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갑 ()

병자록 / 나만갑
병자록 / 나만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한 문신.
이칭
몽뢰(夢賚)
구포(鷗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92년(선조 25)
사망 연도
1642년(인조 20)
본관
안정(安定)
출생지
나주(羅州)
주요 저서
병자록(丙子錄)
주요 관직
관량사(管粮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나만갑은 조선 후기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여 관량사로 활동한 인물이다. 나만갑은 재주가 있었고 효성이 깊은 인물이었다. 청현직을 두루 거쳤으나 잘잘못을 논하기를 즐겨하여 대신(大臣)을 능멸한다는 죄를 자주 입었고, 또 편당(偏黨)을 즐긴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괄의 반란 때 힌남도원수 심기원의 종사관으로 활동하였고,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호종한 공로가 있었다.

정의
조선 후기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몽뢰(夢賚), 호는 구포(鷗浦)이다. 증조할아버지부는 나익(羅瀷), 할아버지는 나윤침(羅允忱)이다. 아버지는 증도승지(贈都承旨) 나급(羅級), 어머니는 한성참군(漢城參軍) 김호선(金好善)의 딸이다. 부인 초계정씨(草溪鄭氏)는 문숙공(文肅公) 정엽(鄭曄)의 딸이다. 아들로는 봉산군수를 지낸 나성두(羅星斗)와 나성한(羅星漢), 나성문(羅星文), 나성하(羅星河)가 있다.

주요 활동

나만갑은 1613년(광해군 5) 증광진사시(增廣進士試)에 장원(壯元)으로 입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갔다. 그러나 곧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서궁(西宮)에 유폐되는 상황이 전개되자 어머니를 모시고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하였다. 1623년(인조 1) 문과에 병과(丙科) 3위로 급제하였다. 나만갑은 입격한 직후부터 승정원의 가주서(假注書)로 활동하였고, 같은 해 9월에는 예문관(藝文館) 검열(檢閱)이 되었다.

1624년(인조 2) 1월 이괄의 반란이 일어나자, 한남도원수(漢南都元帥) 심기원(沈器遠)자벽(自辟)으로 종사관(從事官)이 되었으며, 그해 6월에는 문신 겸 선전관(文臣兼宣傳官)을 지냈다.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부교리(副校理)를 역임하였으며, 1625년(인조 3) 1월에는 사간원(司諫院) 헌납(獻納)으로서 역모의 추대 대상으로 거론된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처벌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같은 해 성균관(成均館) 전적(典籍)으로서 지제교기사관(知製敎兼記事官)을 지냈고, 홍문관 교리를 거쳐 강동현감(江東縣監)에 제수되어 외직으로 나갔다.

강동현감 제수는 나만갑이 암행어사 박정(朴炡), 응교 유백증(俞伯曾)과 함께 대사헌 남이공(南以恭)을 논박하여 체차한 일로 남이공을 추천한 김류(金瑬)에게 미움을 받은 데서 비롯된 좌천이었다. 이와 아울러 나만갑의 장인인 정엽(鄭曄)과 김류의 악연도 한몫하였다고 전해진다. 나만갑의 좌천에 대해서는 부당하다는 평가가 많았으며, 찬성(贊成) 이귀(李貴)도 김류의 잘못을 거론하였다.

인조는 나만갑이 대신(大臣)을 능멸했다는 이유로 이를 묵살하였을 뿐만 아니라, 원찬(遠竄)에 처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인조의 강경한 태도에 대해서는 좌의정 김류마저 명을 거두어달라고 요청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윤겸(吳允謙)과 이정구(李廷龜) 등의 대신들도 신원에 나섰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오히려 인조의 화를 돋우었다. 인조는 대제학 장유(張維)마저 나주목사(羅州牧使)로 좌천시키는 초강수를 두었다. 결국 인조는 중죄인을 도성 근처에 둘 수 없다면서 나만갑을 아산(牙山)에서 해주(海州)로 이배(移配)하기도 하였다.

정묘호란이 발발하자, 나만갑은 강화도로 호종하기도 하였으나 그가 편당(偏黨)한다는 인조의 노여움은 이어졌다. 이와 같은 분위기는 1629년(인조 7)까지도 계속되어 나만갑의 당여로 여겨진 박정을 남원부사(南原府使)로 보내는가 하면, 유백증 역시 가평군수(加平郡守)로 좌천시켰다. 또한 완성군(完城君) 최명길(崔鳴吉)의 만언차(萬言箚)를 올려 나만갑을 귀양보낸 것과 장유와 박정을 외직으로 보낸 잘못을 말했지만 묵묵부답하였다. 나만갑은 김류가 파직된 1631년(인조 9)에야 배소(配所)에서 완전히 방면될 수 있었다.

나만갑은 방면 이후 재기용되어 홍문관 부수찬, 사간원 헌납, 홍문관 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1633년(인조 11) 안동부사(安東府使)로 나갔다가 성혼한 자식을 데려갔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1634년(인조 12) 12월에는 이조에서 나만갑을 홍주목사(洪州牧使)로 의망(意望)하였다가 인조의 질책을 받기도 하였는데, 이는 안동부사 재임 시절 사사로이 가족을 대동한 죄의 여파였다. 1635년(인조 13) 나만갑은 형조참의(刑曹參議)로 좌의정 오윤겸 등을 탄핵하였는데, 대신을 공격하였다는 이유로 또다시 파직되었다.

1636년(인조 14) 12월, 청나라의 군대가 침입하여 인조 일행이 남한산성에 주필하게 되자 나만갑은 관량사(管粮使)로서 산성 내의 군량 및 물자를 관리하였다. 그 가운데 공조참의(工曹參議)로 기용되고 다시 병조참지(兵曹參知)로 전직되었으나 전쟁이 끝난 뒤 무고를 받고 영해(寧海)로 귀양갔다. 1639년(인조 17) 방면되어 영천(榮川)에서 은거하며 여생을 보냈다.

학문과 저술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기록한 『병자록(丙子錄)』이 유명하다.

참고문헌

원전

『구포집(鷗浦集)』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병자록(丙子錄)』
『북저집(北渚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인조실록(仁祖實錄)』
『청음집(淸陰集)』

논문

許泰玖, 「병자호란 講和 협상의 추이와 조선의 대응」(『朝鮮時代史學報』 52, 조선시대사학회, 2010)
「羅萬甲의 『丙子錄』」(『전쟁과 유물』 3, 전쟁기념관, 2011)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