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 (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
양산 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개설

200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화기(畵記)에 의하면, 임한(任閑)이란 화사가 이 그림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임한은 기림사 비로자나삼신불도(1718년)를 비롯하여 통도사 석가설법도(1734년)와 통도사 비로자나삼신불도(1759년) 등 경상도 지역의 불화 제작을 주도한 화사이다.

내용

화면의 중앙에 본존인 아미타여래가 보단(寶壇) 위에 결가부좌하였고, 그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세지보살을 비롯한 8대보살과 사천왕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면 윗부분에는 10대 제자와 용왕·용녀 등이 배치된 전형적인 설법도 형식의 그림이다. 채색은 주로 군청과 녹청을 주조색으로 하였으며 중간색은 억제되어 있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인다. 본존을 상대적으로 크게 묘사하여 주제를 극대화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이며, 법의의 옷주름 역시 비교적 굵고 활달하여 본존의 모습과 조화를 이룬다.

의의와 평가

전체적으로 구도는 물론, 색감도 안정된 우수한 작품이다. 필치가 섬세하고 유연함이 돋보인다. 18세기 중반에 화사 임한이 수화사를 맡아 조성한 이른 시기의 불화로서, 이른바 임한파 화풍을 선도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통도사편-(성보문화재연구원, 1996)
『통도사의 불화』(통도사성보박물관, 1988)
「조선후기 화사 임한에 대한 연구」(정희선,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경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