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 ()

홍서대
홍서대
의생활
물품
조선시대에, 코뿔소나 물소의 서각 띠돈을 사용하여 만든 1품용 대(帶).
물품
재질
물소뿔|가죽|금속|비단
용도
관복|제복|조복|흑단령|시복|상복
소장처
국립춘천박물관
제작 시기
19세기
관련 의례
종묘제례|사직제례|대소조회
내용 요약

서대는 코뿔소나 물소의 서각 띠돈을 사용하여 만든 조선시대 1품용 대(帶)이다. 공복을 제외한 관복에 사용하였다. 본래 서대는 명나라 2품이 사용하는 띠이므로 조선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띠였으나, 1485년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국속(國俗)의 1품용 서대를 국가의 제도로 수용하여 조선시대 말기까지 사용하였다. 바탕 띠인 정(鞓)에 삼태 3개, 남두육성 6개, 좌보·우필 각 1개, 타미 2개, 뒤쪽의 북두칠성 7개 등 20개를 사용하였다. 특히 중국 복주(福州)에서 생산되는 통천서(通天犀)를 좋은 서각으로 여겼다.

정의
조선시대에, 코뿔소나 물소의 서각 띠돈을 사용하여 만든 1품용 대(帶).
연원

서대(犀帶)는 서각 띠돈을 사용하여 만든 조선시대 1품용 대(帶)이다. 제복(祭服)조복(朝服), 주1에 사용하였다. 공복(公服)을 제외한 여러 관복에 사용하던 허리띠로, 왕의 주2 조옥대(雕玉帶), 왕세자의 주3 독옥대(禿玉帶), 왕세손의 수정대(水晶帶) 다음으로 귀한 품대이다.

조선 개국 이후 1416년(태종 16) 3월에 제복용 품대를 논의하였는데 『홍무예제(1381)』조복제복 품대 제도에 이등체강원칙을 적용하여 금(金, 1-2품), 은(銀, 3-4품), 동(銅, 5-9품)으로 정하였다. 이 때 논의된 품대 제도는 『세종실록(世宗實錄)』 「오례의(五禮儀)」와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1474)』와 같은 전례서에 명시되었다.

그러나 1485년에 완성된 『경국대전(經國大典)』에는 1393년 조복과 제복, 상복에 동일한 품대 제도를 적용한 명나라 제도에 이등체강원칙을 적용하되, 현실성을 고려하여 이등체강원칙에 따르면 사용할 수 없는 주4의 1품용 서대를 국가의 제도로 수용하였다. 서대는 명나라의 2품이 사용하는 품대이므로 조선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것이기 때문이다. 세조 때 이미 왕의 특명으로 왕자 · 왕손 · 종실에게 서대를 띠게 하고 중국 사신이 와도 주5로 바꾸지 말도록 하였다. 1865년(고종 2)에 간행된 『대전회통(大典會通)』에까지 서대의 착용은 수정되지 않고 그대로 이어졌다.

형태와 제작 방식

서대의 구조는 다른 품대의 구조와 같다. 파손된 북[破鼓]의 가죽을 재활용한 띠 바탕인 정(鞓)에 청색 비단이나 가죽을 바르고 그 위에 띠돈 20개를 장착한다. 띠 바탕 정의 양식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다섯 조각을 사용하여 만든 분리형 띠와 세 조각을 사용하여 만든 일체형 띠로 구분된다. 허리 둘레에 맞추어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띠 구조에서 조절이 불가능한 일체형 띠 구조로 변화하였다. 분리형 띠에는 좌우 안쪽으로 허리 둘레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주6이 있다.

품대에 사용하는 20개의 띠돈은 앞의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 부분에 세 개의 띠돈을 사용하는데, 이를 삼태(三台)라고 한다. 그 안쪽에는 날름쇠라고 하는 부분이 있어 실제적으로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는 복숭아형의 주7을 좌우에 각각 3개씩 달고 그 뒤로 가늘고 좁은 직사각형의 주9주8을 각각 단다. 그 다음에 꽃 모양의 작은 금속 장식을 좌우에 상하로 한 쌍 달고 타미[撻尾]로 앞쪽 띠를 마감한다. 주우 보필과 타미 안쪽에는 뒤쪽 띠를 묶어 고정할 수 있는 금속 속아(束兒)가 있다. 앞쪽 띠의 안쪽으로 속아에 끼워져 연결되는 뒷쪽 띠의 바깥쪽 뒷면에는 북두칠성(北斗七星)이라고 하는 7개의 직사각형 띠돈을 뒤쪽 허리 중앙을 중심으로 연이어 단다. 북두칠성을 고정한 철사가 안쪽으로 돌출되므로 배[北]라고 하는 것을 안쪽으로 고정시킨다. 종이를 접어 두텁게 만든 다음 초록색이나 남색 비단으로 써서 북두칠성을 고정시킨 철사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안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띠가 완성된다.

대에 사용한 띠돈의 재료는 주10를 드러내는 역할을 하였으므로 품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재료가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었다. 서대는 물소[水牛]의 뿔로 띠돈을 만들었는데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므로 중국 남방의 것을 수입해서 사용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 『탁지준절(度支準折)』에 서대[犀角帶]와 오각대[黑角帶]의 가격이 제시되어 있는데, 오각대 1부(部)의 가격이 2냥이었던 것에 반하여, 서각대 1부의 가격은 무려 오각대 가격의 75배에 해당되는 150냥이나 되었다. 이를 통해 비싼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질 좋은 서각은 중국 주11에서 생산되었는데 옥처럼 단단하고 무늬가 특이하였다고 한다. 주12주13의 서각으로, 통서(通犀)라고도 하였는데 흰 줄이 있으며 옆에서 보면 묶은 머리를 자른 듯하고 물에 넣으면 괴이한 것을 잘 비춘다고 하였다.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하응의 조복본이나 흑단령본 초상화에서 볼 수 있는 서대의 서각이 통천서로 추정된다. 띠돈 중앙에 밝은 빛이 돌고 그 주위에 작은 원형의 짙은 갈색 무늬가 중앙에 밀집되어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883년의 민태호(閔台鎬) 초상화나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1895년 신정희(申正熙, 1833-1895)의 초상화에서도 서각의 유사한 문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서대는 특히 19세기 후기의 초상화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서대는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로 나뉜다. 중앙에 주14처럼 묘사되어 있는 통천서 종류가 하나이고,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로 표현된 것, 그리고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것이 있다. 초상화에는 서각의 검은 무늬를 아래쪽으로 배열하는 것이 흔히 확인된다.

서대의 띠돈에는 금속테를 두르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훼손되기 쉬운 삼태와 보 · 필, 타미와 같은 일부 띠돈에 금속테를 두르기도 한다. 그러나 주15과 북두칠성에 해당하는 띠돈에는 금속테를 두르지 않았다. 서대인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남두육성이나 북두칠성 띠돈을 확인해야 한다. 초상화에서는 삼태에 금테를 두른 것과 두르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삼태에 금테를 두르지 않은 것은 보 · 필이나 타미에도 테를 두르지 않지만 삼태에 금테를 두른 경우는 보 · 필과 타미에도 반드시 테를 둘렀다. 서대 유물 중에는 테를 두르지 않은 것보다는 테를 두른 경우가 더 많이 보인다. 이는 마찰이 심한 부위에 사용되는 서각 띠돈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후기의 서대 유물을 분석한 결과, 황동에 도금한 금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대명회전(大明會典)』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세종실록(世宗實錄)』
『송간이록(松澗貳錄)』
『임하필기(林下筆記)』
『탁지준절(度支準折)』
『태종실록(太宗實錄)』

단행본

『韓國傳統繪畵』(서울대학교 박물관, 1993)
『湖巖美術館名品圖錄 Ⅱ』(湖巖美術館, 1996)
정양완 외, 『조선후기한자어휘검색사전-물명고·광재물보-』(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韓國의 刺繡 어제와 오늘』(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2000)
이강칠,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현암사, 2003)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눌와, 2007)

논문

박승원 외,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서대(犀帶)의 과학적 보존」(『박물관보존과학』 11, 국립중앙박물관, 2010)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복식』 61-10, 한국복식학회, 2011)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깃을 둥글게 만든 관복. 우리말샘

주2

붉은색의 가죽띠. 우리말샘

주3

검은 가죽띠. 우리말샘

주4

그 나라 특유의 풍속. 우리말샘

주5

황금으로 장식한 대. 우리말샘

주6

허리띠 따위를 죄어 고정하는 장치가 되어 있는 장식물. 우리말샘

주7

궁수자리에 있는 국자 모양의 여섯 개의 별. 북두칠성의 모양을 닮은 데서 이름이 유래한다. 장수(長壽)를 주관하는 별로 전해진다. 우리말샘

주8

구성(九星) 가운데 아홉째 별. 우리말샘

주9

구성(九星) 가운데 여덟째 별. 우리말샘

주10

관리나 벼슬의 등급. 우리말샘

주11

중국 푸젠성에 있는 도시. 항구 도시로 차, 목재 따위를 실어 낸다. 수공예품과 칠기, 임산물이 유명하다. 푸젠 성의 성도(省都)이다. ⇒규범 표기는 ‘푸저우’이다. 우리말샘

주12

무소의 뿔. 뿔의 길이는 24cm가 넘고 물이 잘 묻지 않으며 단도의 손잡이나 약제로 쓰인다. 우리말샘

주13

상등의 품위(品位). 우리말샘

주14

한 꼭지에 모여 달린 포도알의 덩어리. 우리말샘

주15

궁수자리에 있는 국자 모양의 여섯 개의 별. 북두칠성의 모양을 닮은 데서 이름이 유래한다. 장수(長壽)를 주관하는 별로 전해진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은주(안동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