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남 ()

유교
인물
조선 중기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안동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정제장으로 활동한 학자 · 의병.
이칭
가중(嘉仲)
송계(松溪)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6년(명종 11)
사망 연도
1627년(인조 5)
본관
진보(眞寶: 지금의 경상북도 청송)
출생지
안동
정의
조선 중기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안동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정제장으로 활동한 학자 · 의병.
개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가중(嘉仲), 호는 송계(松溪). 안동(安東) 이계(伊溪) 동촌(東村)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훈도(訓導) 이제(李濟)이며,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 참봉 남욱(南頊)의 딸이다. 이황(李滉)·권대기(權大器)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8년(선조 21) 진사·생원 양시(兩試)에 합격하였으나 더 과시에 나아가지 않고 구로동(九老洞)에 집을 지어 대취헌(對翠軒)이란 현판을 걸고 실천(實踐) 공부에 힘썼다. 1592년 왜란이 일어나자 순국의 뜻을 품고 임하현(臨河縣)에서 의병을 모집하였다.

직접 정제장(整齊將)이 되어 김득연(金得硏)과 의창(義倉)에 양식을 가득하게 모아 놓고 의병(義兵)과 관군(官軍)에게 제공하였다. 이 소문이 부근에 알려지자 도망간 병사들이 모여 들고 인심이 안정되어 왜적들이 감히 안동(安東)으로 침입하지 못하였다.

유성룡(柳成龍)은 이 때 안동이 무사한 것은 이형남이 이끈 향병(鄕兵)의 힘이었다고 하였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나라 경리(經理) 양호(楊鎬), 도사(都司) 설호신(薛虎臣)이 안동에 잠시 주둔한 적이 있었는데, 그 종사(從事) 장무덕(張懋德)·진천총(陣天寵)·주공유(朱孔儒) 등이 군량미 조달을 위하여 이형남의 향병(鄕兵)과 의창(義倉)을 방문하여 보고서 감탄하기도 했다. 1600년 경릉참봉(敬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저서로는 『송계문집(松溪文集)』 2권이 있다.

참고문헌

『도산급문제현록(陶山及門諸賢錄)』
『송계문집(松溪文集)』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집필자
권호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