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지장보살도 ()

목차
관련 정보
관음지장보살도
관음지장보살도
회화
작품
고려시대의 관음 · 지장 그림. 비단 바탕에 채색. 가로 52.2㎝, 세로 99㎝. 일본 사이후쿠사(西福寺) 소장.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관음 · 지장 그림. 비단 바탕에 채색. 가로 52.2㎝, 세로 99㎝. 일본 사이후쿠사(西福寺) 소장.
내용

이 그림은 아마도 아미타여래의 협시보살로서의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함께 표현한 것으로, 아미타도(阿彌陀圖) 내지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와 동일한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원래 아미타여래의 협시는 관음과 대세지보살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이르면 호암미술관 소장의 <아미타삼존도>와 같이 관음·지장이 아미타여래의 협시로서 같이 표현되는 예가 종종 있다. 이 관음·지장상 역시 그러한 예에 속하는 것이라 보여진다.

관음보살은 몸을 약간 오른쪽으로 비틀고 정면을 향하여 서 있다. 두 손은 가운데로 모아 정병(淨甁)을 쥐고, 치렁치렁한 머리칼이 어깨로 늘어져 있다. 이마가 넓고 둥근 얼굴에 비교적 작은 이목구비로 약간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다. 체구는 단정하고 부드러운 모습으로 온화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두 어깨를 감싸고 양팔에 걸쳐 구불구불하면서도 율동적으로 흘러내리는 백의(白衣)의 옷주름은 1307년 노영(魯英)이 그린 <아미타구존도>나 1320년 작 <아미타구존도>(일본 松尾寺 소장) 인물들의 옷주름 선과 흡사함을 보여 준다. 그 중에서도 이 관음상은 비튼 자세, 두 손을 모아 정병을 쥔 인상(印相), 상의(裳衣)의 금니(金泥) 무늬 등에서 1320년 작 <아미타구존도>의 관음상과 아주 비슷하다.

지장보살은 두건을 쓰지 않은 승형의 모습으로 두 손을 가슴 앞으로 모아 투명한 보주(寶珠)를 받들고 있다. 둥근 얼굴에 앳된 얼굴 표정은 단정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몸은 정면을 향하고 있으면서 연꽃을 밟고 있는 발은 약간 비스듬히 표현되었다. 일본 네즈미술관(根津美術館) 소장의 <지장보살도>나 일본 센도사(善導寺) 소장의 <지장보살도>와 같은 자세를 보여 준다.

이 지장상은 보주를 잡은 모습 등에서는 1320년 작 <아미타구존도>의 지장보살과 같은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하지만 관음보살의 구불거리는 옷주름 선과 달리 조각한 듯한 날카롭고 형식화된 옷주름 선이라든가, 가사의 세부 무늬 등은 네즈미술관 소장, 센도사 소장 <지장보살도>와 더욱 친연성(親緣性)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함께 그린 특이한 형식의 불화로서 고려시대 불화 도상의 다양함을 보여 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 7-고려불화-(이동주 감수, 중앙일보사, 1981)
「고려시대 지장도상에 보이는 몇가지 문제점」(박영숙, 『고고미술』 157, 1983)
「고려말·조선전기 지장보살화의 고찰」(김정희, 『고고미술』 157, 198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