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무 ()

아정유고(권1)
아정유고(권1)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서장관, 규장각검서관 등을 역임하였으며, 『관독일기』, 『편찬잡고』, 『청비록』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무관(懋官)
형암(炯庵), 동방일사(東方一士)
이칭
아정(雅亭), 청장관(靑莊館), 영처(嬰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1년(영조 17)
사망 연도
1793년(정조 17)
본관
전주(全州)
내용 요약

이덕무는 조선후기 『관독일기』, 『편찬잡고』, 『청비록』 등을 저술한 유학자이자 실학자이다. 1741년(영조 17)에 태어나 1793년(정조 17)에 사망했다. 독학으로 경서와 사서 및 고금의 기문이서에 통달했다. 문장도 뛰어나 명성이 중국에까지 알려질 정도였다. 북학파 실학자들과 깊이 교유했고 중국 고증학 대가들의 저서에 심취해 서장관으로 연경에 가서 청의 문물에 대해 자세히 기록해오고 고증학 관련 책들도 들여왔다. 서자여서 크게 중용되지 못했으나 규장각 검서관으로서 많은 서적의 정리와 교감에 종사했다.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다.

정의
조선 후기에, 서장관, 규장각검서관 등을 역임하였으며, 『관독일기』, 『편찬잡고』, 『청비록』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관(懋官), 호는 형암(炯庵) · 아정(雅亭) · 청장관(靑莊館) · 영처(嬰處) · 동방일사(東方一士) · 신천옹(信天翁). 정종의 제15자인 무림군(茂林君) 이선생(李善生)의 14세손이며, 이상함(李尙馠)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강계부사 이필익(李必益)이고, 아버지는 통덕랑 이성호(李聖浩)이며, 어머니는 반남 박씨로 토산현감 박사렴(朴師濂)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박학다식하고 고금의 기문이서(奇文異書)에도 달통했으며, 문장에 개성이 뚜렷해 문명을 일세에 떨쳤으나, 서자였기 때문에 크게 등용되지 못하였다.

어릴 때 병약하고 빈한해 전통적인 정규 교육은 거의 받을 수 없었다. 그러나 총명하여 가학(家學)으로써 6세에 이미 문리(文理)를 얻고, 약관에 박제가(朴齊家) · 유득공(柳得恭) · 이서구(李書九)와 함께 『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었다.

특히 박지원(朴趾源) · 홍대용(洪大容) · 박제가 · 유득공 · 서이수(徐理修) 등의 주1 실학자들과 깊이 교유해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경제면의 급진적인 개혁 이론보다는 사색적이고 철학적인 고증학적 방법론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리하여 주2 · 주3 등 명말청초(明末淸初)의 고증학 대가들의 저서에 심취한 나머지 1778년(정조 2)에는 사은겸진주사(謝恩兼陳奏使) 심염조(沈念祖)서장관(書狀官)으로 직접 연경(燕京)에 들어가 주4 · 이조원(李調元) · 이정원(李鼎元) · 육비(陸飛) · 엄성(嚴誠) · 반정균(潘庭筠) 등 청나라 석학들과 교류하였다.

그리고 그곳의 산천 · 도리(道里) · 궁실(宮室) · 누대(樓臺) · 초목 · 충어(蟲魚) · 조수(鳥獸)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기록해 왔으며, 고증학에 관한 책들도 많이 가져왔다. 이것은 이덕무의 주5을 발전시키는 데 기초가 되었다.

명성이 정조에게까지 알려져 1779년에 박제가 · 유득공 · 서이수와 함께 초대 규장각 외각검서관이 되었다. 14년간 규장각에 근무하면서 규장각신(奎章閣臣)을 비롯한 많은 국내 학자들과 사귀는 한편, 그곳에 비장되어 있는 진귀한 서적들을 마음껏 읽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규장각의 도서 편찬에도 적극 참여해 『도서집성(圖書集成)』 · 『국조보감(國朝寶鑑)』 · 『규장각지(奎章閣志)』 · 『홍문관지(弘文館志)』 · 『송사전(宋史筌)』 · 『검서청기(檢書廳記)』 · 『대전회통(大典會通)』 · 『기전고(箕田攷)』 · 『규장전운(奎章全韻)』 · 『시관소전(詩觀小傳)』 등 많은 서적의 정리와 교감에 종사하였다.

항상 소매 속에 책과 필묵을 넣어 다니면서 보고 듣고 생각나는 것을 그때그때 적어두었다가 저술할 때 참고하였다. 내성적인 성격이지만, 근면하고 특히 시문에 능해 규장각 경시대회(競詩大會)에서 여러 번 장원을 차지하였다.

그리하여 정조의 사랑과 신임을 받아 1781년 내각검서관으로 옮겨지고, 사도시주부(司䆃寺主簿) · 사근도찰방(沙斤道察訪) · 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 · 적성현감 등을 거쳐 1791년 사옹원주부가 되었다.

비속한 청나라의 문체를 사용해 박지원 · 박제가 등과 함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걸려 정조에게 자송문(自訟文)을 지어 바치기까지 했으나, 질병으로 1793년에 죽었다. 정조는 생시의 업적을 기념해 장례비와 『아정유고(雅亭遺稿)』의 간행비를 내어주고, 1795년 아들 이광규(李光葵)를 검서관으로 임명하였다.

글씨도 잘 썼고 그림도 잘 그렸는데, 특히 지주(蜘蛛: 거미)와 영모(翎毛)를 잘 그렸다 한다.

저서로는 『관독일기(觀讀日記)』 · 『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 · 『영처시고(嬰處詩稿)』 · 『영처문고(嬰處文稿)』 · 『예기고(禮記考)』 · 『편찬잡고(編纂雜稿)』 · 『기년아람(紀年兒覽)』 · 『사소절(士小節)』 · 『청비록(淸脾錄)』 · 『뇌뢰낙락서(磊磊落落書)』 · 『앙엽기(盎葉記)』 · 『입연기(入燕記)』 · 『한죽당수필(寒竹堂隨筆)』 · 『천애지기서(天涯知己書)』 · 『열상방언(洌上方言)』 · 『협주기(峽舟記)』 등 16종이 있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연암집(燕巖集)』
『귀사당집(歸思堂集)』
「이덕무의 실학사상」(이성무,『향토서울』31, 1967)
주석
주1

조선 영조ㆍ정조 때에, 북학을 주장한 실학의 한 파. 청나라의 앞선 문물제도 및 생활 양식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한 학파로, 특히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의 혁신에 관심을 쏟았는데 이덕무,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우리말샘

주2

중국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의 사상가(1613~1682). 자는 영인(寧人). 호는 정림(亭林). 명나라 말기의 양명학이 공리공론에 치우치자 경세치용의 실학에 뜻을 두어 실증적 학풍의 기초을 닦았다. 황종희, 왕부지와 함께 청조의 삼대사(三大師)로 꼽힌다. 저서에 ≪일지록≫, ≪천하군국이병서≫, ≪금석문자기(金石文字記)≫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청나라 때의 문학가(1629~1709). ≪명사(明史)≫ 편찬에 참여한 이후 관직에 뜻이 없어 은거하며 살았다. 시에 뛰어나 사람들이 ‘왕사정(王士禎)’과 ‘남주북왕(南朱北王)’ 이라 불렀다. 저서로 ≪경의고(經義考)≫가 있다.    우리말샘

주4

중국 청나라의 학자(1724~1805). 자는 효람(曉嵐)ㆍ춘범(春帆). 호는 석운(石雲). ≪사고전서(四庫全書)≫의 편찬과 그 총목록을 대략적으로 설명한 책인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편저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우리말샘

주5

조선 영조ㆍ정조 때에, 실학자들이 청나라의 앞선 문물제도 및 생활 양식을 받아들이자고 한 주장.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이덕무 등이 주장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성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