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방영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원 간섭기, 좌승지 · 밀직부사 · 지밀직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07년(충렬왕 33)
본관
여산(礪山)
주요 관직
대장군, 좌승지, 밀직부사, 지밀직사사
관련 사건
충선왕 폐위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송방영은 고려 후기 원 간섭기에 좌승지, 밀직부사, 지밀직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이다. 『고려사』 등 기록에서 그의 직책이 장군부터 확인되어 무신에서 성장한 인물로 보인다. 원 간섭기 충렬왕의 측근으로 활약하였고, 주로 원나라와 관련된 일들이 많았다. 충선왕의 폐위 및 귀국을 방해한 사건에 관여하여, 충선왕이 권력을 장악한 이후 원나라로 잡혀가 처형되었다.

정의
고려 후기 원 간섭기, 좌승지 · 밀직부사 · 지밀직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
가계 및 인적사항

아버지는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송염(宋琰)이다.

주요 활동

송방영이 관리가 된 과정에 관해서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이 없고, 『고려사(高麗史)』 등 기록에서 관직이 장군(將軍)부터 확인되어 무신(武臣)에서 성장한 인물로 보인다. 1298년(충렬왕 24) 장군으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원(元)나라에 다녀왔다.

1300년(충렬왕 26) 충렬왕(忠烈王)이 원나라에 입조(入朝)하였을 때 대장군(大將軍)으로 동행하였고, 왕이 양 200마리와 술 200통을 황제에게 헌납하였다. 충렬왕이 대궐로 나아가 부두연(扶頭宴)을 베풀었을 때 황제가 고려의 노래를 부르라고 명령하였다. 왕이 대장군 송방영과 송영(宋英) 등에게 쌍연곡(雙鷰曲)을 부르게 하였다. 충선왕(忠宣王)은 단판(檀板)을 잡고 왕이 일어나 춤추면서 황제의 장수를 비니, 황제와 황후(皇后)가 기뻐하였다고 한다. 돌아온 이후 좌부승지(左副承旨)가 되었다가 1301년(충렬왕 27)에 좌승지(左承旨)가 되었다.

1303년(충렬왕 29)에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전왕(前王)인 충선왕의 귀국을 방해한 죄로 원나라에 압송되었다가 그해 8월에 귀국하였으며, 12월에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다시 하정사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왔다.

1305년(충렬왕 31)에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가 되었는데, 그해 충렬왕이 원나라에 가고자 하므로 따라가려고 하였으나 조적(曺頔)이 왕에게 말하기를, “상국(上國)에게 죄를 지었으니 마땅히 호종할 수 없습니다.”라고 함으로 허락되지 않았다. 의주(義州)까지 따라가 함께 가기를 청하였는데, 따로 간다는 조건 아래 허락받아 원나라에 가게 되었다. 그러나 1307년(충렬왕 33) 충선왕이 권력을 장악한 이후 충선왕의 귀국을 방해하고 그의 왕비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를 서흥후(瑞興侯) 왕전(王琠)에게 개가(改嫁)시키려고 한 죄로 서흥후 왕전 및 왕유소(王維紹)· 한신(韓愼)· 송린(宋璘)· 송균(宋均)· 김충의(金忠義)· 최연(崔涓) 등과 함께 원나라의 국도(國都)인 대도(大都: 현재의 베이징)에서 참형(斬刑)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여산송씨족보(礪山宋氏族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