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환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청룡사 신중도
서울 청룡사 신중도
회화
인물
조선후기 남양주 흥국사 석가모니괘불도, 서울 청룡사 신중도 등의 불화를 제작한 승려. 화승.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목차
정의
조선후기 남양주 흥국사 석가모니괘불도, 서울 청룡사 신중도 등의 불화를 제작한 승려. 화승.
개설

영환(永煥)은 19세기 중·후반에 활동했던 불화승으로 40여년에 걸쳐 40여 점의 불화를 제작하였다. 1856년 성주 선석사 대웅전 영산회상도의 동참화승으로 활동한 이후 주로 한성부와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1868년 서울 백련사 괘불도의 제작을 비롯해 일찍부터 수화승으로 두각을 나타냈는데 서울 봉국사 명부전 시왕도(1898)의 조성에 이르기까지 다작의 불화 제작을 주관하였다. 당시 왕실 및 상궁의 시주로 조성된 불화에도 주요 화승으로서 이름을 보인다.

생애

생몰년은 미상이며 당호는 금곡당(金谷堂)이다. 1856년 양주 흥국사 만월보전(滿月寶殿) 시주질 현판에는 화소질(畫所秩)에 화승이 아닌 도감(都監)으로 기록되어 있다. 동년인 1856년에 경상북도 성주 선석사 대웅전 영산회상도의 동참화승으로 활동한 기록이 있는데, 아마도 경상북도에서 경기도의 흥국사로 활동 근거지를 옮긴 것으로 추측된다. 1870년의 「흥국사시왕전중수기(興國寺十王殿重修記)」에 ‘대중겸화주질(大衆兼化主秩)’에 영환의 이름이 기록된 점으로 미루어 이후에는 불화 조성뿐 아니라 불사의 재원을 모으는 화주 등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활동사항

영환은 40여 점의 많은 불화의 제작을 주도하였는데 제자인 한봉창엽(漢峰昌曄)과 경선응석(慶船應碩) 등이 동참화승으로서 참여하였다. 영환과 동참화승들의 불화작업은 19세기 후반 경기지역의 불화 양식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1856년 선석사 대웅전 영산회상도를 시작으로, 1858년 흥국사 석가모니괘불도를 제작한 후 약 10년간의 공백기가 있었다. 따라서 초기의 화풍 형성 과정이 명확하지 않다. 흥국사 괘불도 조성 시에는 성운영희(性雲永熙)를 수하승으로 동참화승이 되었는데 이때 그는 개금편수(改金片手)의 역할을 맡았다. 화승으로서의 본격적인 활동은 1868년 흥국사 불사부터 시작된다. 이 해에 서울 백련사 괘불도 조성을 비롯해 흥국사 대웅보전 지장보살도·신중도·감로왕도 조성에 수화승으로 참여하였고 동사의 칠성도 제작도 수화승으로 주관하였다. 특히 그는 금니와 금박을 넓은 면적에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적색의 화려함을 더욱 부각했으며 각종 문양을 많이 사용하였다. 완숙기에 접어든 영환의 화풍을 보여주는 불화는 1886년과 1888년 안성 칠장사에서 조성된 불화이다. 그는 1886년 칠장사에서 대웅전과 원통전의 영산회상도 조성을 주관하였는데 원통전의 영산회상도는 불보살의 상호에 바림질을 하는 대신 눈썹과 콧수염의 선 주변에 단순한 선염을 넣는 등 채색적인 측면에서 단순화된 특징을 보인다. 1888년에는 동사에서 대웅전 칠성도와 명부전 지장보살도, 원통전 신중도 등의 불사를 주관하였다. 말년에는 구성의 단순화가 더욱 진행되었다. 1895년 경기 남양주 불암사 괘불도에서는 삼신불을 주요 도상으로 채택하면서도 화면 상부에 화려한 색채의 채운(彩雲)을 그려 화면의 다양성을 표현하기 위한 노력을 엿볼 수 있다. 그의 마지막 불사는 1898년 봉국사 시왕도이다. 이 불화에서는 선염으로 얼굴에 명암을 주는 새로운 시도를 했으나 색과 선의 사용이 경직되어 있고 굵은 선으로 간단히 경계를 나타내고 있어 도상의 생동감이 다소 줄어들었다.

참고문헌

『한국역대서화가사전』상(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조선후기 승장 인명사전: 불교회화』(안귀숙·최선일, 양사재, 2008)
「19세기 경기지역 수화승 금곡당영환·한봉당창엽 연구」(김창균, 『강좌미술사』34, 2010)
「근대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화사와 화풍」(최엽, 『불교미술』19, 2008)
「19·20세기 서울지역 불화 화승 유파 연구」(김창균, 『서울의 사찰불화』Ⅱ, 2008)
「서울 전통사찰의 불화」(김정희, 『서울의 사찰불화』Ⅰ, 2007)
「근대 수도권 불화의 전통성과 신경향」(장희정, 『동악미술사학』4, 2003)
「조선 말기 왕실발원 불화 연구」(유경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5)
집필자
유경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