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궐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초기, 문하부 낭사의 하나로 설치된 정5품 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1392년(태조 1)
폐지 시기
1401년(태종 1)
소속
문화부
내용 요약

우보궐은 조선 초기, 문하부 낭사의 하나로 설치된 정5품 관직이다. 1392년(태조 1) 7월에 조선 왕조를 개창한 직후, 문무백관의 관제를 정하면서 좌보궐과 함께 정5품직으로 설치되어 직접 사무를 주장(主掌)하던 관원인 장무(掌務)의 역할을 하였다. 1401년(태종 1) 문하부가 혁파되고 의정부와 사간원을 설치하면서 헌납으로 바뀌었다.

정의
조선 초기, 문하부 낭사의 하나로 설치된 정5품 관직.
설치 목적

1392년(태조 1) 7월에 조선 왕조를 개창한 직후 주1의 관제를 정하면서 문하부(門下府)주2주3를 관장하는 재신(宰臣)헌납(獻納) · 간쟁(諫諍) · 박정(駁正) · 주4 · 교지(敎旨)주5, 계(啓) · 전(牋)의 소통과 주6 등의 일을 관장하는 낭사(郞舍)를 설치하였다. 낭사의 관직 가운데 정5품의 좌보궐(左補闕) 1명, 우보궐(右補闕) 1명을 두었다.

임무와 직능

문하부는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에 백관의 업무를 관장하며 주7주8 등을 관장하던 관서이다. 조선 건국 직후의 문하부는 고려 후기의 문하부를 계승하여 설치되었지만 직제는 다소의 변동이 있었다.

재신 그룹에 정1품의 주9 1명, 좌시중(左侍中) 1명, 우시중(右侍中) 1명과 종1품의 주10 2명, 정2품의 참찬부사(參贊府事) 4명, 지부사(知府事) 1명, 정당문학(政堂文學) 1명, 주11 2명을 두었고, 예하의 낭사에는 정3품의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1명, 주12 1명, 종3품의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1명,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1명과 직문하(直門下) 1명, 정4품의 내사사인(內史舍人) 1명, 정5품의 기거주(起居注) 1명, 좌보궐 1명, 우보궐 1명, 정6품의 좌습유(左拾遺) 1명, 우습유(右拾遺) 1명, 정7품의 주서(注書) 1명, 도사(都事) 1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우보궐은 좌보궐과 함께 문하부에서 직접 주13를 주장(主掌)하던 주14인 장무(掌務)였다.

변천사항

1401년(태종 1) 7월 관제를 개편할 때, 문하부를 혁파하고 이를 나누어 의정부와 사간원을 설치하였는데, 이때 보궐(補闕)은 사간원의 헌납(獻納)으로 바뀌었다.

의의 및 평가

조선 초기의 실록 기사에서 윤장(尹將), 박은(朴訔), 배규(裵規), 윤수(尹須), 허지(許遲), 황희(黃喜), 허조(許稠), 권홍(權弘) 등이 보궐로 근무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세종실록(世宗實錄)』
『정종실록(定宗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논문

송웅섭, 「조선 초기 ‘공론’의 개념에 대한 검토: 대간 언론과의 비교를 통해서」(『한국학연구』 39,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진희권, 「조선 초기의 대간에 의한 권력견제」(『법과정책』 13-2,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07)

인터넷 자료

조선왕조실록사전(http://waks.aks.ac.kr/site/encysillok)
주석
주1

모든 문관과 무관.    우리말샘

주2

모든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3

특별한 명목이 없는 여러 가지 일반적인 사무. 또는 그런 일을 맡은 사람.    우리말샘

주4

벼슬에 임명하던 일.    우리말샘

주5

받음과 보냄.    우리말샘

주6

말이나 편지를 받아서 올림.    우리말샘

주7

임금에게 글을 올려 일의 옳지 아니함을 논박함. 또는 옳지 않은 조칙(詔勅)을 그대로 돌려보내어 그 반박 의견을 임금에게 올림.    우리말샘

주8

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간절히 말함.    우리말샘

주9

조선 시대에 둔 중추부의 으뜸 벼슬. 정일품의 무관 벼슬이다.    우리말샘

주10

조선 시대 초기에, 문하부(門下府)에 속한 종일품 벼슬.    우리말샘

주11

조선 전기에, 문하부에 속한 정이품 벼슬.    우리말샘

주12

고려 시대에, 내사문하성에 속한 정삼품 낭사 벼슬. 목종 때 두었으며, 뒤에 우상시 등으로 몇 차례 고쳤다.    우리말샘

주13

자신이 맡은 직책에 관련된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하는 일. 주로 책상에서 문서 따위를 다루는 일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4

관아에 나가서 나랏일을 맡아보는 사람.    우리말샘

집필자
임선빈((前)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