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모 ()

목차
관련 정보
사회구조
개념
남의 집에 고용되어 바느질을 도맡아 하는 여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의 집에 고용되어 바느질을 도맡아 하는 여성.
내용

침모는 그 성격상 같은 고용인이지만 진일하는 찬모(饌母)나 안잠자기보다는 우위에 있었다.

침모는 대체로 성품이 조신하고 손끝이 여물어, 대개 그 전형이 있었다. 항상 마루에서 기거하며 자기 손으로 바느질을 하기 때문에 옷은 언제나 깔끔했고, 치마는 길게 늘여 입었다. 또, 바느질 재주뿐만이 아니라 자수를 놓을 줄 아는 이가 많았다.

신분은 대부분 양민 이상이었다. 관청의 경우, 침선비(針線婢)는 상의원(尙衣院) 소속이며 주로 왕의 의대(衣襨) 짓는 일을 담당했지만, 이들 중에서 뽑혀 기생 구실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침비(鍼婢, 針婢)는 침선비와 혼동되기 쉬우나 이들은 공조내의원(內醫院) 소속의 의녀 또는 의녀비(醫女婢)들이다. 이들은 나라에 잔치가 있을 때면 무기(舞妓) · 가기(歌妓)가 되기도 하는데, 이들을 가리켜 ‘약방기생’이라고도 하였다.

한편, 내직으로 민간여인이 자기집에서 삯바느질하는 경우는 침선가(針線家)라 하였고, 침모라고는 부르지 않았다. 조선시대 벼슬아치들의 관복이나 제복(祭服)은 너무 까다로웠고 도포짓기조차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었으므로 침선가에게 맡기는 일이 많았다. 침선가는 남성들의 웃옷뿐만 아니라, 혼수옷도 짓고 어린이들의 복건 · 동달이 · 굴레 같은 것도 지었다.

궁중의 침선을 맡은 부서는 침방이라 하였다. 일의 성격상 침방의 상궁나인들은 왕의 침전인 지밀나인(至密內人) 다음으로 대우를 받았다. 예컨대, 입궁 연령이 지밀 다음으로 빨라 7∼8세이고, 일의 특수성 때문에 치마를 길게 늘여 입었다. 만일 지밀나인에 결원이 생기면 침방나인으로 보충하였다.

봉건시대 여성의 교양 중 침선방적(針線紡績)이라 하여, 어느 면에서는 가족들의 건강을 좌우하는 음식만들기보다 바느질솜씨에 중점을 둔 것은 그만큼 바느질이 어렵다는 증거이다. 이는 오늘날 ‘삯바느질’하는 여인으로 이어지고 있으나, 대량생산 · 대량소비의 산업사회에서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조궁중풍속지(朝鮮朝宮中風俗誌)』(김용숙, 일지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