼규|송상규|이소응|박양섭|박장호 외
설립지
서간도 관전현 소아하 서대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향약단(鄕約團)은 1919년 서간도(西間島)에서 망명 유림들이 조직한 항일독립운동단체이다. 화서학파(華西學派) 출신의 유림들이 조직하였으며, 전통적인 향약(鄕約) 활동과 무장투쟁단체의 성격을 지녔다. 정치적으로는 복벽주의(復辟主義)를 주장하였으며, 이후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의 결성에 참여하였다.

목차
정의
1919년 서간도에서 망명 유림들이 조직한 항일독립운동단체.
변천 및 현황

3 · 1운동의 분위기가 번져나가는 속에서 1919년 3월 무렵 서간도 관전현(寬甸縣) 소아하(小雅河) 서대파(西大坡) 부근에서 망명 유림들이 주축이 되어 조직되었다. 기록에 따라서 향약, 향약계(鄕約契), 향약단 등으로 불렸다.

지도자 격인 도헌(都憲)에 백삼규(白三圭), 부헌(副憲) 송상규(宋尙奎)를 비롯한 이소응(李昭應), 박양섭(朴陽燮), 박장호(朴長浩), 최능흡(崔能洽), 김성범(金聖範), 김유성(金有聲), 이사은(李思誾), 백응수(白應洙), 오석영(吳錫永), 조대능(趙大能), 최근창(崔根昌), 이거수(李巨燧), 김덕신(金悳新) 등 총 15명으로 지도부를 구성하였다. 이들 중 대다수는 화서학파 출신으로 유인석(柳麟錫)과 깊은 연관이 있었다.

조직 구성은 총지휘부인 도약소(都約所) 아래에 향약소(鄕約所), 방약소(坊約所), 리약소(里約所)를 두었다. 직제는 유인석이 참여한 제천향약(堤川鄕約), 관일약(貫一約) 등과 유사하였는데, 도약소에는 도헌 1명, 부헌 1명, 도유사(都有司) 1명, 찬약(贊約) 5명, 주무(主務) 5명 등을 두었다.

이 무렵, 서간도 유하현(柳河縣)에서는 부민단(扶民團)한족회(韓族會)로 전환되고, 통합된 독립군 단체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이 결성되었다. 같은 화서학파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던 대한독립단의 조맹선(趙孟善)은 향약단과의 통합을 추진하였고, 박장호 · 백삼규 등이 이에 응하면서 1919년 7월에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였다.

그러나 복벽주의를 지향하는 향약단과 공화주의(共和主義)를 지향하는 대한독립단 기존 세력 사이에 연호 사용 등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백삼규 등은 대한독립단의 영향력 아래에서 향약단을 재설치하였다. 그리고 관전현 지사(知事)에게 지원을 요청했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후 백삼규가 1920년 6월 4일, 중일합동수색대에 의해 전사하면서 구심점을 잃고 뚜렷한 활동을 이어가지 못하였다.

1922년 1월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한교거류민단(韓僑居留民團), 광한단(光韓團), 청년단(靑年團), 한교회(韓僑會), 기원독립단(紀元獨立團) 등 7개 단체와 서간도 지역의 군사단체 통일을 논의하는 회의에 참석하였다. 이들 단체는 이후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를 조직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주용,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이주 · 저항 · 정착의 점이지대』(경인문화사, 2018)
신주백, 『중국지역 민족운동사』 (선인, 2005)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독립운동사』 3(탐구당, 1967)

논문

김호진, 「서간도 망명 유림의 향약 설치와 추이」(『한국독립운동사연구』 7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