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권6~7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531년(중종 26) 경상도 영천군 공산본사에서 중각하여 1535년(중종 30) 삼성암에서 인출한 목판본 불경.
이칭
약칭
법화경(法華經)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535년(중종 30)
저자
구마라집(鳩摩羅什)
권책수
2권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대흥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09년 9월 11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단양군 황정산로 423 (대강면, 대흥사미륵석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6~7은 1531년(중종 26) 경상도 영천군 공산본사(公山本寺)에서 중각하여 1535년(중종 30) 삼성암에서 인출한 목판본 불경이다. 이 불경은 구마라집이 406년에 번역한 7권본 『묘법연화경』과 12세기 계환의 주석을 1455년(세조 1)에 을해자로 간행한 판본을 토대로, 1531년 중각하여 1535년 인출한 목판본이다. 충청북도 단양군 대흥사 도서로, 2009년 9월 1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의
1531년(중종 26) 경상도 영천군 공산본사에서 중각하여 1535년(중종 30) 삼성암에서 인출한 목판본 불경.
저자 및 편자

산스크리트어로 된 대승불교 경전인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를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4)이 7권본으로 406년에 한역(漢譯)하였다. 이 판본은 이 7권본에 중국 송대(宋代)의 계환이 주석을 가한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를 저본으로 한 것이다.

서지사항

총 2권 1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책의 크기는 세로 35.5㎝, 가로 24.4㎝이고, 본문은 9행 21자로 되어 있다. 장정은 선장본(線裝本)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권7의 말미에 “가정10년 신묘(嘉靖十年辛卯)[1531년(중종 26)]에 경상도 영천군 공산본사(公山本寺)에서 중각(重刻)했다.”라는 간기(刊記)와 겉표지에 “가정12년 계사(嘉靖十二年癸巳)[1533년(중종 28)] 가을에 시작하여 을미(乙未) 3월[1535년(중종 30)]에 삼성암(三聖菴)에서 인출(印出)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곧 이 책은 1531년 중각된 판본을 토대로 1535년에서야 최종적으로 인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참여 승려, 시주(施主), 각수(刻手) 등의 이름을 나열한 시주질(施主秩)이 보일 뿐, 간행 목적 등 다른 정보는 파악하기 어렵다.

구성과 내용

국가유산포털에 게시된 국가유산 이미지 파일을 통해 권6은 제18 「수희공덕품(隨喜功德品)」, 권7은 제24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부터 시작됨을 볼 수 있다.

권6은 이 경전을 널리 설하고 전하는 공덕이 무량하며(제18 「수희공덕품」), 경전을 수지(受持)하고 독송(讀誦)하면 6근(根)이 청정해지고(제19 「법사공덕품(法師功德品)」), 세상의 멸시를 감내하는 상불경보살(常不輕菩薩)의 덕을 찬탄하는(제20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 등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

특히 권6의 마지막 품인 제23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은 여러 공양 중 자기의 몸을 불사르는 소신공양(燒身供養)이 최고임을 설하여 많은 동아시아의 불교도들에게 종교적 영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권7은 부처를 공양하여 얻은 삼매와 신통력으로 중생을 제도하는 묘음보살의 공덕을 설하고(제24 「묘음보살품」), 역시 중생을 무량한 방편으로 제도하는 관세음보살의 자비심을 찬탄하며(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이 경전을 설하는 법사를 보호하는 다라니의 힘을 노래하며(제26 「다라니품(陀羅尼品)」), 다시 한번 이 경전을 수지, 독송하는 공덕을 강조하여 끝맺는 부분(제28 「보현보살권발품(普賢菩薩勸發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대흥사 도서는 여러 종류의 『묘법연화경』 판본 가운데 조선 초기에 강희안(姜希顔, 1419~1464)의 서체(書體)를 자본(字本)으로 하여 만든 금속활자인 을해자(乙亥字)로 찍어 낸 것을 약 80년 뒤에 다시 목판으로 중각하여 간행한 것으로서 조선시대 인쇄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2009년 9월 1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6~7(충청북도 단양군 대흥사 도서)

단행본

강민식 외, 『충청북도 문화재대관』 2(충청북도 문화재연구원, 2017)
이지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보련각, 1973)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http://kabc.dongguk.edu)
집필자
고승학(금강대학교 불교인문학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