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일 ()

영허집 / 해일
영허집 / 해일
불교
인물
조선시대, 청허 휴정의 제자로 『영허집』을 저술한 승려.
이칭
영허(暎虛), 보응(普應), 보응당(普應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1년(중종 36)
사망 연도
1609년(광해군 1)
출생지
전라북도 김제시
주요 저서
영허집
주요 작품
부설거사전, 유산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해일(海日, 1541~1609)은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제자로 『영허집(暎虛集)』을 저술한 조선시대 승려이다. 지리산에서 부용 영관(芙蓉靈觀)에게 배우고 금강산에서 학징(學澄)에게 수학한 후 묘향산에 가서 휴정의 법을 전해 받았다. 능가산 실상사(實相寺)에서 『지장경(地藏經)』을 독송하며 상서로운 꿈을 꾸었다고 전해진다. 시문집 『영허집』에는 그가 지은 『부설거사전(浮雪居士傳)』과 「유산록(遊山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시대, 청허 휴정의 제자로 『영허집』을 저술한 승려.
가계 및 인적사항

해일(海日, 1541~1609)의 성은 김(金)이며, 호는 영허(暎虛) 또는 보응(普應)이다. 그는 1541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의 만경현(萬頃縣) 불기(不欺)라는 마을의 사족(士族) 집안에서 태어났다.

주요 활동

해일의 가업은 유학이었다. 그는 어릴 때부터 글 읽기를 좋아하여 파초 잎으로 책갑을 삼았고, 그가 말을 할 때면 그 소리가 글 읽는 것과 같았다고 한다. 8세에 『대학(大學)』에 나오는 증자(曾子)의 말 “열 개의 눈이 보고 있고 열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바이니 매우 엄하도다[十目所視, 十手所指, 其嚴乎]”라는 구절을 읽다가 엄(嚴)자의 뜻은 “두렵다는 말입니다”라고 답해 모두가 그를 뛰어난 아이라고 칭찬하였다.

해일은 15세에 과거 시험을 보았지만 합격하지 못하자 19세에 능가산(楞伽山) 실상사(實相寺)로 출가하였다. 그는 실상사 인언(印彦)의 아래에서 5년 동안 경전과 논서를 공부하였다. 그 후 지리산의 부용 영관(芙蓉靈觀, 1485∼1572)을 찾아가 3년을 모시며 과 교를 함께 배웠다. 다음으로 금강산의 학징(學澄)에게 가서 참선에 전념하였고, 묘향산의 청허 휴정(1520∼1604)에게 경전에서 의심가는 부분을 질의하였다.

해일은 상비로암(上毘盧庵)에서 10년을 주석한 뒤 1589년(선조 22) 능가산 실상사로 돌아왔다. 그는 실상사에서 『지장경(地藏經)』을 독송(讀誦)하며 정진하던 중 지장보살이 감로수(甘露水)를 정수리에 부어주는 상서로운 꿈을 꾸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묘향산 등 전국 각지의 산과 사찰을 두루 돌아다녔으며, 1605년에 실상사로 돌아와 대중에게 경론(經論)을 강의하였다. 1607년 봄에 광덕산(廣德山) 연대암(蓮臺庵)으로 가서 3년을 머물렀고, 두류산 대암(臺庵)에서 지내다가 1609년에 입적하였다.

학문과 저술

영허 해일은 유 · 불 · 도를 회통하는 입장을 가졌고 선과 교 외에 정토신앙에도 관심을 가졌다.

해일은 시문집인 『영허집』 4권을 남겼다. 『영허집』에는 천태산인(天台山人)이 쓴 서문과 함영(涵影)이 쓴 행장, 신파거사(新坡居士)가 쓴 발문(跋文)이 수록되어 있다. 『영허집』 권1과 권2에는 자연을 노래하고 선적 풍취를 읊은 5언과 7언의 절구율시가 실려 있다. 권3의 부(賦)에 실린 『부설거사전(浮雪居士傳)』은 승려 부설이 성불하는 과정 및 행적을 서사적으로 묘사한 승전(僧傳) 형식의 소설이다. 권4의 「유산록(遊山錄)」 3편은 그가 직접 다녀왔거나 주석했던 지리산, 묘향산, 금강산의 절경과 그곳에서의 인연을 언급한 글이다. 『영허집』은 이른 시기에 승려가 쓴 유산기로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원전

『영허집(暎虛集)』

단행본

이능화, 『조선불교통사』(신문관, 1918)

논문

김승호, 「16세기 승려작가 영허 및 부설전의 소설사적 의의」(『고소설 연구』 11-1, 한국고소설학회, 2001)
이미숙(현욱), 「영허해일의 선시를 통해 본 삼문수행관」(『한국선학』 46, 한국선학회, 2017)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