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풍형 ()

국악
작품
조선 세종이 창작한 궁중악무 「봉래의(鳳來儀)」 구성곡 중의 하나로 「용비어천가」 한글본을 노래한 곡.
작품/전통음악
발표 연도
1447년(세종 29)
작자
세종
형식
노래와 연주, 정재로 구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취풍형」은 조선 세종이 창작한 궁중악무 「봉래의(鳳來儀)」 구성곡 중의 하나로 「용비어천가」 한글본을 노래한 곡이다. 세종이 조종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창작한 노래와 정재로 구성한 「봉래의」 중 한 곡이다. ‘전인자-여민락-치화평-취풍형-후인자’로 이루어진 모음곡 구성에서, 시작 악구인 전인자와 한문본 「용비어천가」를 노래하는 「여민락」, 한글본 가사를 노래하는 「치화평」에 이어 부르는 향악곡이다. 『세종실록』 악보와 『대악후보』에 악보가 실려 있고, 국가 연례에 연주된 바 있으나, 지금은 연주되지 않는다.

정의
조선 세종이 창작한 궁중악무 「봉래의(鳳來儀)」 구성곡 중의 하나로 「용비어천가」 한글본을 노래한 곡.
전승 과정

「취풍형」은 1445년(세종 27) 4월에 권제(權踶) 등이 지어 올린 「용비어천가」를 가사로 제작된 「봉래의」의 한 곡으로 정재와 함께 주8 곡이다. 1447년(세종 29) 『세종실록』 기록에 ‘처음에 임금이 용비어천가를 관현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하여 치화평, 취풍형, 여민락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가 있다’는 내용은 곡의 창작자가 세종임을 알려준다.

이후 「취풍형」은 궁중의 주9 주11에서 사용될 곡으로 반포되었고, 선율과 가사는 『세종실록』 악보, 『대악후보』 에, 「취풍형무도」는 『악학궤범』 권5에 수록되어 전한다. 실제 연향에서의 쓰임은 조선 전기에 간혹 보이고, 조선 후기 순조, 고종 때에도 곡명이 언급되었으나, 취풍형의 곡조는 가곡의 농(弄), 계락(界樂), 으로 바뀌었다.

구성 및 형식

『세종실록』 권140부터 수록된 「봉래의」 중 「취풍형」은 「치화평」과 같이 한글본 「용비어천가」 가사를 노래하고 선율도 유사하지만 「치화평」에 비해 악곡의 규모가 축소되었다. 즉, 「치화평」의 선율이 「용비어천가」의 제1장16장. 125장 가사가 아홉 개의 장으로 구성된 데 비해, 「취풍형」의 선율은 제1장8장, 125장의 가사가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가사의 배열이 「치화평」은 5·3·8정간으로 된 것과 달리, 「취풍형」은 3·2·3정간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취풍형」의 속도가 「치화평」 보다 빨라진 것으로 해석된다.

「취풍형」을 「봉래의」 정재에서 연주할 때는 월금 · 당비파 등의 주12와, 향비파 · 향피리 · 대금 등의 주13 혼합 편성으로 연주하는 「여민락」과 달리 향악기로만 연주하였다. 조성은 주6 평조로 앞의 곡인 「치화평」보다 6율(완전 4도)이나 낮다. 그래서 제1장만 주15으로 부르고, 제2장부터 옥타브 위의 청고선궁으로 변화를 주어 높게 부르도록 주14.

한편, 「취풍형」을 춤출 때는 「용비어천가」 한글 가사 전곡을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1장 해동장부터 8장 태자장, 졸장 천세장만 사용되었으며 『악학궤범』 권 5 ‘봉래의초입배열도’와 ‘취풍형무도’를 참고하면 악기를 든 주16가 춤추는 주17를 인도하는 춤의 대형과 동선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취풍형」은 세종이 주7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친제한 신악 중의 한 곡으로 『세종실록』 악보, 『대악후보』에 기보되어 전한다. 이 곡은 「용비어천가」의 한글 가사를 전래의 향악 선율에 얹어 완성했다는 점에서, 세종의 한글 창제와 향악 활용 의지가 융합된 작품으로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논문

이혜구, 「용비어천가의 형식:취풍형의 음악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5)
변계원, 「치화평 1,2,3과 취풍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전인평, 「세종실록 봉래의의 장단과 속도」 (『한국음악장단의 역사와 논리』,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5)
황준연, 「치화평(三)과 취풍형의 관계」 (『조선조 정간보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문숙희, 「세종실록악보 봉래의의 음악적 구성」 (『공연문화연구』 27, 한국공연문화학회, 2013)
주석
주6

조선 세종 때에, 중국 원나라 임우(林宇)의 ≪대성악보≫에서 채택하여 문묘 제례악으로 전하는 곡의 하나. ‘고선’ 음을 으뜸음으로 하여 황종궁(黃鍾宮)을 조옮김한 곡이다. 우리말샘

주7

임금의 조상. 우리말샘

주8

연출하여 행함. 우리말샘

주9

공공의 일과 사사로운 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국빈을 대접하는 잔치. 우리말샘

주11

잔치를 베풀어 손님을 접대함. 우리말샘

주12

중국 당나라 때의 악기. 우리말샘

주13

향악을 연주하는 데에 쓰는 악기. 우리말샘

주14

악곡 전체를 다른 조로 바꾸다. 전체를 높은 음정 또는 낮은 음정으로 옮기는 일로, 조옮김을 하는 악기의 경우 필수적이며, 노래할 때 각자의 음역에 맞추기 위하여 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15

조선 세종 때에, 중국 원나라 임우(林宇)의 ≪대성악보≫에서 채택하여 문묘 제례악으로 전하는 곡의 하나. ‘고선’ 음을 으뜸음으로 하여 황종궁(黃鍾宮)을 조옮김한 곡이다. 우리말샘

주16

춤, 노래, 의술, 바느질 따위를 배우고 익혀서 나라에서 필요한 때 봉사하는 관비를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17

대궐에서 잔치를 벌일 때에 춤을 추던 기생.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