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록 ()

남성록
남성록
조선시대사
문헌
1636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의 항전을 기록한 일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636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의 항전을 기록한 일기.
서지적 사항

1책. 필사본. 부록으로 같은 시기 강화도에서의 패전 사실을 기록한 ≪강도록 江島錄≫ 및 <제강도록후 題江島錄後>, 1728년(영조 4) 무신란(戊申亂 : 이인좌의 난) 때의 기록인 ≪무신일기 戊申日記≫ 2종이 합철되어 있다.

5편의 글 모두 작자를 알 수 없다. 편자(필사자)는 ≪무신일기≫ 저자들의 종손으로 나타나 있으나 성명은 알 수 없다. 무신란 뒤 40∼50년이 경과한 18세기 말경에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

≪남성록≫은 1636년(인조 14) 12월 의주부윤 임경업(林慶業)의 적군 침공 보고로부터 다음 해 1월 강화 성립과 세자의 심양행(瀋陽行)에 이르기까지 병자호란 전말을 기록하였다. 내용은 남한산성 내에서의 항전과 강화 논의의 진행 과정 및 척화·주화파 인물들의 동향을 대부분 서술하고 있다.

체재는 일기체로 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의 일기는 아니고 난이 끝난 뒤에 종합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의 다른 기록들과 대동소이해 사료적 가치는 크지 않다.

≪강도록≫은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의 대피 상황과 함락된 뒤의 비극적인 사실들을 기록한 자료이다. 1637∼1640년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대부분이 ≪연려실기술≫ 등에 전재되었다.

윤방(尹昉)·김경징(金慶懲)·장신(張紳)·이민구(李敏求) 등 패전 책임자들의 부패·무능과 김상용(金尙容)·이상길(李尙吉)·이시직(李時稷) 등 순절자들의 행적을 기록하였다. 말미에 첨부한 <제강도록후>는 ≪강도록≫의 인물 포폄(褒貶)의 미흡함을 지적한 것이다.

즉, 김류(金瑬)·김경징·김진표(金震標) 일가족 및 윤방·장신 등의 죄를 맹렬히 성토하고, 이들에 대한 조정의 처벌이 공정하지 못했음을 비판하였다.

≪무신일기≫ 2종은 이인좌의 난 당시 청주와 괴산에 떨어져 살았던 두 형제의 일기이다. 전편은 청주에 살던 형이 현지에서 난의 진행 과정에 대한 견문을 일기체로 서술한 것이다.

후편은 괴산에 살던 아우가 군수가 도망한 뒤 선비들에게 통문을 돌려 의병을 조직, 성을 지킨 활약상을 기록하였다. 후편의 저자는 그 공로로 벼슬을 얻어 첨사·군수를 지내고 지사(知事 : 知中樞府事의 약칭)에 이르렀다.

의의와 평가

무신란 당시 청주 지역 민심의 동향과 유림의 의병 활동을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이다. ≪남성록≫ 자체보다 부록으로 첨부한 ≪강도록≫과 ≪무신일기≫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
『영조실록』
『연려실기술』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