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금성사 육경합부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460년(세조 6)에 『금강경』 등 6개의 경전을 선종 흥천사에서 한 권으로 묶어 간행한 불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460년(세조 6)
권책수
1권
판본
목판본
소장처
금성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15년 5월 11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옥계길 16 금성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구 금성사 『육경합부』는 1460년(세조 6)에 『금강경』 등 6개의 경전을 선종 흥천사에서 한 권으로 묶어 간행한 불서이다. 『육경합부』는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대불정수능엄신주』,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관세음보살예문』, 『불설아미타경』 등 당시 독송용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던 여섯 개의 경전이다.

정의
1460년(세조 6)에 『금강경』 등 6개의 경전을 선종 흥천사에서 한 권으로 묶어 간행한 불서.
저자 및 편자

조선 전기 효령대군(孝寧大君) 등이 주관하고 편찬하여 간행하였다.

서지사항

천순(天順) 4년 경진년(庚辰年)에 해당하는 1460년(세조 6)에 선종(禪宗) 흥천사에서 개판(開板)하였다.

편찬 및 간행 경위

효령대군, 영응대군(永膺大君), 하성위(河城尉) 정현조(鄭顯祖: 세조의 사위, 명숙공주의 남편) 등이 주관하여 당시 유통하던 6개의 경전을 선종에서 8행 17자로 배열하여 한권으로 묶어 간행하였다.

시주자는 김려산(金麗山), 한씨(韓氏) 돌금(乭今), 김귀생(金貴生), 김효신(金孝信), 중비(仲非), 손효충(孫孝忠) 등 27명이 동참하였고, 각수(刻手)는 도운(道雲), 화주(化主)는 설운(雪雲)이 참여하였다.

구성과 내용

『육경합부(六經合部)』는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 『대불정수능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 ·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 · 『 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 · 『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등 당시 독송용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던 여섯 개의 경전이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조선 초기에 왕실에서 효령대군 등이 주관하여 판각한 『육경합부』로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책의 상태를 살펴보면 표지는 비록 개장되었으나, 내용은 낙장(落張)이 없는 완본(完本)이며, 1460년에 판각할 당시의 판본으로 추정되는 귀중한 국가유산이다.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육경합부(六經合部)』(대구광역시 금성사 도서)

단행본

문화재청,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84~85지정편)』-보물793호
문화재청,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88지정편)』-보물 965호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기타 자료

대구광역시문화재위원회 회의록(2015. 5. 1)
집필자
박상국(동국대학교 석좌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