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방 ()

윤방 글씨
윤방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형조판서, 우참판,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가회(可晦)
치천(稚川)
시호
문익(文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3년(명종 18)
사망 연도
1640년(인조 18)
본관
해평(海平)
주요 관직
승문원정자|병조정랑|홍문관수찬|철원부사|형조판서|우참판|영의정
관련 사건
임진왜란|정유재란|이괄의 난
내용 요약

윤방은 조선시대 형조판서, 우참판,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563년(명종 18)에 태어나 1640년(인조 18)에 사망했다. 1582년 진사시에 입격하고 문과에 급제하였다. 아버지 윤두수가 유배되자 사직하였다가 다시 기용되어 임진왜란 때에 선조를 호종하였다. 광해군이 즉위하고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인목대비 폐모론이 제기되자 사직하였는데 인조반정 이후 예조판서와 우의정에 임명되었다. 정묘호란 때에 인조의 피난을 주장해 강화에 호종했고 병자호란 때에는 종묘의 신주를 모시고 봉림대군과 함께 강화로 피난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에, 형조판서, 우참판,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가회(可晦), 호는 치천(稚川). 사용(司勇) 윤희림(尹希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국자감정 윤변(尹忭)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윤두수(尹斗壽)이며, 어머니는 관찰사 황기(黃琦)의 손녀로 참봉 황대용(黃大用)의 딸이다. 이이(李珥)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2년(선조 15) 진사가 되고, 158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에 임명되고, 이어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을 거쳐 봉교·예조좌랑이 되었다.

곧 사헌부정언으로 옮겨 병조판서 이양원(李陽元)의 인사 부정을 탄핵하다가 성균관전적으로 체직되었다. 1591년 당쟁으로 아버지가 유배당하자 병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 아버지가 재상으로 다시 기용되자, 예조정랑으로 발탁되어 선조를 호종하였다.

이어 병조정랑을 거쳐 특명으로 곧 기복(起復)해 홍문관수찬 등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냈다. 그 뒤 이조좌랑을 거쳐 홍문관응교에 올랐으며, 당시 왜적의 만행이 극심한 중에도 몰래 숨어서 어머니 빈소에 다녀오는 효성을 보였다.

곧 직강·사예가 되고, 다시 당론이 일어나 아버지가 파직당하자 스스로 파직을 요청해 대각(臺閣)에서 물러났다가 곧 군기시첨정에 제수되었다. 이어 경상도순안어사(慶尙道巡按御史)로 나가 치적을 올리고, 군기감정(軍器監正)·평산부사를 거쳐 이몽학(李夢鶴)의 난이 끝나자 추관(推官)으로 활약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순안독찰(巡按督察)이 되어 군량 운반을 담당하고, 곧 철원부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동부승지로 승진되어 돌아오자 그 곳 백성들이 송덕비를 세워 덕을 기렸다.

1601년 부친상을 마친 뒤 동지사(冬至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곧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병조참판 겸 동지춘추관사에 보임되었다가 도승지로 전직되었고, 다시 한성판윤 겸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올랐다.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형조판서가 되고, 이듬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경기도·경상도의 감사를 지냈다.

이어 겸지춘추관사로 『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1615년(광해군 7) 다시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18년 인목대비(仁穆大妃)에 대해 폐모론이 있자 병을 핑계로 정청(政廳)에 불참해 탄핵을 받고 사직, 은퇴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예조판서로 등용되고, 이어 우참판으로 판의금부사를 겸하다가 곧 우의정에 올랐다.

다시 좌의정으로 있을 때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 민심 수습에 공헌했으며, 1627년(인조 5) 영의정이 되었다. 그 해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인조의 피난을 주장해 강화에 호종했고, 영의정에서 물러나 판중추부사를 역임한 후 1631년 다시 영의정이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묘사제조(廟社提調)로서 40여 신주(神主)를 모시고 빈궁(嬪宮)·봉림대군(鳳林大君)과 함께 강화로 피난하였다.

그러나 신주 봉안에 잘못이 있었다는 탄핵을 받고 1639년 연안에 유배되었다가, 2개월 후 풀려나 다시 영중추부사에 기용되었다. 인품이 중후하고 문장에 능했으며 효성이 지극하였다. 저서로는 『치천집』이 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사마방목(司馬榜目)』
『택당집(澤堂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문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