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봉동리 배씨고가 ( )

목차
관련 정보
경남 고성 봉동리 배씨 고가 전경
경남 고성 봉동리 배씨 고가 전경
주생활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 · 아래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 · 아래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내용

1994년 경상남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호. 현재 이 집에 살고 있는 배찬열의 말에 의하면 안채는 4대째 살고 있다고 하며, 아래채는 배찬열의 조부때 건립하였다고 하지만 건물의 형태, 재목 등을 볼 때 안채는 120여년전의 건물이고 아래채는 70∼80년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정면 2칸 측면 1칸의 전후 양퇴집이다. 지붕은 초가지붕이고 측면 및 뒷면의 벽체는 막돌을 쌓고 진흙으로 사춤하여 막돌로 쌓은 담장과 흡사하다. 아래채는 정면 2칸 측면 1칸의 전면 퇴간집으로 지붕은 초가지붕을 하였고, 한 복판에 있는 칸만 온돌방으로 하였다.

전면 퇴칸은 툇마루, 양협칸은 헛간이고 온돌방 전면폭의 반은 툇마루, 반은 아궁이를 두었다. 배치형태는 안채를 중심으로 ㄷ자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안채는 민가에서 가장 원시적이며 규모가 작은 1칸짜리 초가집이다.

부엌은 안방 좌측에 놓이고 후퇴칸을 두어 온돌로 된 부엌방을 두었다. 정면 2칸집이 공간 분화되어 겹집형식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민가의 형태에서 가장 원시적이며 규모가 작은 평면을 지닌 건물로서 보존상태가 양호하므로 민속자료로 지정하였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동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