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두유집 ()

일두선생속집
일두선생속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정여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정여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정구(鄭逑)가 실기 1권을 편집하였고, 장현광(張顯光)이 간행하였다. 그 뒤 이재(李縡)가 수정하여 중간하였고, 1919년 남계서원(藍溪書院)에서 유집 3권, 속집 4권으로 간행되었다. 유집 권말에 장현광·이재의 발문이 있고, 속집 권말에 전우(田愚)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2책. 정유자복각본.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경북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서울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유집 권1에 시 1수, 소(疏) 1편, 제문 1편, 권2·3에 부록으로 사실대략(事實大略)·사화수말(史禍首末)·포증사전(褒贈祀典)·교서(敎書)·반교문(頒敎文)·문묘봉안시고유문(文廟奉安時告由文)·도남서원봉안문(道南書院奉安文)·남계서원춘추향축문(藍溪書院春秋享祝文)·용문서원춘추향축문(龍門書院春秋享祝文)·이연서원춘추향축문(伊淵書院春秋享祝文)·제묘문(祭墓文)·천학행소(薦學行疏) 각 1편, 행장 3편, 신도비명·향사당기(鄕祠堂記)·찬술(讚述) 각 1편, 시장(詩章) 12수가 있다.

속집 권1에 시 7수, 서(書) 5편, 잡저 3편, 행장 2편, 권2∼4에 부록으로 서원사액제문(書院賜額祭文) 3편, 어제화성성묘서무위고유문(御製華城聖廟西廡位告由文)·사제문·향사당봉안시제문(鄕祠堂奉安時祭文)·서원봉안문·서원춘추향축문·남계서원묘정비(藍溪書院廟庭碑)·천검소(薦檢疏) 각 1편, 종사문묘소(從祀文廟疏) 3편, 종산서원청액소(鐘山書院請額疏)·남계서원청액계·도산서원청액소(道山書院請額疏) 각 1편, 서(書) 2편, 남계서원기(藍溪書院記)·광풍루기(光風樓記) 각 1편, 풍영루기(風詠樓記) 2편, 악양정중건기(岳陽亭重建記) 1편, 서원상량문 2편, 유선록서(儒先錄序)·계첩서(契帖序)·화개도발(花開圖跋)·찬술 각 1편, 시장 5수, 세계원류(世系源流)·사우문인록(師友門人錄)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두견(杜鵑)」은 충신·지사로서의 일편단심을 다짐하는 시이다. 서(書)의 「답혹인(答或人)」은 성현의 자질 등을 인용하여 이기설(理氣說)을 설명한 내용이다.

잡저에는 「이기설」· 「선악천리론(善惡天理論)」이 있다. 학자는 성인을 배우며 지자(志者)는 그 배움을 이룬다고 한 「입지론(立志論)」이 있다. 「용학주소(庸學註疏)」·「주객문답(主客問答)」·「진수잡저(進修雜著)」 등은 모두 산일되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호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