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세 ()

근대사
인물
개항기 한성부판윤,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순국지사.
이칭
치현(穉顯)
산재(山齋)
시호
충정(忠正)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7년(순조 27)
사망 연도
1905년 12월 1일
본관
양주(楊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한성부판윤,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순국지사.
개설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치현(穉顯), 호는 산재(山齋). 현감 조유순(趙有淳)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관(蔭官)으로 참봉에 임명되었다가 1859년(철종 1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史官)이 되고 1864년(고종 1) 실록청도청낭청으로서 『철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874년 함경도 암행어사, 1877년 대사헌에 승진되었고 이어 의주부윤, 다시 대사헌, 1887년 공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예조 · 이조판서, 1889년 한성부 판윤을 지내고 곧이어 우의정에 올랐다.

1893년 좌의정이 되었으나, 이듬해 동학농민운동 · 청일전쟁 · 갑오개혁 등 큰 사건이 연달아 일어나고, 일제의 침략이 가중되면서 세상이 어수선하게 되자 정계를 떠나 가평으로 은퇴하였다.

뒤에 다시 중추원의장(中樞院議長)과 의정부의정(議政府議政)을 역임하고 국왕의 고문인 특진관(特進官)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주로 가평에 은퇴하고 있으면서, 1896년 폐정개혁을 요구하는 시무(時務) 19조를 상소하였다. 그 뒤 1898년 재상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으며, 1900년 다시 입궐하여 국정 개혁을 건의하였다.

1905년 11월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을사5조약이 체결되자 국권회복을 위해 79세의 노구를 이끌고 상경, ‘을사5적’의 처형을 주청하려 하였으나 일본군의 방해로 고종과의 면담이 거절되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당시 장지연(張志淵)『황성신문(皇城新聞)』「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을 써서 민족의 울분을 터뜨리고, 13도유생들이 5적의 처형과 조약폐기를 상소하였다. 그리고 19일에는 특진관 이근명(李根命), 의정부참찬(議政府參贊) 이상설(李相卨) 등을 비롯한 조관(朝官) 30여 명이 개별 상소하여 5적의 처형과 조약폐기를 요청하였으나, 국왕의 확고한 대답은 내려지지 않았다.

이에 26일 참정(參政) 심상훈(沈相薰), 시종무관장(侍從武官長) 민영환(閔泳煥), 이근명 등과 함께 백관을 인솔하고, 입궐하여 정청(庭請)의 소두(疏頭)로서 을사조약의 무효, 5적신의 처형, 새로 충량(忠良)한 인재를 뽑아서 외부대신에 임명하고, 각국 공사와 협의하여 5조약을 파기할 것 등을 연명으로 상소하다가 일본군에 의해 강제 해산당하고 표훈원(表勳院)에 연금되었다.

곧 방면되었으나 다시 대한문(大漢門) 앞에서 석고대죄하며 을사조약의 파기를 주장하다가 또다시 일본 헌병에 강제 연행되었다. 연행당한 뒤 민영환이 대신 소두가 되었다. 그러나 민영환도 곧이어 평리원(平理院)에 연금되었다가 특명으로 풀려났다. 그 뒤 비분을 참지 못하여 29일 자결하였다.

강제연행된 뒤 곧 가평 시골집에 추방되었으나 30일 다시 상경하였다. 표훈원에 되돌아와 유소(遺疏)와 일본공사 및 각국 공사에게 보내는 유서를 남기고 상소하였다. 그런데 또다시 일본군이 가마에 태워서 강제추방하자 가마 안에서 음독하여, 조카 조민희(趙民熙)의 집에 당도하여 죽었다.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고종기사(高宗紀事)』
『기려수필(騎驢隨筆)』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해학유서(海鶴遺書)』
『한국통사(韓國痛史)』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조병세」(신석호, 『근대한국인물백인선』, 신동아부록, 197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