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원명사 육경합부 ( )

불교
문헌
문화재
1660년(순치 17)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6종의 경전을 요약하여 한데 모아 간행한 불경 요약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660년(순치 17)
권책수
1권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원명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2년 5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529번길 83 원명사
내용 요약

김해(金海) 원명사(圓明寺) 『육경합부(六經合部)』는 1660년(순치 17)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6종의 경전을 요약하여 한데 모아 간행한 불경 요약서이다. 이 책은 전라도 징광사에서 간행된 목판본으로,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대불정수능엄신주』, 『불설아미타경』,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관세음보살예문』 등 6종의 경전 내용을 1책으로 축약한 것이다.

정의
1660년(순치 17)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6종의 경전을 요약하여 한데 모아 간행한 불경 요약서.
개요

『육경합부』는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 『대불정수능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 『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 『 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 등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6종의 경전을 요약하여 한데 모아 간행한 것이다.

그중 대표적인 판본은 1421년 고산 안심사(安心寺)에서 성달생(成達生)의 글씨를 바탕으로 간행한 판본 등을 비롯하여 1440년(세종 22) 화악산(華岳山) 영제암(永濟庵)에서 판각한 목판을 1472년(성종 3)에 간행한 것 등이 있으며, 목판본 약 30여 종의 판본이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다.

김해 원명사 도서는 초기의 판본들을 저본으로 1660년(순치 17)에 전라도 징광사(澄光寺)에서 목판으로 번각하여 간행한 것이다.

서지사항

간기주2에 “순치십칠년경자정월일징광사개간(順治十七年庚子正月日澄光寺開刊)”이라고 적혀 있다. 이를 통해 1660년에 전라도 징광사에서 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1권의 목판본으로, 책의 크기는 세로 25.1㎝, 가로 17.0㎝이다. 종이의 두께는 0.07㎜이고 종이의 발끈 폭은 1.8~2.0㎝, 종이의 촉수는 19촉으로 나타난다. 종이의 색차값은 L :72.0, a: +6.1 b: +19.1이다.

책의 권수에는 2장 4면의 변상도가 있으며, 이 변상도를 시주한 사람은 응대(應代), 홍접(紅蝶)의 2인이다. 이 판본의 주1로는 계웅(戒雄), 해옥(海玉), 석행(碩行), 경규(敬圭), 청임(淸稔)의 5인이다. 본문 중 18세기의 약체구결이 나타난다. 간혼계선에 유문어미가 있으며 아미타경 제3장은 주3로 보충하였다.

편찬 및 간행 경위

6종의 경전은 성달생이 처음 필사할 때는 ‘육경합부’라는 말을 쓰지 않았으나, 주4가 간행하면서 주5이 쓴 주6을 초주갑인자로 권말에 첨부하면서 ‘육경합부’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내용

『육경합부』의 경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주7 계열의 주요 경전으로, 대장경의 반야부 600부 가운데 577권에 해당한다. 이 경은 공혜(空慧)로서 체(體)를 삼고 일체 무아(無我)의 이치를 말한 것을 요지로 한다.

둘째,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은 당나라 삼장반야(三藏般若)가 『 화엄경』의 입법계품만을 번역한 40권 40품 중에 마지막 품인 제40품에 해당된다.

셋째, 『불설아미타경』은 아미타불의 본원력에 대한 절대적인 신앙을 바탕으로 아미타불에 의한 중생 구원을 설하고 있는 경전으로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과 더불어 정토 3부 경전으로 불린다.

넷째,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은 『묘법연화경』의 전체 28품 중 25번째인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에 해당된다. 「관세음보살보문품」은 관세음보살의 위력을 설한 내용으로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마음을 담아 부르는 것만으로도 공덕을 가짐을 설하였다.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권수제는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제이십오(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第二十五)’인 반면, 『육경합부』에 수록된 권수제는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이다.

다섯째, 『대불정수능엄신주』는 대부분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제7권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7권은 해탈의 문에 들어가는 주문인 ‘능엄다라니’를 설하고 그 공덕을 밝힌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섯째, 『관세음보살예문』은 예참의식에 사용되었던 예문으로 참의(懺儀)의 연기에 관음예문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가 잘 설명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육경합부』는 대부분이 세종 6년 전라도 고산 안심사 판본을 비롯하여 임진왜란 이전의 판본 20여 종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김해 원명사 도서는 조선 후기에도 『육경합부』의 경전이 발간되었음을 보여 주는 귀중한 사례이며, 서지학적으로도 자료적 가치가 있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2년 5월 1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송일기, 김유리, 「『육경합부』의 판본 연구」(『서지학연구』 52, 2012)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https://www.cha.go.kr/)
주석
주1

나무나 돌 따위에 조각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2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ㆍ곳ㆍ간행자 따위를 적은 부분.    우리말샘

주3

먹물로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우리말샘

주4

조선 덕종의 비 소혜 왕후를 대비로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의 학자(1410~1481). 자는 문량(文良). 호는 괴애(乖崖)ㆍ식우(拭疣). 세종 27년(1445)에 승문원 교리로서 ≪의방유취≫ 편찬에 참여하였고, 공조 판서ㆍ영중추부사를 지냈다. 불교에 조예가 깊어 ≪금강경≫ 따위의 불경을 국역ㆍ간행하였다.    우리말샘

주6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7

대승 불교에서, 만물의 참다운 실상을 깨닫고 불법을 꿰뚫는 지혜. 온갖 분별과 망상에서 벗어나 존재의 참모습을 앎으로써 성불에 이르게 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른다.    우리말샘

집필자
남권희(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