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창 ()

조선시대사
제도
전국 각 지방에서 조세(租稅)의 명목으로 납부한 미곡(米穀)을 수납하여 경창(京倉)으로 운송하기 위해, 연해나 하천의 포구에 설치하여 운영하였던 국영 창고의 총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조창은 전국 각 지방에서 조세(租稅)의 명목으로 납부한 미곡(米穀)을 수납하여 경창(京倉)으로 운송하기 위해, 연해나 하천의 포구에 설치하여 운영하였던 국영 창고의 총칭이다. 고려는 전국 60개 포구에 분산되어 있던 조창의 기능을 현종 연간에 12개 조창으로 집중시키고 문종 연간에 13개 조창으로 확대하였다. 13개 가운데 7개가 충청도와 전라도에 설치되었다. 고려 말기에 왜구의 침략으로 조창을 정비하였다가 조선 건국 이후 모두 혁폐되고 새로운 조창을 설립하였다. 『경국대전』에는 9개 조창이 기록되었고, 『만기요람』에는 8개 조창이 수록되어 있다.

정의
전국 각 지방에서 조세(租稅)의 명목으로 납부한 미곡(米穀)을 수납하여 경창(京倉)으로 운송하기 위해, 연해나 하천의 포구에 설치하여 운영하였던 국영 창고의 총칭.
개설

고려 초기 이래 조운제도가 활성화되면서 세곡의 수납과 운송에 적절한 전국 주요 지점에 조창(漕倉)이 세워지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13조창이 운영되었으나, 고려 말기 왜구의 침략으로 인하여 큰 타격을 입었다. 조선 전기에는 조창의 설립과 운영에 여러 변화가 있었다. 15세기 후반에 편찬된 『경국대전』에는 전국에 9개 조창이 기록되었으나, 조선 후기인 19세기 초반에 편찬된 『만기요람』에는 8개 조창이 수록되었다.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 사이에 조창의 전체 숫자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6곳이 폐지되고 5곳이 신설되는 등 조창의 분포 위치에는 큰 변동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조창을 통한 관선(官船)의 조운 방식 대신 민간 선박에 의한 임운(賃運)의 방식이 확대되고 세곡의 납부가 면포나 동전의 납부로 대체되는 지역이 늘어나면서, 조창과 조운의 중요성이 줄어들게 되었다. 그리하여 19세기 말이 되면 조운제도의 폐지와 함께 전국의 조창 역시 그 기능이 완전히 소멸되는 운명에 처하였다.

내용

고려시대의 조창

조창은 전국 각지에서 조세의 명목으로 납부한 미곡을 수납하여 경창으로 운반하기 위해 해안이나 하천의 포구에 설치한 국영 창고를 지칭한다. 자료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고려시대 이전의 조창제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고려의 도읍인 개경(開京)은 서해안에 가까이 있고 예성강임진강 하구를 통해서 세곡(稅穀)을 수납하기 편리한 입지를 지녔던 까닭에, 고려는 국초부터 조운제도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자 하였다. 『고려사』에도 국초부터 12개 조창이 운영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국초부터 12개 조창 모두가 운영되었을 가능성은 높지 않고, 각 조창별로 설치 시기에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992년(성종 11)에는 전국 60개 포구에서 개경까지 세곡을 운송하는 수경가(輸京價)가 제정되었다. 즉 고려 초기에는 수경가가 지정된 60개 포구가 주변 지역의 조세를 수납하여 세곡을 운반하는 조창의 기능을 수행하였던 것이다. 60개 포구 중 9곳은 고려 13조창 중 9개 조창이 위치했던 포구와 동일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60개 포구에 분산되어 있던 조창의 기능이 12조창으로 집중된 시기는 현종 연간(10091031)으로 추정되며, 12조창제는 문종 연간(10461083)에 13조창제로 확대되었다. 고려시대 13개 조창의 명칭과 위치는 〈표 1〉의 내용과 같다.

조창 명칭 현위치 수세(收稅)지역
충주 덕흥창(忠州 德興倉) 충북 충주시 가금면 창동리 양광도 충주와 주변 지역
원주 흥원창(原州 興元倉) 강원 원주시 부론면 흥호리 양광도 원주와 주변 지역
아주 하양창(편섭포)[牙州 河陽倉(便涉浦)] 경기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양광도 공주, 천안 등과 주변 지역
부성 영풍창(富城 永豊倉) 충남 서산시 팔봉면 어송리 양광도 홍주(현 홍성), 서산 등과 주변 지역
영광 부용창(부용포)[靈光 芙蓉倉(芙蓉浦)] 전남 영광군 법성면 입암리 전라도 영광과 주변 지역
승주 해룡창(조양포)[昇州 海龍倉(潮陽浦)] 전남 순천시 홍내동 전라도 승주(현 순천), 보성 등과 주변 지역
사주 통양창(통조포)[泗州 通陽倉(通朝浦)] 경남 사천시 용현면 통양리・선진리 경상도 진주와 주변 지역
합포 석두창(나포)[合浦 石頭倉(螺浦)] 경남 마산시 합포구 산호동 경상도 금주(金州, 현 김해), 양주(梁州, 현 양산)등과 주변 지역
임피 진성창(조종포)[臨陂 鎭城倉(朝宗浦)] 전북 군산시 성산면 창오리・대명리 전라도 전주, 진례(현 금산)등과 주변 지역
보안 안흥창(제안포)[保安 安興倉(濟安浦)] 전북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영전리 전라도 고부와 주변 지역
나주 해릉창(통진포)[羅州 海陵倉(通津浦)] 전남 나주시 삼영동・안창동 전라도 나주와 주변 지역
영암 장흥창(조동포)[靈巖 長興倉(潮東浦)] 전남 해남군 영암읍 해창리・마산리 전라도 영암, 장흥 등과 주변 지역
장연 안란창(長淵 安瀾倉) 북한 황해남도 룡연군 남창리 한천 하구 서해도 풍주(현 북한 과일군), 옹진 등과 주변 지역
〈표 1〉 고려시대 13조창과 현 위치

정종(靖宗) 연간(10341046)에는 12조창에 배정할 조운선의 수를 정하였는데, 석두창(石頭倉) · 통양창(通陽倉) · 하양창(河陽倉) · 영풍창(永豐倉) · 진성창(鎭城倉) · 부용창(芙蓉倉) · 장흥창(長興倉) · 해룡창(海龍倉) · 해릉창(海陵倉) · 안흥창(安興倉) 등 서해 연안 항로를 거쳐 세곡을 운송하는 조창에는 1000석의 곡식을 실을 수 있는 초마선(哨馬船) 6척씩을 두었고, 한강 수계에 위치한 조창인 덕흥창(德興倉)흥원창(興元倉)에는 각각 200석의 곡식을 실을 수 있는 평저선(平底船) 20척과 21척을 배정하였다. 조창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조창을 드나드는 세곡의 보관 및 운송과 관련된 실무를 담당했을 것이며, 각 조창에는 판관(判官)이 임명되어 세곡의 수납과 운송을 관리, 감독하였다. 인종 때(11221146) 개정된 외관(外官)의 녹봉 규정에 따르면, 13조창의 판관에게는 20석의 녹봉이 지급되었다.

고려시대 조창 분포의 특징은 전체 13개 조창 중 남해안 일대에 3곳이 설치되어 장거리 조운을 시행하였다는 점, 개경 북쪽에 단 1곳의 조창만이 설치되어 개경 이북 지역의 조창 운영이 활성화되지 못했다는 점, 13개 조창 중 7개 조창이 위치한 양광도(충청도)전라도의 조창 설치 비율이 높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조창의 설치와 운영에 있어서 계수관(界首官)이나 주현(主縣) 등 대읍(大邑)의 관할 영역이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또한 고려 13조창 중 연해 지역에 위치한 조창은 대체로 만(灣)의 깊숙한 안쪽 포구에 위치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측면에는 지천(支川)이 흐르고 배후에는 야트막한 구릉이 놓여 있는 입지적 특성을 보였다. 구릉에는 조창 보호를 위한 방어용 성곽이 축조되기도 하였다.

13세기 후반 진도제주도에 거점을 둔 삼별초의 항쟁은 고려의 조창제도 운영에 일시적인 위협이 되었다. 그러나 고려 말기에 이르면 수십 년간 지속된 왜구의 침략으로 인하여 남해와 서해의 연안 지역이 큰 피해를 입게 되면서, 육운(陸運)을 실시하는 등 조운제도가 사실상 붕괴하는 상황에 처하였다. 연해 지역 조창들 역시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왜구의 침략으로부터 어느 정도 안정을 찾은 여말선초의 시기에 조창제도가 다시 정비되었다. 연해 지역에는 왜구의 침략에 방비하기 위하여, 조창 혹은 조창의 배후에 구릉지를 거점으로 한 방어 성곽을 함께 쌓았는데, 기존의 조창이 재건되기도 하고 새로운 조창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충청도의 신창(新昌) 당성(溏城), 전라도의 용안 득성창(得成倉, 龍安城이라고도 함)과 나주 영산창(榮山倉), 순천 해룡창, 그리고 경상도의 사천 통양창, 창원 마산창(馬山倉), 김해 불암창(佛巖倉) 등이 이에 해당하며, 학계에서는 여말 선초 조창 지역에 축조된 성곽을 조전성(漕轉城)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선시대의 조창

그러나 득성창과 영산창을 제외한 나머지 조창들은 조선왕조 개창 전후 모두 혁폐의 운명을 맞게 되며, 조선왕조에서는 조운제도의 정비와 함께 새로운 조창들을 설립하게 된다. 전라도 용안의 득성창은 1428년(세종 10) 함열로 이전하여 덕성창(德成倉)이 된다. 남한강 수계에서는 고려시대 이래 존재하던 충주 덕흥창 옆에 경원창(慶源倉 혹은 慶原倉)이 1403년(태종 3)에 신설되었다. 같은 해 경상도 남해안의 조창들이 폐지되면서 경상도 지역의 세곡을 수납하기 위하여 경원창이 설치된 것이다. 원주 흥원창(興元倉 혹은 興原倉)은 고려시대 이래 계속 명맥을 유지하였다. 또한 남한강 수계에서는 충주 앙암(仰巖), 여흥 우음안포(亐音安浦)추호포(推乎浦), 천녕 이포(利浦) 등 소규모 조창들이 운영되었다. 한편 아산만 근방에서는 아산 공세곶(貢稅串)과 면천 범근천(犯斤川)이 주요 조창으로 신설되었고, 옛 하양창이 있던 경양포(慶陽浦)도 소규모 조창으로서 존속하였다. 그리고 한양 천도로 인해 황해도 지역에서의 조운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배천의 금곡포(金谷浦)와 강음의 조읍포(助邑浦)에도 조창이 신설되었다.

한강 수계와 예성강 수계에 위치한 조창들은 수참(水站)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수참의 업무를 관장하는 관리로는 좌도수참전운판관(左道水站轉運判官)과 우도수참전운판관이 임명되었다. 좌도는 한강 수계의 수참, 우도는 예성강 수계의 수참을 관장하였다. 연해 포구에 위치한 조창에는 조전경차관(漕轉敬差官)이라 불리는 임시 외관이 파견되었다. 15세기 전반의 조창 운영 상황은 『세종실록』 지리지를 통하여 어느 정도 면모를 파악할 수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수록된 조창은 〈표 2〉의 내용과 같다.

조창 명칭 현위치 주요 수세(收稅)지역
충청도 충주 연천(덕흥창 · 경원창)[淵遷(德興倉 · 慶源倉)]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창동리 충청도 충주와 주변 지역, 경상도 지역
충청도 충주 앙암(仰巖) 충북 충주시 앙성면 단암리 · 강정리 충청도 충주와 주변 지역
경기도 여흥 우음안포[驪興 亐音安浦(禹萬浦)] 경기 여주시 우만동 충청도 옥천, 영동 등 남부 내륙 지역
경기도 여흥 추호포(驪興 推乎浦) 경기 여주시 창동 · 하동 충청도 청안, 음죽
경기도 천녕 이포(이포진)[川寧 利浦(梨浦津)] 경기 여주시 금사면 이포리 충청도 죽산, 진천
충청도 직산 경양포(하양창)[稷山 慶陽浦 (河陽倉)] 경기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충청도 직산, 평택
충청도 아산 공세곶(공세곶창)[牙山 貢稅串 (貢稅串倉)]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충청도 청주, 공주, 천안 등과 주변 지역
충청도 면천 범근천{범근내포)[沔川 犯斤川 (犯斤乃浦)] 충남 당진시 우강면 창리 · 강문리 충청도 홍주, 서산 등과 주변 지역
전라도 나주 영산창(羅州 榮山倉) 전남 나주시 삼영동 전라도 나주, 순천 등과 주변 지역
전라도 함열 덕성창(咸悅 德成倉) 전북 익산시 웅포면 고창리 전라도 전주, 남원, 고부 등과 주변 지역
강원도 원주 흥원창(原州 興原倉) 강원 원주시 부론면 흥호리 강원도 원주와 주변 지역 추정
황해도 배천 금곡포(금곡포창)[白川 金谷浦 (金谷浦倉)] 북한 황해남도 배천군 금곡리 황해도 해주, 풍천 등과 주변 지역
황해도 강음 조읍포(조읍포창)[江陰 助邑浦 (助邑浦倉)] 북한 황해남도 봉천군 연홍리 황해도 황주, 평산 등과 주변 지역
〈표 2〉 『세종실록』 지리지에 수록된 조창과 수조처(收租處)

조창이 두어질 최적의 입지를 선택하기 위한 시도는 조창의 혁파와 신설, 이동 등의 방식으로 16세기 전반까지 계속되었다. 충주의 덕흥창과 경원창은 1465년(세조 11)에 혁폐되고 같은 해 인접한 곳에 신설된 가흥창(可興倉)이 그 기능을 넘겨 받았다. 15세기 중반과 후반에는 충주의 앙암, 여흥의 우음안포와 추호포, 천녕의 이포, 직산의 경양포 등 소규모 수조처의 조창 기능이 폐지되었다. 그리고 북한강 수계에 춘천 소양강창(昭陽江倉)이 신설되고, 고려시대에 부용창이 위치하던 전라도 영광에도 법성포창(法聖浦倉)이 신설되었다. 16세기 후반에 편찬된 『경국대전』에는 전국에 9개 조창이 운영되고 있음이 기록되었다. 『경국대전』에 수록된 9개 조창과 각 조창의 수세(收稅) 구역 등은 〈표 3〉의 내용과 같다.

조창 명칭 현위치 주요 수세(收稅)지역
충청도 충주 가흥창(可興倉)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 충청도 충주와 주변 지역, 경상도 지역
충청도 아산 공세곶창(貢稅串倉)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충청도 청주, 공주, 천안, 홍주 등과 주변 지역
전라도 함열 덕성창(德成倉) 전북 익산시 웅포면 고창리 전라도 전주, 남원 등과 주변 지역
전라도 영광 법성포창(法聖浦倉) 전남 영광군 법성면 법성리 전라도 영광, 고부, 담양 등과 주변 지역
전라도 나주 영산창(榮山倉) 전남 나주시 삼영동 전라도 나주, 광주, 순천, 영암 등과 주변 지역
강원도 원주 흥원창(興原倉) 강원 원주시 부론면 흥호리 강원도 원주와 주변 지역
강원도 춘천 소양강창(昭陽江倉) 강원 춘천시 우두동 강원도 춘천과 주변 지역
황해도 배천 금곡포창(金谷浦倉) 북한 황해남도 배천군 금곡리 황해도 해주, 풍천 등과 주변 지역
황해도 강음 조읍포창(助邑浦倉) 북한 황해남도 봉천군 연홍리 황해도 황주, 평산 등과 주변 지역
〈표 3〉 『경국대전』에 수록된 조창

전라도의 영산창과 법성포창, 덕성창에는 각각 53척, 39척, 63척의 조운선이 배치되었고, 경기좌도에는 51척, 경기우도에는 20척이 배치되었다. 경기좌도에는 가흥창과 흥원창, 경기우도에는 금곡포창과 조읍포창이 소속되었다. 공세곶창에 배치된 조운선의 숫자는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15세기 후반 이후 『경국대전』에 수록된 조창 중 일부도 변동이 발생하였다. 함열의 덕성창은 1487년(성종 18) 다시 용안으로 이동하여 득성창으로 개명하였다. 그러나 득성창 역시 1512년(중종 7) 폐쇄되고 옥구 군산포에 새로 지어진 군산창(群山倉)이 그 역할을 대신하였다. 한편 나주 영산창은 1512년(중종 7) 폐지되고 영광 법성포창이 그 기능을 흡수하였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한성과 지방의 선박을 관장하는 관청인 전함사(典艦司)수운판관(水運判官) 2명과 해운판관(海運判官) 1명이 소속되었다. 수운판관은 과거 수참전운판관의 후신으로 경기좌도와 경기우도에 각 1명씩 임명되었다. 해운판관은 충청도와 전라도의 조창 업무를 관장하였다. 수운판관은 종5품의 무록관(無祿官)이었으며, 해운판관 역시 수운판관과 동일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 조창의 지리적 입지는 동일 지역에 위치했던 고려시대 조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해(外海)와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토사의 축적으로 인한 포구 지형의 변화 역시 조창 입지 변화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고려시대에 비해 수참이라고 불렀던 강변 조창의 비중이 늘어났다는 특징이 있었으나, 충주 가흥창을 제외한 강변 조창은 18세기 초반까지 모두 폐쇄의 운명을 맞았다.

조창의 창고 시설은 건물의 형태를 갖추기보다는 노적창(露積倉)의 형태를 갖춘 것으로 보인다. 노적창의 경우, 흙으로 축대를 쌓아 올린 다음 풀을 엮어 만든 이엉을 깔고 곡물을 쌓은 뒤 다시 풀을 덮는 방식으로 비바람의 피해를 막고 통풍이 원활히 유지되도록 보관했을 것이다. 그러나 노적창은 비바람이나 절도로 인한 손실의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그러한 피해를 방지하고자 충주 가흥창의 경우, 1521년(중종 16)에야 70여 칸의 창고 건물을 지었다고 한다. 하지만 다른 조창에서는 별도의 창고 건물을 지었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런데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1872년 지방지도」의 함열현 지도를 보면 조창의 창고 시설이 별도의 건물로 만들어졌음을 추론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전라도 함열에는 성당창(聖堂倉)이라는 조창이 설치되었다. 함열현 지도에는 성당창에 3채의 창고와 1채의 사창(社倉)이 표시되어 있다. 창고와 사창은 모두 세곡을 보관하던 건물이다. 그 외 성당창에 성당봉세청(聖堂捧稅廳)과 순풍당(順風堂), 사공청(沙工廳) 등 3채의 건물이 추가로 확인된다. 성당창의 집무소에 해당하는 성당봉세청은 세곡을 수납하고 적재하는 사무를 총괄하는 곳이었다. 순풍당은 조운선의 항해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녕을 기원하는 당집이었으며, 사공청은 조운선을 운항하는 선원들의 항해 준비 장소에 해당할 것이다. 다른 조창에서도 이와 같은 시설들이 갖추어져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성당창에는 창마당, 줄바탕 등의 지명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창마당은 창고에서 선박으로 세곡을 옮길 때에 임시로 세곡을 놓아두던 곳이었으며, 줄바탕은 선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밧줄을 꼬던 장소였다고 한다. 그 외 선박의 입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포구 시설이 마련되어 있었을 것이다.

변천과 현황

조선 후기에는 조창을 통한 관선의 조운의 방식 대신 민간 선박에 의한 임운의 방식이 확대되었다. 또한 세곡의 납부가 면포나 동전의 납부로 대체되는 지역이 늘어나면서 조창과 조운의 중요성이 줄어들게 되었다. 그리하여 17세기에 이르면 원주 흥원창과 춘천 소양강창, 강음 조읍포창 등은 이미 조창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고, 배천 금곡포창 역시 1713년(숙종 39)에 조창의 기능이 중단되었다. 반면 조선 후기에 신설되는 조창도 있었다. 1512년 폐지된 용안 득성창 바로 인근에 함열 성당창이 신설되어 옥구 군산창의 역할을 분담하였다. 성당창의 설치 시기는 17세기 중으로 여겨진다. 또한 18세기에는 1403년을 끝으로 조창이 폐쇄되었던 경상도 남해안 지역에 3개의 조창이 다시 운영되었다. 1760년(영조 36)에는 창원 마산창과 진주 가산창이, 1765년(영조 41)에는 밀양 삼랑창이 신설되었다. 마산창은 좌조창(左漕倉), 가산창은 우조창(右漕倉), 삼랑창은 후조창(後漕倉)이라고도 칭하였다. 경상도 3조창은 경상도 남부 지역의 세곡을 수납하여 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에 19세기 초반에 편찬된 『만기요람』에 실린 전국 조창의 목록은 〈표 4〉의 내용과 같다.

조창 혹은 수참(水站) 현위치 수세(收稅)지역
충청도 충주 가흥창(忠州 可興倉)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 충청도 충주 등 6개 고을
충청도 아산 공진창(공세곶창)[牙山 貢津倉(貢稅串倉)]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충청도 청주, 천안 등 7개 고을
전라도 옥구 군산창(沃溝 群山倉) 전북 군산시 장미동 · 영화동 전라도 군산, 옥구 등 7개 고을
전라도 함열 성당창(咸悅 聖堂倉) 전북 익산시 성당면 성당리 전라도 익산, 남원 등 8개 고을
전라도 영광 법성포창(靈光 法聖浦倉) 전남 영광군 법성면 법성리 전라도 영광, 광주 등 12개 고을
경상도 창원 마산창(昌原 馬山倉)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성동 경상도 창원 등 8개 고을
경상도 진주 가산창(晉州 駕山倉) 경남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 경상도 진주 등 8개 고을
경상도 밀양 삼랑창(密陽 三浪倉)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 경상도 밀양, 김해 등 6개 고을
〈표 4〉 『만기요람』에 실린 전국의 조창

『만기요람』에 따르면, 19세기 초반에 운영되었던 조창은 모두 8곳이다. 그러나 1개 조창 당 수세 구역이 대부분 6~8개 고을에 지나지 않아, 조창의 기능이 과거보다 크게 쇠퇴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조창 업무를 관장하던 수운판관이나 해운판관의 직임이 전임직으로 임명되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인근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의 겸임직으로 변경되었다. 조창의 비중이 약화됨에 따라 조운선의 숫자도 감소하게 되었다. 조창에 소속된 조운선은 목재 운반선 등 다른 용도의 선박으로 변경되었다. 19세기 이후 조세의 금납화가 일반화되면서 세곡 운송의 필요성은 더욱 감소하였다. 아산 공진창(貢津倉, 공세곶창)은 19세기 중반에 이미 혁폐되었다. 19세기 말이 되면 조운제도의 폐지와 함께 전국의 남은 조창 역시 그 기능이 완전히 소멸되어 사라지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연해와 하천의 주요 포구에 설치되었던 조창은 고려~조선시대 지방에서 납부하는 세곡을 거두어 중앙의 경창으로 운송하는 기능을 담당한 세곡 집산 시설이라 말할 수 있다. 조창을 거쳐 세곡을 운송하는 방식은 각 지역 단위에서 세곡을 직접 중앙으로 운송하는 방식보다, 수납과 운송 단계부터 중앙 권력이 국가의 재정 수입원인 세곡을 확실히 장악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곡의 중간 유실을 막고 세곡 운송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려와 조선의 중앙 정부가 조창제도를 시행한 것은 조세 수취에 있어서 강력한 중앙 통제력을 행사하였음을 보여주는 주요한 징표가 된다. 그러나 여러 지역의 세곡을 소수의 조창에 집중시켜 수납, 운송하는 방식은 외적의 침략이나 재난 등으로 인한 엄청난 재원 손실의 가능성을 항상적으로 갖고 있었으며, 각 지역 단위에서 개별적으로 세곡을 경창에 운송하는 방법보다 더 많은 행정력을 소모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다량의 미곡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대형 선박의 건조 능력이 확산됨에 따라, 조창을 거치는 세곡 납부보다 각 지역에서 세곡을 직접 납부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방안으로 인식되었다. 결정적으로 조선 후기에는 세곡의 납부 대신 면포나 동전 등으로 조세를 납부하는 지역이 늘어나면서, 조창의 존재 필요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런 까닭에 몇몇 조창은 해당 지역의 일반 창고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고, 남은 조창 또한 수세 구역의 범위가 매우 줄어들었다. 결국 19세기 말에 이르러 조운제도가 소멸하면서 조창 역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경국대전(經國大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전회통(大典會通)』
『만기요람(萬機要覽)』
『고려시대 조운제도 연구』(문경호, 혜안, 2014)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한정훈, 혜안, 2013)
『한국사: 조선 후기의 경제』 33(국사편찬위원회 편, 탐구당, 1997)
『한국사: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24(국사편찬위원회 편, 탐구당, 1994)
『한국사: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14(국사편찬위원회 편, 탐구당, 1993)
『조선후기 선운업사(船運業史) 연구』(최완기, 일조각, 1989)
「15·16세기 조창제의 재정립과 그 이해방향」(한정훈, 『역사와 경계』 94, 경남사학회, 2015)
「여말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문경호, 『지방사와 지방문화』 17-1, 역사문화학회, 2014)
「고려~조선전기 조창(漕倉)의 분포와 입지」(정요근, 『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조행일록으로 본 19세기 조운의 운영실태」(안길정, 『사림』 29, 성균관대 수선사학회, 2008)
「李朝末期の漕倉構造と漕運作業の一例-『漕行日錄』にみる1875年の聖堂倉-」(吉田光男, 『朝鮮學報』 113 , 1984)
집필자
정요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