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사구 ()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자연지리
개념
해안의 사빈에서 모래가 바람에 날아가 쌓여 이루어진 언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안의 사빈에서 모래가 바람에 날아가 쌓여 이루어진 언덕.
개설

해안사구는 사빈 뒤에 발달하며, 사구 뒤에는 농경지로 이용되는 충적지가 펼쳐진다. 해안사구는 사초(砂草)와 같은 식생이 이동해 쌓인 모래를 고정시킴으로써 발달한다. 해수욕장의 각종 시설물은 대개 해안사구 위에 설치되어 있다.

내용

해안사구는 거의 입경 0.1∼1㎜의 모래로 이루어진다. 동해안에서는 하천이 사빈으로 대량의 모래를 공급하는데, 해안사구도 하천의 하구 부근에 높고 넓게 발달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해안사구 위에 어촌이 입지한 경우도 많다. 강릉의 한송정(寒松亭)남대천(南大川) 하구 남쪽에 형성된 높이 10여m의 사구 위에 세워져 있다.

일반적으로 해안사구는 해송(海松)으로 덮여 있어서 멀리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데, 해송림은 연료림이나 방풍림으로 조성된 것이다. 해안사구는 해안선을 따라 일렬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함경남도 흥남 남쪽의 광포(廣浦)에는 여러 개의 사구열이 넓게 발달되어 있다. 이곳은 성천강(城川江)으로부터 많은 모래를 공급받아 형성되었다.

해안사구는 서해안에도 널리 분포한다. 서해안의 해안사구는 먼 바다에서 밀려오는 큰 파랑과 더불어 겨울철 강한 북서풍을 직접 받아들이는 충청남도태안반도안면도, 전라남도의 자은도임자도 등에 탁월하게 발달되어 있다. 이들 지역에서는 해안사구의 해송이 남동쪽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황해도 장산곶 북쪽의 몽금포도 해안사구로 유명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이곳의 해안사구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장산곶의 북쪽에 있는 금사사(金沙寺)의 바닷가는 모두 모래밭이다. 모래가 지극히 고와서 금색과 같고 햇빛에 비쳐 20리가 번쩍인다. 바람이 불적마다 봉우리를 이루어 높아지고 깎여 조석으로 옮겨져 혹은 동쪽에 언덕이 생기고, 혹은 서쪽에 언덕이 생겨 좌우로 갑자기 이동함이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모래 위의 탑묘(塔廟)는 장려하고 그리고 마침내 파묻히고 눌리지도 않으니, 이는 실로 괴이한 일이다.”

현황

서해안의 해안사구는 모래의 공급이 부족하여 침식을 받고 있다. 특히 식생이 파괴되면 모래가 바람에 날려 사구 뒤의 농경지로 이동한다. 이러한 곳에서는 해송이나 아카시아 같은 나무를 식재하여 사구를 안정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사구의 모래는 유리의 원료로 이용된다. 안면도 규사광(硅砂鑛)에서 채취되는 모래는 군산의 유리공장으로 보내지는데, 이곳의 규사는 해안사구로 이루어진 사취(砂嘴)의 모래를 채취한 것이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태안반도와 안면도의 해안지형」(권혁재, 『사대논집』6, 1981)
「주문진∼강릉간의 해안지형과 해빈퇴적물」(권혁재, 『교육논총』7, 197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