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도 ()

목차
관련 정보
사십구재 / 예불
사십구재 / 예불
불교
의례·행사
죽은 이의 영혼을 좋은 세계로 보내고자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목차
정의
죽은 이의 영혼을 좋은 세계로 보내고자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내용

불교에서는 죽은 사람의 주1을 빌기 위하여 법회 · 독경(讀經) · 시식(施食) · 불공(佛供) 등을 베풀어 죽은 영혼들로 하여금 주2에 태어나도록 기원한다. 이 천도의식은 사람이 죽은 지 1주일마다 한 번씩 7 · 7재를 가지게 되며, 7주째에 행하는 천도의식을 49재라 한다. 천도의식은 사람이 죽은 지 7일마다 한 번씩 일곱 번을 하는 경우도 있고, 여섯 번은 생략하고 49일째만 행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천도라 하면 일곱 번 행하는 49재를 가리킨다. 49재가 지난 뒤에도 사람이 죽은 지 100일 만에 백재(百齋)로 행하는 천도의식과 1주년과 2주년에 지내는 소상대상재가 있다.

이렇게 천재의식은 사람이 죽은 이후 열 번을 행하게 된다. 이 열 번의 근거는 사람이 죽으면 주3 시왕(十王)으로부터 각각 한 번씩 심판을 받게 되는데 심판을 받을 때마다 재를 행하게 된다는 명부시왕신앙에 의거한다. 열 번의 천도의식 중에서도 49재가 가장 대표적인 천도의식으로 알려져 있음은 명부의 시왕 중에서도 주4이 대표적인 명부의 왕으로 신앙되고 있으며, 이 염라대왕의 심판을 받는 날이 49일째가 되는 날이기 때문이다.

이상 7 · 7재와 백일재 · 소상재 · 대상재 등 열 번에 걸쳐 행하는 의식을 사람이 죽은 이후 정기적으로 행하는 천도의식이라 한다면, 그와 같은 날 수와는 관계없이 비정기적으로 죽은 사람을 위하여 행하는 천도의식도 있다. 수륙재(水陸齋)는 그 대표적인 것이다. 수륙재는 주인 없는 주5들을 위하여 많은 신도들이 공동으로 일정한 날을 택하여 행하는 천도의식이다. 연고자에 의한 부정기적 천도의식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죽은 영혼을 위하여 언제나 거행한다.

천도의식은 그 의식절차에 따라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 · 각배재(各拜齋) · 영산재(靈山齋) 등 몇 가지 유형을 지닌다. 상주권공은 기본형이라 할 수 있고, 이 기본형인 상주권공의식에 명부시왕신앙을 강조하여 이에 대한 신앙의례를 첨가한 것이 각배재이고, 영산재는 상주권공의 기본형을 법화경신앙(法華經信仰)으로 확대 전개시킨 양식을 지닌 천도의식의 한 유형이다. 따라서 이들 유형의 천도의식은 같은 불교의식이라도 신앙상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세 유형의 천도의식은 49재 때에만 행하는 대규모의 의식절차이고, 이 밖의 정기적 천도의식은 보다 간략하게 행한다. 49재 때 행하는 세 유형의 천도의식 절차와 내용은 범패(梵唄)와 의식무용(儀式舞踊) 등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우리의 전통적인 음악과 무용과의 상관관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세 유형 중 영산재가 더욱 많은 음악적 · 무용적 요소를 지니고 있어 영산재의 범패 · 불교의식무용 등은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세 유형의 천도의식의 제의절차상에서 보면 재래 민간신앙과의 습합양상이 많이 보이며, 이 중 각배재의 경우가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천도의식은 오늘날의 불교교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불교의식의 하나이다. 그것은 불교신앙이 죽음 이후의 문제를 크게 생각하는 신도들의 신앙경향에 불교교단이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의 천도의식은 재래 민간신앙적인 요소를 많이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주석
주1

죽은 뒤 저승에서 받는 복. 우리말샘

주2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우리말샘

주3

사람이 죽은 뒤에 간다는 영혼의 세계. 우리말샘

주4

저승에서, 지옥에 떨어지는 사람이 지은 생전의 선악을 심판하는 왕. 지옥에 살며 십팔 장관(十八將官)과 팔만 옥졸을 거느리고 저승을 다스린다. 불상(佛像)과 비슷하고 왼손에 사람의 머리를 붙인 깃발을 들고 물소를 탄 모습이었으나, 뒤에 중국 옷을 입고 노기를 띤 모습으로 바뀌었다. 우리말샘

주5

죽은 뒤에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외롭게 떠돌아다니는 영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홍윤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