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Allen )

의생활
물품
1904년, 대한제국이 미국 외교관 알렌에게 수여한 태극대수장 훈장.
물품
재질
금속|직물
소장처
연세대학교 동은의학박물관
제작 시기
대한제국기
내용 요약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은 1904년 대한제국이 미국 외교관 알렌에게 수여한 태극대수장 훈장이다. 이 훈장은 태극 1등 훈장 정부장(正副章)과 대수(大綬)이다. 태극장은 문관이 받는 훈장으로 1등부터 8등까지 나누어져 있으며, 훈공일등 태극장은 그 가운데 가장 격이 높았다. 알렌은 미국인으로 의사이자 선교사로 파견되어 의료 선교를 펼치다가 1890년부터 주한 미국 공사관의 서기관으로 일했으며 1897년부터는 주한 미국공사 겸 총영사로 1905년까지 한미 외교를 담당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하여 대한제국이 훈장을 수여한 것이다.

키워드
정의
1904년, 대한제국이 미국 외교관 알렌에게 수여한 태극대수장 훈장.
형태와 제작방식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Allen 受贈 勳功一等 太極大綏章, Grand Cordon of the Taegeuk for the First Merit Degree Awarded to Horace Newto)은 금속제 태극 주1 1점, 주2 1점, 붉은색 직조로 이루어진 주4 1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5 일등 태극장(정장)은 120×75㎜, 훈공 이등 태극장(부장)은 90×90㎝, 대수는 106×1590㎝의 크기이다. 훈공 일등 태극 정장은 가운데에는 청홍의 태극을 중심으로 팔방으로 빛이 뻗어 나가는 형상이며 대수에 부착하는 고리에는 자두꽃과 잎으로 장식되었다. 자둣잎의 뒷면에는 ‘훈공 일등(勳功一等)’이라는 글자가 주3로 새겨져 있다. 훈공 이등 태극장은 중앙에 청홍의 태극을 중심으로 백색 광선이 팔방으로 뻗어 나가고 그 바깥쪽으로 은색 광선이 둘려 있다. 뒷면에는 패침이 부착되어 있고 좌우에 ‘훈공 이등(勳功二等)’이라는 글자가 전서체로 새겨 있다. 대수는 붉은색을 중심으로 푸른색의 실로 직조해 제작했다. 대수는 양끝에서 교차하며 그 교차점에 자두꽃 모양으로 접어 부착했으며 그 아래에 훈공 일등 태극장을 걸 수 있는 고리가 있다.

내용

훈장 제도는 1900년에 표훈원 관제를 채택하여 실시되었다. 훈장은 황실 및 나라에 공훈을 세운 문관과 무관, 외국의 원수와 외교관들에게 수여함으로써 그 사람의 공적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훈장의 종류는 대훈장으로 주로 황실 인사에게 수여하는 금척 주6과, 태극장을 받고도 공훈이 있는 경우 수여하는 이화 주7, 무관에게 수여하는 서성 주8이 있고, 주10이 있는 사람에게는 주9, 주11, 주12, 그리고 여성에게는 주13 등을 수여하였다. 훈장 제도는 1900년 서구식 문관 대례복의 실시와 함께 시행되었으며 주로 서구식 대례복에 착용하도록 하였다. 대수는 오른쪽 어깨로부터 왼쪽 겨드랑이 아래쪽으로 늘어뜨리며, 정장은 대수의 아래에 고리로 부착한다. 부장은 핀으로 왼쪽 가슴에 부착한다. 대수 정장은 대례복을 입을 때 예의를 갖추기 위해 착용하며 주로 국왕을 알현하거나 연회에 참석할 때에 착용한다. 훈장은 남성의 경우 대체로 서구식 양복에 부착했으나 여성의 경우 서구식 복장을 하지 않았으므로 한복 위에 착용하기도 하였다.

알렌(Horace Newton Allen, 1858~1932)은 미국인으로 의사이자 선교사, 외교관으로 1884년부터 1905년까지 한국에서 근무하였다. 1884년에 한국 최초의 의료 주14주15 미국 공사관에서 의사로 근무했으며 갑신정변으로 부상당한 민영익을 치료한 것이 계기가 되어 왕실 의사와 고종의 정치 주16이 되었다. 1885년에는 국가에서 개설한, 한국 최초의 현대식 병원인 주17에서 의사와 교수로 일했으며 1890년 주한 미국공사관의 주18으로 외교 활동을 시작하여 1897년에는 주한 미국공사 겸 주19가 되었다. 1901년 주한 미국 전권 주20가 되었으며 이러한 외교 활동을 인정받아 1904년 고종으로부터 훈공일등 태극대수장을 받았다. 1905년 미국으로 귀환하여 의사로 지내다가 여생을 마감하였다.

현황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은 알렌의 유족이 보관하고 있던 것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에 기증되었다. 2015년에 국가 등록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훈장을 수여함을 나타내는 증서인 주21는 알렌의 유족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의 및 평가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은 대한제국기에 제정한 훈장을 외교관에게 수여한 것으로 알렌의 유족이 잘 보관하고 있다가 우리나라에 기증하였으며, 대한제국기에 근대적인 제도로 제정한 훈장을 수여하여 외교 주22를 이끌었던 정책의 일면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외부표훈원거래문(外部表勳院去來文)』

단행본

민경배, 『알렌의 선교와 근대 한미외교』(연세대학교출판부, 1991)
이강칠, 『대한제국 시대 훈장 제도』(백산출판사, 1991)
Harrington, Fred Harvey, 『개화기의 한미 관계: 알렌 박사의 활동을 중심으로』(일조각, 1993)
Allen, Horace Newton, 『알렌의 조선 체류기』(예영커뮤니케이션, 1996)
김원모, 『개화기 한미 교섭 관계사』(단국대학교출판부, 2003)
Allen, Horace Newton, 『알렌의 일기: 구한말 격동기 비사』(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이경미, 『제복의 탄생』(민속원, 2012)
목수현, 『태극기 오얏 꽃 무궁화: 한국의 국가 상징 이미지』(현실문화, 2021)

논문

김원모, 「알렌의 한국 독립 보전 정책(1903)」(『동양학』 20,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0)
김현숙, 「미국 공사 알렌의 사회적 관계와 협력망: 스티븐스와의 협력 관계를 중심으로」(『이화사학연구』 60, 이화사학연구소, 2020)
김희연, 「대한제국기 한성 수도 부설권 문제-주한 미국공사 알렌(Horace N. Allen)의 활동을 중심으로」(『한국 근현대사 연구』 88, 한국근현대사학회, 2019)
김희연, 「주미 조선공사관 참찬관 알렌(Horace N. Allen)의 활동」(『이화사학연구』 59, 이화사학연구소, 2019)
박형우, 「알렌의 의료 선교사 지원과 내한 배경」(『한국기독교와 역사』 4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4)
손정숙, 「주한 미국공사 알렌(H. N. Allen)의 외교활동(1897~1905)」(『이화사학연구』 31, 이화사학연구소, 2004)
오대환·최정도, 「최초의 선교사 알렌(Allen)의 A Language Book of Korean에 대한 연구」(『언어와 정보 사회』 42,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1)
유광수, 「알렌(H. N. Allen) 번역 「홍길동전」 연구」(『어문논집』 89, 민족어문학회, 2022)
이영미, 「을사조약 후 고종의 대미교섭 시도에 대한 알렌의 인식과 대응: 『알렌문서』 발굴 자료를 중심으로」(『한국 근현대사 연구』 82, 한국근현대사연구회, 2017)
이영미, 「선교사에서 외교관으로: 알렌(Horace N. Allen, 1858~1932)의 삶과 한국」(『역사민속학』 58, 한국역사민속학회, 2020)
장영숙, 「알렌이 포착한 기회의 나라, 대한제국」(『이화사학연구』 59, 이화사학연구소, 2019)
장영숙, 「러일 개전의 길과 알렌의 외교적 변신」(『한일관계사연구』 74, 한일관계사학회, 2021)
장영숙, 「알렌, 이용익과의 갈등과 원한의 변곡점」(『역사문화연구』 78,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최재건, 「제중원 시기의 알렌과 언더우드의 활동」(『연세의사학』 18-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의학사연구소, 2015)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주석
주1

약식이 아닌 정식으로 된 훈장이나 문장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수(綬)가 없는 메달로, 정장(正章)과 함께 가슴에 다는 표지. 우리말샘

주3

전자(篆字) 모양으로 쓰는 서체. 우리말샘

주4

어깨에서 허리에 걸쳐 드리우는 큰 수(綬). 1등급 훈장과 건국 훈장 대통령장, 수교 훈장 흥인장의 정장(正章)을 달기 위한 띠이다. 우리말샘

주5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 우리말샘

주6

대한 제국 때의 일곱 훈장 가운데 최고 훈장. 두 번째 등급의 서성 대훈장을 이미 받은 황족이나 문무관에게 특별한 공로가 있을 때에 임금의 특명으로 주었다. 우리말샘

주7

대한 제국 때의 일곱 훈장 가운데 세 번째 등급의 훈장. 네 번째 등급의 태극장을 이미 받은 문무관에게 특별한 공로가 있을 때에 임금의 특명으로 주었다. 우리말샘

주8

대한 제국 때의 일곱 훈장 가운데 두 번째 등급의 훈장. 세 번째 등급의 이화 대훈장을 이미 받은 왕족이나 문무관에게 특별한 공로가 있을 때에 주었다. 우리말샘

주9

대한 제국 광무 4년(1900)에 제정되어 국가에 공이 많은 문무관에게 수여한 훈장. 1등에서 8등까지 있었다. 우리말샘

주10

나라나 회사를 위하여 두드러지게 세운 공로. 우리말샘

주11

갑오개혁 이후에 문무관 가운데 훈공이 있는 사람에게 주던 훈장. 1등에서 8등까지 있었다. 우리말샘

주12

대한 제국 때에, 무공이 뛰어난 사람에게 주던 훈장. 1등부터 8등까지 있었다. 우리말샘

주13

대한 제국 때에, 내명부와 외명부 가운데 숙덕(淑德)과 공훈이 뛰어난 사람에게 황후의 영지(令旨)로 수여하던 훈장. 융희 원년(1907)에 제정한 것으로, 1등에서 6등까지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14

외국에 파견되어 환자들을 돌보며 종교를 널리 전도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15

일정한 임무가 주어져 사람이 보내어지다. 우리말샘

주16

어떤 분야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자문에 응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조언을 하는 직책. 또는 그런 직책에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17

조선 고종 22년(1885)에 일반 백성의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아래에 두었던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 지금의 서울 재동에 미국인 선교사 알렌(Allen, H. N.)의 주관 아래 세웠으며, 같은 해에 제중원으로 이름을 고쳤다. 우리말샘

주18

일반직 4급 공무원의 직급. 부이사관의 아래, 사무관의 위이다. 우리말샘

주19

주재국 영토 안의 자국민을 보호ㆍ감독하고, 통상ㆍ항해에 관한 사항을 본국에 보고하며, 주재국에 근무하는 자국의 영사 및 관리를 감독하는 최상급의 영사. 우리말샘

주20

국가를 대표하여 파견되는 외교 사절. 외교부 장관의 감독과 훈령을 받아 조약국에 상주하는 외교 사절로, 대사에 버금가는 계급이다. 우리말샘

주21

훈장을 받는 사람에게 훈장과 같이 주는 증서나 그 기록. 우리말샘

주22

국제 사회에서 국가 상호 간에 국제법상의 주체로서 승인하고 서로 교신, 협력, 국제 문제의 공동 대처 따위의 모든 사무 관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목수현(서울대학교 규장각 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