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보살본원경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453년(단종 1) 전라도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본 불경.
이칭
약칭
지장경, 지장본원경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453년(단종 1)
권책수
3권 1책
판본
목판본
표제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소장처
서울역사박물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03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1453년(단종 1) 전라도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본 불경이다. 이 불경은 지장 신앙(地藏信仰)의 기본 경전으로, 목판에 새겨 간행한 3권 1책이다. 화암사본은 조선시대 간행된 30종의 사찰본 중 가장 초기본에 해당된다. 판식상 고려 절첩본의 특징을 살필 수 있고 간행의 주체들이 기록되어 있어, 조선 초기 불교 판본 연구에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정의
1453년(단종 1) 전라도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본 불경.
저자 및 편자

『지장경(地藏經)』은 지옥의 고통받고 있는 중생들을 제도하여 해탈에 이르게 하려는 지장보살의 큰 서원을 담은 현세 이익적인 불경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장신앙의 기본 경전으로 널리 신봉되었으며, 원명은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이다. 이를 줄여서 『지장본원경』 또는 『지장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당나라 때의 법등(法燈)이 한역한 3권본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부처가 도리천에서 어머니 마야 부인을 위하여 설법한 내용을 모은 것이다. 부처는 지장보살을 불러 갖가지 방편으로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육도(六道) 중생을 교화하는 모습, 그리고 죄를 짓고 지옥의 온갖 고통을 받는 중생들을 평등하게 제도하여 해탈하게 하려는 유명교주(幽明敎主) 지장보살의 큰 서원을 말씀하신 경전이다.

모든 중생이 성불하고 난 다음에야 성불하겠다는 원을 보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그를 ‘대원본존(大願本尊)’으로 신봉하고 있다.

서지사항

이 책은 불복(佛腹)에 복장되었다가 근래 수습한 이후 새로 표지를 만들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개장할 때 장차의 일부와 간기(刊記) 면 등의 순차에 착오가 있으나 결장이 없는 양호한 상태이다.

표지는 황색으로 염색한 황지(黃紙)에 5침으로 꿰맨 선장본(線裝本) 형태의 3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의 크기는 세로 29.6㎝, 가로 18.2㎝이다.

표지의 좌측에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으로 묵서한 제첨이 있다. 권수에는 일반적으로 보이는 변상도(變相圖)가 없으며, 바로 경제와 품제가 나타나고 있으나 경제와 품제 사이에 일반적으로 기재되어야 할 역자 표시는 나타나 있지 않다. 이 『지장경』을 한문으로 번역한 사람은 법등으로 알려져 있다.

판식의 특징을 살펴보면, 변란은 상하단변(上下單邊)으로 되어 있어, 권자본(卷子本) 또는 접장본(接長本)으로 된 고려의 사경(寫經)이나 판본을 저본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인쇄면의 행 사이에 계선(界線)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상하간 반곽(半郭)의 크기는 세로 22㎝, 가로 15.8㎝이다. 반엽(半葉)을 기준으로 7~8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한 행에는 16자가 배자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6행마다 일정하게 간격이 마련된 것으로 보아 본래는 절첩장(折帖裝)을 염두에 둔 판식의 특징으로 보인다.

글자체는 서사자가 공암으로 밝혀져 있는데, 원나라의 조맹부체를 바탕으로 하는 고려 사경체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나, 하권의 경우 서체의 기풍이 상당한 차이를 보여 서사자가 다른 사람과 분담 필사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지질(紙質)은 순수한 저피(楮皮)만을 사용하여 얇게 뜬 상품의 인경지(印經紙)이다.

본문에 구결이 세필로 묵서된 흔적과 소장자의 수결(手決) 등이 보여 누군가 한동안 독서한 후에 불복에 복장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권하의 말미에는 무의자의 찬문에 이어 간기와 시주질이 수록되어 있는데, 보물로 지정된 아단문고본 등에는 권상 말미에 위치하고 있어 개장 시의 착오로 보인다.

간기에는 "경태사년계팔월 화암사개판(景泰四年癸酉八月 花岩寺開板)"으로 기록되어 있어, 이 책이 1453년(단종 1)에 전라도 고산(高山)의 불명산 화암사(花岩寺)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간기 다음에는 시주질이 새겨져 있고, 그 끝부분에 각수(刻手) ‘의명(義明)’과 서사 ‘공암(空菴)’, 화주 ‘해운(海云), 혜준(惠俊)’이라는 이름이 보인다.

이 기록을 통해서 이 화암사판은 화주 해운과 혜준의 주관으로 공암이 판하의 정서본을 쓰고, 이를 각수 의명이 새겨서 간행되었던 구체적 사실을 알 수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조선시대에 지옥의 고통을 파하고 극락에 왕생할 수 있는 공덕(功德)에 근거하여 교학적 측면의 연구보다는 공덕용으로 수많은 판본이 개판되었다. 조선시대 1453년에 간행된 화암사본을 비롯하여 전국 주요 사찰에서 간행된 30여 종의 사찰본이 유통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서울역사박물관 도서는 당나라의 법등이 한문으로 번역한 것을 저본으로 1453년에 전라도 불명산 화암사에서 화주 해운과 혜준이 주관하여 공암이 판하본의 글씨를 쓰고 의명이 판각하여 간행한 판본이다.

구성과 내용

『지장경』의 내용은 「도리천궁신통품(克利天宮神通品)」 등 13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옥의 여러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고 부모나 조상들을 지옥으로부터 천도하여 극락왕생에 이르는 공덕들이 열거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타계한 조상이나 부모를 천도하고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재식 법회 등에서 중요하게 독송되고 있어 불가의 효경으로 알려져 있다. 지장재(地藏齋)의 의식과 사찰 당우 가운데 명부전(冥府殿)은 이 『지장경』에 근거하여 구성되었다.

의의 및 평가

『지장경』은 지장보살이 여러 방법으로 중생을 교화하여 죄를 짓고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을 평등하게 구제하고자 하는 큰 뜻을 세운 현세 이익적인 불경이다. 화암사본은 1453년에 간행된 사찰본으로 조선시대 간행된 30종의 사찰본 중 가장 초기본에 해당된다.

또한, 판식상 고려 절첩본의 특징을 살필 수 있고, 간행의 주체들이 기록되어 있어 조선 초기 불교 판본 연구에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 2003년 12월 3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도서)

단행본

송일기, 『조선사찰본서지연표』(현재기록유산보존연구원, 2021)

기타 자료

『서울시문화재지정보고서』(서울특별시, 2015)
집필자
송일기(중앙대 명예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