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경합부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5세기 후반에 금속활자인 을유자로 간행된 『금강반야바라밀경』, 『보현행원품』, 『관세음보살예문』 등의 불경.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5세기 후반
저자
구마라집(鳩摩羅什)
권책수
1책
판본
금속활자본
소장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19년 1월 30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신당동,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삼경합부(三經合部)』는 15세기 후반에 금속활자인 을유자로 간행된 『금강반야바라밀경』, 『보현행원품』, 『관세음보살예문』 등의 불경이다. 조선 전기에 널리 유통된 『육경합부』 가운데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관세음보살예문』 등 3종의 불서를 금속활자인 을유자로 찍은 15세기 후기의 인출본이다. 을유자로 인출된 『삼경합부』는 거의 전하지 않아 희귀하고 완질본으로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조선 전기 불교사와 인쇄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정의
15세기 후반에 금속활자인 을유자로 간행된 『금강반야바라밀경』, 『보현행원품』, 『관세음보살예문』 등의 불경.
저자 및 편자

요진(姚秦)의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4)이 한역(漢譯)하였다.

서지사항

을유자(乙酉字)로 간행된 금속활자본이다.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과 『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은 을유자의 중자(中字)로, 『 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은 을유자의 소자(小字)로 인출되었다.

사주단변(四周單邊)에 반곽(半廓)이며, 크기는 세로 17.5㎝, 가로 10.2㎝이다. 경계선이 있으며[有界] 행자수(行字數)는 8행 17자이다. 고정지가 섞여 있고 선장본(線裝本)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을유자는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간행하기 위하여 1465년(세조 11)에 정난종(鄭蘭宗)의 글씨를 자본(字本)으로 만든 금속활자이다. 당시 한자 활자는 대, 중, 소의 3종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글자체가 바르지 못하였으므로 약 20년간 사용되다가 1484년(성종 15)에 갑진자(甲辰字)를 주조하였으므로 인본(印本)은 많지 않다.

구성과 내용

1424년(세종 6)에 전라도 고산(高山) 안심사(安心寺)에서 신현(信玄)이 성달생(成達生)에게 『 금강경(金剛經)』을 필사해 줄 것을 요청했는데, 이때 널리 유통되었던 6개의 경전을 함께 필사하여 간행한 것이 『 육경합부(六經合部)』가 되었다.

그 후 여러 차례 간행 유통되었는데, 세조 후반기에서 성종 전반기에 육경에서 삼경으로 줄여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관세음보살예문』을 간행한 것이다.

의의 및 평가

을유자로 인출된 『삼경합부』는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도서 외에 구미 자비사 도서를 비롯하여 5점 정도가 국내에 남아 있을 뿐이다. 이 판본은 거의 전존하지 않아 희귀한데, 본서는 완질본으로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조선 전기의 불교사와 인쇄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2019년 1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삼경합부(三經合部)』(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도서)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기타 자료

대구광역시문화재위원회 회의록(2019. 1. 18)
집필자
박상국(동국대학교 석좌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